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트트릭

 


1. 개요
2. 축구
2.1. 단 한 번이라도 해트트릭을 달성한 적이 있는 축구선수[1]


1. 개요


해트트릭(Hat-trick)은 여러 명이 뛰는 스포츠 종목에서 선수 한명이 원맨 플레이를 한 것을 의미한다.
원래 어원에 해당되는 단어는 "길거리에서 실크 모자 3개를 저글링하는 것"이 의미이다. 이것이 나중에는 스포츠 경기에서 비유하여 의미가 확장이 돼서, 한 경기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는 선수에게 지칭하는 명사가 되었다. "해트트릭"이라는 용어는 20세기 초, 영국의 크리켓에서 '3명의 타자를 연속으로 아웃시킨 투수에게 새 모자를 주어 그 명예를 칭송하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2]
해트트릭(Hat-trick)은 축구나 아이스하키 등에서 '한 선수가 한 게임에서 3득점 이상을 달성'하거나, '한 팀이 3년 또는 3번 연속으로 대회 타이틀을 석권했을 때' 칭한다.

2. 축구


한 명의 선수가 한 경기에서 혼자 3골 이상[3]의 득점을 올릴 때 해트트릭이라 한다. 순서에 상관 없이 오른발, 왼발, 머리로 3골을 기록하면 퍼펙트 해트트릭이라고 한다. 야구로 치면 사이클링 히트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 외에도 4골 이상을 넣으면 오버 해트트릭, 6골을 넣으면 더블 해트트릭, 7골 이상을 넣으면 오버 더블 해트트릭, 9골을 넣으면 트리플 해트트릭이라는 명칭을 쓰기도 한다.
해트트릭을 달성하면 매치볼, 그러니까 이 경기에서 사용한 공을 가져가는 게 전통이다. 경기 끝나고 경기구는 심판에게 돌려주면서 주최 측이 수거해가는 게 원칙이지만 해트트릭 달성한 선수라면 필드 안에 있는 공을 주워 유유히 라커룸으로 들어가도 제재하는 사람은 없다.
유로 1984에서 미셸 플라티니는 퍼펙트 해트트릭을 벨기에 전과 유고슬라비아 전에서 두 경기 연속으로 기록하기도 했다. 피터 크라우치는 리버풀 시절 아스날을 상대로 퍼펙트 해트트릭을 기록한 바 있다. 또 15-16시즌 에버튼 FC첼시 FC의 경기에서 스티븐 네이스미스도 퍼펙트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유명한 해트트릭으로는 가브리엘 바티스투타FIFA 월드컵 두 대회 연속 해트트릭(1994년, 1998년), 곤살로 이과인이 3연속 해트트릭(에스파뇰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 레알 베티스)이 있다.

2.1. 단 한 번이라도 해트트릭을 달성한 적이 있는 축구선수[4]


