한국소설문학상
1. 개요
한국소설의 발전과 소설가들의 권익 옹호와 창작여건 향상등을 목적으로 한국소설가협회에서 1975년에 제정한 문학상이다.
| '''분야''' | '''한국문학''' | 
| 분야 | 한국 문학 | 
| 주최기관 | 한국소설가협회 | 
| 시상내역 | 소설 | 
| 링크 | 관련싸이트 | 
2. 수상자 목록
*참고: 단편소설은 '''단편''', 중편소설은 '''중편''', 장편소설은 '''장편''', 연작소설은 '''연작''', 소설집은 '''소설'''로 표기함.
| '''수상년도''' | '''수상자 / 수상작품''' | 
| 제1회(1975년) | 이정호/ 단편 - 길 | 
| 백시종 / 단편 - 망망대해 | |
| 제2회(1976년) | 정을병 / 단편 - 본회퍼의 죽음 | 
| 송상옥 / 단편 - 어둠의 끝 | |
| 제3회(1977년) | 이동하 / 단편 - 모래 | 
| 제4회(1978년) | 김원일 / 장편 - 노을 | 
| 제5회(1979년) | 최일남 / 단편 - 떫은 여름 | 
| 정연희 / 단편 - 막차요, 막차 | |
| 제6회(1980년) | 한승원 / 장편 - 그 바다 끓며 넘치며 | 
| 제7회(1981년) | 오찬식 / 단편 - 창부타령 | 
| 제8회(1982년) | 김주영 / 단편 - 외촌장기행 | 
| 제9회(1983년) | 신석상 / 장편 - 아파트공화국 | 
| 제10회(1984년) | 김지연 / 장편 - 야성의 숲 | 
| 박양호 / 단편 - 삼촌 이야기 | |
| 제11회(1985년) | 안장환 / 장편 - 겨울새 | 
| 제12회(1986년) | 김홍신 / 장편 - 풍객 | 
| 오영석 / 연작 - 종합병동 | |
| 제13회(1987년) | 구인환 / 중편 - 촛불결혼 | 
| 구혜영 / 소설 - 보리수피리 | |
| 김녕희 / 소설 - 오진시대 | |
| 제14회(1988년) | 곽학송 / 장편 - 모란봉에서 한라산까지 | 
| 박순녀 / 소설 - 비단비행기 | |
| 제15회(1989년) | 최미나 / 소설 - 세 번째 만남 | 
| 홍석영 / 장편 - 풍진에 지다 | |
| 제16회(1990년) | 민병삼 / 장편 - 그 여름 날개 내리다 | 
| 노순자 / 중편 - 진달래 산천 | |
| 최해군 / 단편 - 쫓겨 뒤쫓겨서 | |
| 제17회(1991년) | 김광식 / 소설 - 상상하는 여인 | 
| 김용운 / 소설 - 가득한 애정 | |
| 제18회(1993년 1월) | 이석봉 / 장편 - 여정 | 
| 한남규 / 소설 - 바닷가의 소년 | |
| 제 19회(1993년 12월) | 천금성 / 중편 - 하선 | 
| 오성찬 / 장편 - 어두운 시대의 초상화 | |
| 제20회(1994년) | 박광서 / 소설 - 재회를 위하여 | 
| 이광복 / 장편 - 바람잡기 | |
| 제21회(1995년) | 김병총 / 장편 - 사라지는 것은 아름답다 | 
| 염재만 / 장편 - 반노 | |
| 제22회(1997년) | 홍성암 / 단편 - 어떤 귀향 | 
| 김민숙 / 장편 - 파리의 앵무새는 말을 배우지 않는다 | |
| 제23회(1998년) | 강승원 / 대하소설 - 남한강 | 
| 김용철 / 중편 - 폭목 | |
| 제24회(1999년 1월) | 유금호 / 소설 - 여자에 관한 몇 가지 이설 혹은 편견 | 
| 곽의진 / 장편 - 꿈이로다 화연일세 | |
| 제25회(1999년 12월) | 한강 / 단편 - 아기부처 | 
| 손영목 / 장편 - 얼음꽃 | |
| 최일옥 / 장편 - 꽃은 혼자 피고 혼자 웃는다 | |
| 제26회(2000년) | 은희경 / 단편 - 내가 살았던 집 | 
| 김관숙 / 장편 - 아주 특별한 날의 이별 | |
| 제27회(2001년) | 공지영 / 단편 - 부활 무렵 | 
| 이기윤 / 장편 - 영혼의 춤 | |
| 제28회(2002년) | 김성금 / 단편 - 시지프스의 고리를 끊고 | 
| 노수민 / 장편 - 광대들의 들판에 비는 오지 않는다 | |
| 제29회(2003년) | 김정례 / 단편 - 손톱 | 
| 채정운 / 장편 -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 |
| 제30회(2004년) | 이선 / 단편 - 카페 갈매기 | 
| 제31회(2005년) | 구자명 / 단편 - 처용의 딸 | 
| 오을식 / 단편 - 새장을 열다 | |
| 제32회(2006년) | 호영송 / 단편 - 죽은 소설가의 사회 | 
| 김선주 / 단편 - 요나의 기억 | |
| 제33회(2007년) | 정건영 / 단편 - 낯선 시간 위에서 | 
| 한상윤 / 단편 - 비탈진 숲마을은 춥다 | |
| 제34회(2008년) | 김상렬 / 단편 - 봄날 염색하다 | 
| 박명희 / 단편 - 길 찾기 | |
| 제35회(2009년) | 김현진 / 단편 - 용서의 조건 | 
| 제36회(2010년) | 이상문 / 중편 - 네 안의 내 얼굴 | 
| 제37회(2011년) | 박충훈 / 단편 - 소 | 
| 김경 / 단편 - 게임, 그리고 그림자사랑 | |
| 제38회(2012년) | 정동수 / 단편 - 장미 집, 비둘기 | 
| 이영철 / 단편 - 이 비가 그치면 | |
| 제39회(2013년) | 이강숙 / 단편 - 반쯤 죽은 남자 | 
| 박종윤 / 단편 - 아버지의 중국집 | |
| 제40회(2014년) | 민봉기/ 단편 - 칼리마 나비 | 
| 최성배 / 단편 - 잠실 | |
| 정승재 / 단편 - 엄마의 별 | |
| 제41회(2015년) | 우한용/ 중편 - 도도니의 참나무 | 
| 강병석 / 단편 - 그러고 나서 | |
| 제42회(2016년) | 이정은 /단편 - 왕이 귀환하다 | 
| 채문수 / 중편 - 하숙생 | |
| 김호운 / 단편 - 아버지의 녹슨 철모 | |
| 김건중 / 단편 - 빨간 밑줄 | |
| 제43회(2017년) | 정수남 / 단편 - 파라다이스 유료 낚시터 | 
| 박영래 / 단편 - 인질 | |
| 제44회(2018년) | 서동훈 / 단편 - 김설보의 숲 | 
| 성지혜 / 단편 - 나귀 타고 오신 성자 | |
| 이충호 / 단편 - 아버지의 산 | |
| 제45회(2019년) | 장재연 / 단편 - '찰스 램'을 읽는 시간 | 
| 공애린/단편-그 남자의 브이로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