★표시는 FIFA 월드컵 본선에서 해트트릭을 달성한 선수며 브라질, 아르헨티나, 독일 선수들이 많다.
  • 가레스 베일 (웨일스)
  • 가브리엘 아그본라허 (잉글랜드)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아르헨티나)★
  • 가비노 소사 (아르헨티나)
  • 게르트 뮐러 (독일)★
  • 게리 리네커 (잉글랜드)★
  • 고경민 (대한민국)
  • 고란 블라오비치 (크로아티아)[5]
  • 고란 판데프 (마케도니아)
  • 고무열 (대한민국)
  • 고정운 (대한민국)
  • 고종수 (대한민국)
  • 곤살로 이과인 (아르헨티나)★[6]
  • 구자철 (대한민국)
  • 권창훈 (대한민국)[7]
  • 그라피테 (브라질)
  • 기예르모 스타빌레 (아르헨티나)★
  • 기예르모 캄파날 (스페인)
  • 김도훈 (대한민국)[8]
  • 김동찬 (대한민국)
  • 김두현 (대한민국)
  • 김동기 (대한민국)
  • 김신욱 (대한민국)
  • 김영후 (대한민국)
  • 김현석 (대한민국)
  • 김형범 (대한민국)
  • 김희철 (대한민국)[9]
  • 나드손 (브라질)
  • 나카야마 마사시 (일본)
  • 나카무라 슌스케 (일본)
  • 나빌 페키르 (프랑스)
  • 네이마르 주니오르 (브라질)
  • 노병준 (대한민국)
  • 노보트니 쇼마 (헝가리)
  • 니콜라 아넬카 (프랑스)
  • 니콜라 칼리니치 (크로아티아)
  • 닐스 페테르센 (독일)
  • 다나카 마르쿠스 툴리오 (일본)
  • 다니엘 스터리지 (잉글랜드)
  • 다니엘 오스발도 (이탈리아)
  • 다비드 비야 (스페인)
  • 다비드 아레야노 (칠레)
  • 대니 웰벡 (잉글랜드)
  • 대런 벤트 (잉글랜드)
  • 데니스 (러시아)
  • 데니스 로 (스코틀랜드)
  • 데니스 베르캄프 (네덜란드)
  • 데얀 다미아노비치 (몬테네그로)
  • 데이비드 벤틀리 (잉글랜드)
  • 뎀바 바 (세네갈)
  • 도메니코 베라르디 (이탈리아)
  • 도미닉 칼버트르윈 (잉글랜드)
  • 도밍고 타라스코니 (아르헨티나)
  • 드와이트 게일 (잉글랜드)
  • 드와이트 요크 (트리니다드토바고)
  • 디디에 드록바 (코트디부아르)
  • 디르크 카윗 (네덜란드)
  • 디미타르 베르바토프 (불가리아)
  • 디보크 오리기 (벨기에)
  • 디오구 조타 (포르투갈)
  • 디에고 마라도나 (아르헨티나)
  • 디에고 코스타 (스페인)
  • 디에고 포를란 (우루과이)
  • 라다멜 팔카오 (콜롬비아)
  • 라데 보그다노비치 (보스니아)
  • 라울 곤살레스 (스페인)
  • 라울 마르셀로 보바디야 (아르헨티나)
  • 라이코 미티치 (유고슬라비아)
  • 라쿠르 구뎀바 (파푸아뉴기니)
  • 라클로스 키스 (헝가리)★ [10]
  • 라힘 스털링 (잉글랜드)
  • 랜던 도노반 (미국)
  • 레뱅 퀴르자와 (프랑스)
  • 레스 퍼디난드 (잉글랜드)
  • 레오니다스 다시우바 (브라질)★
  • 레오폴트 킬홀츠 (스위스)
  • 레온 베스트 (아일랜드)
  • 레인 펜터 (네덜란드)
  • 로렌소 페르난데스 (우루과이)
  • 로만 파블류첸코 (러시아)
  • 로멜루 루카쿠 (벨기에)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폴란드)[11]
  • 로베르토 솔다도 (스페인)
  • 로베르토 체로 (아르헨티나)
  • 로비 킨 (아일랜드)
  • 로비 파울러 (잉글랜드)
  • 로빈 콰이손 (스웨덴)
  • 로빈 판페르시 (네덜란드)
  • 뤼트 판니스텔로이 (네덜란드)
  • 루빈 로프터스치크 (잉글랜드)
  • 루이 사하 (프랑스)
  • 루이스 레게이로 (스페인)
  • 루이스 수아레스 (우루과이)
  • 루이스 아드리아누 (브라질)
  • 루카 토니 (이탈리아)
  • 루카 요비치 (세르비아)
  • 루카스 모우라 (브라질)
  • 루카스 알라리오 (아르헨티나)
  • 루카스 페레스 (스페인)
  • 루크 더용 (네덜란드)
  • 류승우 (대한민국)[12]
  • 리야드 마레즈 (알제리)
  • 리오넬 메시 (아르헨티나)
  • 리오르 라파엘로프 (이스라엘)
  • 마그누스 아르비드슨 (스웨덴)[13]
  • 마누엘 세오아네 (아르헨티나)
  • 마르코 로이스 (독일)
  • 마르코 베이노비치 (네덜란드)
  • 마르코 반 바스텐 (네덜란드)
  • 마르틴 벤톨라 (스페인)
  • 마리오 고메스 (독일)
  • 마리오 괴체 (독일)
  • 마리오 만주키치 (크로아티아)
  • 마리오 발로텔리 (이탈리아)
  • 마이클 오언 (잉글랜드)
  • 마우로 이카르디 (아르헨티나)
  • 마우리시오 몰리나 (콜롬비아) [14]
  • 마커스 래시포드 (잉글랜드)[15]
  • 마크 비두카 (호주)
  • 마크 휴즈 (웨일스)
  • 마테오 코바치치 (크로아티아)
  • 마테야 케즈만 (세르비아)
  • 마티아스 신델라 (오스트리아)
  • 마티아스 카뷰레크 (오스트리아)
  • 마흐무드 모크타르 (이집트)
  • 막스 마이어 (독일)
  • 막스 크루제 (독일)
  • 막시 로드리게스 (아르헨티나)
  • 말컹 (브라질)
  • 메수트 외질 (독일)
  • 멤피스 데파이 (네덜란드)
  • 미로슬라프 클로제 (독일)★
  • 미셸 플라티니 (프랑스)
  • 미슬라프 오르시치 (크로아티아)
  • 미카엘 드 레이우 (네덜란드)
  • 미카엘 크라머 (네덜란드)
  • 밀레 예디낙 (오스트레일리아)
  • 밀리보예 노바코비치 (슬로베니아)
  • 모디브 마이가 (말리)
  • 모하메드 살라 (이집트)
  • 무니르 엘 함다위 (네덜란드)
  • 무토 요시노리 (일본)
  • 문선민 (대한민국)
  • 미카일 안토니오 (잉글랜드)
  • 미키 바추아이 (벨기에)
  • 바페팀비 고미스 (프랑스) [16]
  • 바스 도스트 (네덜란드)
  • 바웃 베호르스트 (네덜란드)
  • 박수창 (대한민국)
  • 박정빈 (대한민국)
  • 박주영 (대한민국)[17]
  • 발레리 카자이시빌리 (조지아)
  • 버트 파테노드[18] (미국)★
  • 베다드 이비세비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베르나르두 실바 (포르투갈)
  • 베르나르트 포르호프 (벨기에)
  • 베프 바크하위스 (네덜란드)
  • 보비 찰튼 (잉글랜드)
  • 브라니슬라프 세쿨리치 (유고슬라비아)
  • 블라스티밀 코페츠키 (체코)
  • 비탈리 룩스 (키르기스스탄)
  • 비톨로 (스페인)
  • 빔 라헌달 (네덜란드)
  • 사르다르 아즈문 (이란)
  • 사무엘 에투 (카메룬)
  • 사미 케디라 (독일)
  • 사디오 마네 (세네갈)[19]
  • 사샤 드라쿨리치 (유고슬라비아)
  • 사이도 베라히노 (잉글랜드)
  • 산티 미나 (스페인)
  • 산토스 (브라질)
  • 살로몬 론돈 (베네수엘라)
  • 살로몬 칼루 (코트디부아르)
  • 샤로시 죄르지 (헝가리)
  • 서정원 (대한민국)
  • 설기현 (대한민국)
  • 세르주 그나브리(독일) [20]
  • 세르단 샤키리 (스위스)★
  • 세르히오 아궤로 (아르헨티나) [21]
  • 세바스티앵 알레 (프랑스)
  • 세스크 파브레가스 (스페인)
  • 손흥민 (대한민국)[23]
  • 스벤 요나손 (스웨덴)
  • 스탄 모르텐슨 (잉글랜드)
  • 스타니슬라프 일류첸코 (독일)
  • 스테파노스 아타나시아디스 (그리스)
  • 스테판 닐란드 (네덜란드)
  • 스테판 무고샤 (몬테네그로)
  • 스테판 요베티치 (몬테네그로)
  • 스티븐 네이스미스 (스코틀랜드)
  • 스티븐 제라드 (잉글랜드)
  •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세르비아) [24]
  • 시모네 자자 (이탈리아)
  • 시몬 마키녹 (덴마크)
  • 시오 월콧 (잉글랜드)
  • 신태용 (대한민국)
  • 심동운 (대한민국)
  • 아뎀 랴이치 (세르비아)
  • : 아동 성범죄로 제명.
  • 아데미르 (브라질)★
  • 아돌포 발론체리 (이탈리아)
  • 아드리아노 (브라질)
  • 아드리아누 (브라질)
  • 아드리안 무투 (루마니아)
  • 아론 램지 (웨일스)
  • 아루나 코네 (코트디부아르)
  • 아르다 투란 (터키)
  • 아르연 로번 (네덜란드)
  • 아르투로 비달 (칠레)
  • 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 (브라질)
  • 아리츠 아두리스 (스페인)
  • 아요세 페레즈 (스페인)
  • 아우렐리오 곤살레스 (파라과이)
  • 아이두르 구드욘센 (아이슬란드)
  • 아치 톰슨 (호주)[25]
  • 안드레 쉬를레 (독일)
  • 안드레이 아르샤빈 (러시아)
  •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크로아티아)
  • 안드리 셰브첸코 (우크라이나)
  • 안정환 (대한민국)
  • 안젤로 스키아비오 (이탈리아)★
  • 안토니오 디 나탈레 (이탈리아)
  •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파라과이)
  • 안토닌 파넨카 (체코)
  • 알도 도넬리 (미국)
  • 알레샨드리 파투 (브라질)
  • 알렉산다르 팔로체비치 (세르비아)
  • 알렉산더 마이어 (독일)
  • 알렉산데르 이사크 (스웨덴)[26]
  • 알렉상드르 라카제트 (프랑스)
  • 알렉시스 산체스 (칠레) [27]
  • 알바로 네그레도 (스페인)
  • 알바로 모라타 (스페인)
  • 알베르토 부에노 (스페인)
  • 알베르토 질라르디노 (이탈리아)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아르헨티나)
  • 알프레드 핀보가손 (아이슬란드)
  • 알빈 에크달 (스웨덴)
  • 앙드레 아베글렁 (스위스)
  • 앙토니 마시알 (프랑스)
  • 앙투안 그리즈만 (프랑스)
  • 앙헬 디마리아 (아르헨티나)
  • 애덤 타가트 (호주)
  • 앤디 캐롤 (잉글랜드)
  • 앤디 콜 (잉글랜드)
  • 앨런 시어러 (잉글랜드)
  • 야닉 볼라시 (콩고 민주공화국)
  • 야닉 카라스코 (벨기에)
  • 야야 사노고 (프랑스)
  • 야야 투레 (코트디부아르)
  • 야신 브라히미 (프랑스)
  • 야쿠부 아이예그베니 (나이지리아)
  • 얀 콜레르 (체코)
  • 어버르 이슈트반 (헝가리)
  • 얼베르트 플로비안 (헝가리)★
  • 에덴 아자르 (벨기에)
  • 에드문트 코넨 (독일)★
  • 에르난 크레스포 (아르헨티나)
  • 에른스트 레너 (독일)
  • 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 (폴란드)★[28]
  • 에른스트 쿠초라 (독일)
  • 에릭 칸토나 (프랑스)
  • 에밀 헤스키 (잉글랜드)
  • 에벨톤 (브라질)
  • 에세키엘 라베찌 (아르헨티나)
  • 에우제비우 (포르투갈)★
  • 에딘 제코 (보스니아)
  • 에딘손 카바니 (우루과이)
  • 에릭 라멜라 (아르헨티나)
  • 에릭 막심 추포모팅 (카메룬)
  • 에릭 칼펜부르크 (네덜란드)
  • 에마뉘엘 아데바요르 (토고)
  • 엑토르 스카로네 (우루과이)
  • 엑토르 카스트로 (우루과이)
  • 엔리케 구아이타 (아르헨티나/이탈리아)
  • 엘 아르비 힐렐 수다니 (알제리)
  • 엘링 홀란드 (노르웨이)[29]
  • 엠마누엘 리비에르 (프랑스)
  • 염기훈 (대한민국)
  • 올드르지흐 네예들리 (체코)★
  • 올레 군나르 솔샤르 (노르웨이)
  • 올레크 살렌코 (러시아) [30]
  • 올리버 비어호프 (독일)
  • 올리비에 지루 (프랑스)
  • 올리 왓킨스 (잉글랜드)
  • 오사마 탄나네 (네덜란드)
  • 오스카르 (브라질)
  • 오장은 (대한민국)
  • 오카자키 신지 (일본)
  • 오토 지플링 (독일)
  • 완델손 (브라질)
  • 요시 베나윤 (이스라엘)
  • 요십 일리치치 (슬로베니아)
  • 요제프 라셀른베르크 (독일)
  • 요제프 비찬 (체코)
  • 요제프 실니 (체코)
  • 요제프 우리딜 (오스트리아)
  • 요한 크루이프 (네덜란드)
  • 요한 호르바트 (오스트리아)
  • 우고 산체스 (멕시코)
  • 우로시 제리치 (세르비아)[31]
  • 웨슬리 스미스 아우베스 페이토사 (브라질)
  • 웨인 루니 (잉글랜드)
  • 위르겐 로카디아 (네덜란드)
  • 위르겐 클린스만 (독일)
  • 위삼 벤 예데르 (프랑스)
  • 윌프 마니온 (잉글랜드)
  • 유누스 말리 (독일)
  • 유병수 (대한민국)
  • 유상철 (대한민국)
  • 유수프 포울센 (덴마크)
  • 유스프 엘 아라비 (모로코)
  • 윤일록 (대한민국)
  • 윤주태 (대한민국)
  • 율리우 보돌라 (루마니아)
  • 이근호 (대한민국)
  • 이동국 (대한민국)
  • 이르지 소보트카 (체코)
  • 이샤크 벨포딜 (알제리)
  • 이석현 (대한민국)
  • 이반 코바체츠 (크로아티아)
  • 이승기 (대한민국) K리그 최단시간 해트트릭(7분)
  • 이시드로 랑가라 (스페인)
  • 이아고 아스파스 (스페인) [32]
  • 이정협 (대한민국)
  • 이천수 (대한민국)
  • 일라리오 로페스 (멕시코)
  • 임상협 (대한민국)
  • 자카리아 바칼리 (벨기에)
  • 자일 (브라질)
  • 장 니콜라 (프랑스)
  • 장필립 마테타 (프랑스)
  • 재키 밀번 (잉글랜드)
  • 저메인 데포 (잉글랜드)
  • 정대세 (대한민국/북한)
  • 정성민 (대한민국)[33]
  • 정조국 (대한민국)
  • 정해원 (대한민국)
  • 제라르 데울로페우 (스페인)
  • 제이미 바디 (잉글랜드)
  • 제프 허스트 (잉글랜드)★[34]
  • 조나단 소리아노 (스페인)
  • 조나단 월터스 (아일랜드)[35]
  • 조나탄 (브라질)
  • 조던 아이유 (가나)
  • 조르지뇨 베이날덤 (네덜란드)
  • 조슈아 킹 (노르웨이)
  • 조엘 포얀팔로 (핀란드)
  • 조영철 (대한민국)
  • 조재완 (대한민국)
  • 조지 베스트 (북아일랜드)
  • 조지 알티도어 (미국)
  • 조찬호 (대한민국)
  • 조 두두 (잉글랜드)
  • 주니오 (브라질)
  • 주민규 (대한민국)
  • 주세페 로시 (이탈리아)
  • 주세페 메아차 (이탈리아)
  • 주앙 펠릭스 (포르투갈) [36]
  • 쥐스트 퐁텐 (프랑스) ★[37]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스웨덴)
  • 지네딘 지단 (프랑스)
  • 지미 플로이드 하셀바잉크 (네덜란드)
  • 지안루카 비알리 (이탈리아)
  • [38]
  • 지쿠 (브라질)
  • 차범근 (대한민국) [39]
  • 차초 (스페인)
  • 찰리 오스틴 (잉글랜드)
  • 최오백 (대한민국)
  • 최용수 (대한민국)
  • 최진철 (대한민국)
  • 추바 악폼 (잉글랜드)
  • 치차리토 [40] (멕시코)
  • 카가와 신지 (일본)
  • 카를 치셰크 (오스트리아)
  • 카를 호만 (독일)
  • 카를로스 벨라 (멕시코)
  • 카를로스 솔레르 (스페인)[41]
  • 카를로스 에두아르도 (브라질)
  • 카를로스 테베스 (아르헨티나)
  • 카림 벤제마 (프랑스)
  • 카카 (브라질)
  • 칼럼 윌슨 (잉글랜드)
  • 케빈 가메이로 (프랑스)
  • 케빈 놀란 (잉글랜드)
  • 케빈 더브라위너 (벨기에)
  • 케빈프린스 보아텡 (가나)
  • 켈레치 이헤아나초 (나이지리아)
  • 코치시 샨도르 (헝가리) ★ [42]
  • 콜베인 시그소르손 (아이슬란드)
  • 크누트 크룬 (스웨덴)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포르투갈) ★[43]
  • 크리스티안 벤테케 (벨기에)
  • 크리스티안 비에리 (이탈리아)
  • 크리스티안 에릭센 (덴마크)
  • 크리스천 풀리식 (미국) [44]
  • 클라스얀 휜텔라르 (네덜란드)
  • 클라우디오 피사로 (페루)
  • 클라우디우 케세루 (루마니아)
  • 키크 스미트 (네덜란드)
  • 킬리안 음바페 (프랑스)
  • 타라바이 (브라질)
  • 태미 에이브러햄 (잉글랜드) [45]
  • 테디 셰링엄 (잉글랜드)
  • 테무 푸키 (핀란드)
  • 텔모 사라 (스페인)
  • 토니 샬 (오스트리아)
  • 토레 셸레르 (스웨덴)
  • 토르강 아자르 (벨기에)
  • 토마스 뮐러 (독일)★
  • 토머스 파티 (가나)
  • 톨디 게저 (헝가리)
  • 톰 피니(잉글랜드)
  • 티모 베르너 (독일)
  • 티에리 앙리 (프랑스)
  • 파트릭 클라위버르트 (네덜란드)
  • 파코 알카세르 (스페인)
  • 파비오 콸리아렐라 (이탈리아)
  • 파브리치오 라바넬리 (이탈리아)
  • 파올로 로시 (이탈리아)★
  • 파울레타 (포르투갈)★
  • 파울로 디발라 (아르헨티나)
  • 파울리뉴 (브라질)
  • 피에르미셀 라소가 (독일)
  • 피터 크라우치 (잉글랜드)
  • 페데리코 키에사 (이탈리아)
  • 페드로 로드리게스 (스페인)
  • 페드로 세아 (우루과이)★
  • 페드로 페트로네 (우루과이)
  • 페드루 주니오르 (브라질)
  • 페란 토레스 (스페인)
  • 페렌츠 푸스카스 (헝가리)
  •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스페인)
  • 페르난도 요렌테 (스페인)
  • 페르난도 이에로 (스페인)
  • 페르난도 토레스 (스페인)
  • 펠레 [46] (브라질)★
  • 펠리체 보렐 (이탈리아)
  • 폴 스콜스 (잉글랜드)
  • 프란시스코 바라요 (아르헨티나)
  • 프란체스코 토티 (이탈리아)
  • 프랭크 램파드 (잉글랜드)
  • 피에르 오바메양 (가봉)
  • 필리페 쿠티뉴 (브라질)
  • 필리포 인자기 (이탈리아)
  • 필리프 조르제비치 (세르비아)
  • 필립 코쿠 (네덜란드)
  • 하메스 로드리게스 (콜롬비아)
  • 하비에르 사비올라 (아르헨티나)
  • 하태균 (대한민국)
  • 하파에우 카에타누 지 아라우주 (브라질)
  • 해리 케인 (잉글랜드)★
  • 헤르만 데니스 (아르헨티나)
  • 헨릭 라르손 (스웨덴)
  • 호나우두 (브라질)
  • 호나우지뉴 (브라질)
  • 호드리구 (브라질)[47]
  • 호마리우 (브라질)
  • 호물로 (브라질)[48]
  • 호베르투 피르미누 (브라질)
  • 호세 루이스 칠라베르트 (파라과이)[49]
  • 혼다 케이스케 (일본)
  • 홍명보 (대한민국)
  • 황선홍 (대한민국)
  • 황의조 (대한민국)
  • 후안 로만 리켈메 (아르헨티나)
  • 후안 발디비에소[50] (페루)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불가리아)
  • 히바우두 (브라질)
  • 히카르두 로페스 (브라질)

3. 아이스하키


축구와 마찬가지로 한 선수가 한 경기에서 3골을 넣는 것을 의미한다.
선수가 해트트릭을 기록하면 관중들이 모자를 던져준다.

4. 크리켓


볼러(야구의 투수)가 3명의 배트맨(야구의 타자)를 연달아 아웃시킨 것을 의미한다.
해트 트릭이란 단어가 유래된 종목이다
2017년 인도프리미어리그에서 처음으로 같은 날에 해트트릭이 두번 나왔다. 첫번째 해트 트릭은 RCB(로얄 챌린져스 뱅갈루르)의 새뮤얼 바드리 선수가, 두번째 해트 트릭은 GL(구자라트 라이온즈)의 앤드루 타이 선수가 만들어 냈다.

5. 야구


두 가지로 나뉜다. 둘 다 영미권에서 주로 쓰며, 한일에서는 안 쓰는 용어다.
1. 1경기에서 홈런을 3개 때려낸 것. 이러면 이 날 방망이가 매우 뜨겁다고 볼 수 있으며, 높은 확률로 경기 MVP가 될 수 있다. 또한 캐나다에 있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에서는 홈팀 선수가 해트트릭을 기록하면 아이스하키 경기장에서처럼 모자를 던져준다.
2. 1경기에서 삼진을 세 번 당한 것. 위와 반대로 방망이가 매우 식은 상태며, 실제로 나오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두고두고 까일 게 뻔하다.
3. 사이클링 히트

6. 모터스포츠


예선 1위인 폴 포지션에서 레이스를 시작하여 우승까지 이어간 경우 해당 드라이버는 폴 투 윈을 달성했다고 한다. 이에 추가해 레이스를 진행하는 동안 레이스 최속랩인 패스티스트랩까지 작성한 경우, 해당 드라이버가 해트 트릭을 달성했다고 한다.

7. 경마


3연승을 달성한 기수를 해트 트릭이라 한다.

8. 다트


다트에서 3발을 던져 모두 정중앙에 맞추었을때를 말한다.

[1] 리그나 컵대회(친선경기 제외), A매치 모두 포함[2] 야구로 치면 9구 3탈삼진에 해당한다. 축구의 해트트릭보다 훨씬 어려운 것.[3] 따라서 4골, 5골을 연이어 해도 따로 명칭이 붙지는 않는다.[4] 리그나 컵대회(친선경기 제외), A매치 모두 포함[5] 데뷔골이 96년 대한민국과 친선전이고 그 경기에서 퍼펙트 해트트릭을 했다. 왼발, 오른발, 헤딩.[6] 팀 3번째이자 해당 선수 2번째 골은 명백한 심판의 오심 덕에 넣은 골이었다.[7] 2016년 1월 16일 아시아축구연맹 U-23 챔피언십 조별리그 C조 2차전에서 달성하였다.[8] K리그 최다, 최고령 해트트릭[9] K리그 1호 해트트릭. 초창기 두 시즌만 뛰고 군에 입대하면서 은퇴해 기억하는 팬들이 거의 없다. 전역 후에는 충청북도 보은군에서 체육 교사로 근무했다.[10] FIFA 월드컵 역사상 최단시간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 1982년 월드컵 1라운드 엘살바도르전에서 56분에 교체되어 들어온 후 70분, 73분, 77분에 골을 넣으며 7분 만에 해트트릭을 달성하였다! '와글와글 월드컵' 책을 보면 이 선수가 10분 동안 뛰었다고 적혀 있었는데, 실제로는 56분에 들어온 후 교체되어 나가지 않고 끝까지 뛰었고, 이때 10번을 달고 뛰기까지 했다. 책에서 오류가 난 듯.[11] 2015-2016 분데스리가 6R 경기 이후에 4개의 기네스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 중에는 분데스리가 최단 시간(3분 22초) 해트트릭 달성 기록이 있다.[12] 8월 5일 있었던 피지와의 조별리그 1차전에서 기록했다. 참고로 이 날 경기에서 8:0으로 압승을 거뒀다.[13] 전세계 프로리그 한정 최단시간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 1995년 란스크로나 BoIS를 상대로 1분 29초만에 해트트릭을 기록했다.[14] 2011년 8월 강원FC전에서 3골 3어시스트를 기록했다.[15] UCL 역사상 교체투입 최단시간 해트트릭으로 교체된지 27분만에 3골을 기록했다. 2위는 킬리안 음바페의 38분.[16] 챔피언스리그 최단 시간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17] K리그 최연소 해트트릭[18] FIFA 월드컵 역사상 첫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19] 12분과 13분, 그리고 15분에 3골 기록. 선제골을 넣고 2분 56초 만에 해트트릭 기록하며 EPL 역대 최단 시간 해트트릭이다.[20] 독일과 코트디부아르 이중국적이다. 다만 본인이 뛰는 클럽은 독일의 FC 바이에른 뮌헨이며(헤트트릭 역시 토트넘 홋스퍼 원정에서 넣은 것.), 소속 국대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이다.[21] 프리미어리그 최다 해트트릭 기록자. 전 기록자는 앨런 시어러.[22] 프리미어리그에서 뛰기 전 이미 분데스리가 팀 레버쿠젠에서 각각 함부르크와 볼프스부르크를 상대로 2번 해트트릭을 달성할 적이 있다. 총 합치면 네번째다.[23] EPL 진출 5년만인 20/21시즌두번째 해트트릭[22]이 나왔다. 유럽 5대 리그 역사상 아시아인 선수의 최초의 4골 득점자라는 새로운 기록도 나왔다. 그 외에도 1992년 EPL출범 이후 28번째로 한 경기 4골 이상 득점한 선수가 되었다.[24] 프리킥으로만 해트트릭을 달성한 적이 있다![25] 2002 월드컵 지역예선 미국령 사모아전에서 혼자 13골을 넣었다.[26] 네덜란드 에레디비시 최초로 페널티 킥 만으로 해트트릭[27] EPL-라리가-세리에 3개 리그에서 해트트릭 달성[28] 월드컵에서 한 경기에 4골을 넣고도 패배한 유일한 선수[29]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온두라스와의 조별리그 3차전에서 혼자 9골을 넣었다.[30] 1994 FIFA 월드컵 미국에서 스웨덴전 pk골 카메룬전 5골을 넣어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와 공동득점왕에 올랐다. [31] 전남전 3골,인천전 4골을 기록하였다.[32] 4분만에 해트트릭을 완성한 적이 있다.[33] K리그 챌린지 1호 해트 트릭[34] 2025-01-15 14:07:27까지 월드컵 결승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한 유일한 선수다.[35] QPR전에서 해트 트릭을 기록했으나, 첼시전에서 자살골 2골 PK 실축 1번으로 실수 해트트릭을 기록했다.(...)[36] UEFA 유로파 리그 8강 1차전에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팀의 4:2 승리에 1등 공신이 되었다. 이 해트트릭은 유로파리그 사상 최연소 해트트릭이다.[37] 월드컵 한 대회 최다득점자 이다. 13골이고, 2경기에서 해트트릭을 했다.[38] 아제르바이잔과의 유로 예선에서 선제골-자책골-결승골을 모두 넣는 등 혼자서 북치고 장구쳤다(...) 매우 드문 해트 트릭 케이스.[39] 전설로 회자되는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말레이시아전 5분 해트트릭[40] 본명은 하비에르 에르난데스[41] 페널티킥으로 3골 모두 넣으면서 특이한 케이스로 헤트트릭을 기록했다.[42]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에서 11골을 넣고 월드컵 최초의 2연속 해트트릭을 만들었다.[43]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조별리그 스페인전에서 3득점, 33세 131일의 나이로 역대 최고령 월드컵 해트트릭 기록.[44] 첼시 FC 최연소 해트트릭, 첫 해트트릭을 퍼펙트 해트트릭으로 기록.[45] 첼시 FC 최연소 해트트릭이었으나 같은 시즌 크리스천 풀리식에 의해 갱신.[46] FIFA 월드컵 최연소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 통산 해트트릭 92회, 4골 31회, 5골 6회 등의 기록도 갖고 있다.[47] UEFA 챔피언스리그 2019-20 시즌 갈라타사라이전에서 역대 최연소 퍼펙트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다.[48] K리그 최초로 페널티 킥 만으로 해트트릭[49] 골넣는 골키퍼로 유명한 파라과이의 전 국가대표. 유일한 골키퍼 해트트릭[50] 정식 포지션은 골키퍼고 페루의 역대 최고 골키퍼로 꼽히지만 주전 스트라이커의 부상으로 스트라이커로 출전한 경기에서 7골을 집어넣은 기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