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대학교/학부/게임학부

 




1. 개요
2. 학부
2.1.1. 게임소프트웨어전공
2.1.2.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


1. 개요


'''게임학부'''
遊戲學部/School of Games
학부
전공
게임학부
게임그래픽디자인
게임소프트웨어

'''게임학부 / 遊戲學部, School of Games'''

홍익대학교 게임학부 홈페이지
홍익대학교의 게임학부이다. 세종캠퍼스 소속의 학부이다.[1]
2002년에 신설된 학부. 덕분에 과기대만큼 학번별, 나이별 선후배 상하관계가 심하지 않다. 학번이 낮아도 보통은 나이가 많은 학생은 연장자 대우를 받는다. 프로그래밍을 전공으로 하는 학과와 미술계의 학과 두개의 분리된 학과를 하나의 학부로 다루는 곳. (사실 배우는 내용이 겹치는게 굉장히 적어서 사실상 게임이란 공통점 말고는 없다.) 2002년 처음 생겨날 때에는 '소프트웨어 게임학부' 라는 이름이었다. 당시의 전공명은 '소프트웨어과(현 게임소프트웨어전공)' 와 '게임과(현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 학부가 처음 만들어질 당시는 4년제 학교에서 보기 힘든 게임을 위한 학과라는 것에 주목을 받았었다. 2015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에서 게임분야 최우수 대학에 선정되었다.

2. 학부



2.1. 게임학부


'''게임학부'''
遊戲學部/School of Games
세계는 이미 정보사회에 진입해 있으며 전통적인 사업과 더불어 관광, 영화, 음악, 게임, 공연 등의 문화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게임을 비롯한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이를 육성 발전시키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게임학부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향후 게임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게임소프트웨어와 게임그래픽디자인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기본 목표로 하고 있다.
게임학부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집중 육성하고 있는 게임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지난 2002학년에설치한 독립학부로 게임소프트웨어전공(공학계열)과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미술계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과과정은 기본적으로 각 전공별로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하여, 독자적인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게임제작에 필수적인 일부 교과목과 전공간의 융복합을 위한 교과먹은 학부차원에서 공동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정규 교과목 이외에 매학기 전 학부생을 대상으로 에세이를 작성하게 하고 우수학생들을 시상함으로써 졸업 후 실무에서 필수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힘을 기울이고 있다. 학부 내에서 Exdio, I2P 등 게임제작 동아리 활동이 활발하며, 매년 외부 게임공모전에서 다수 입상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게임학부는 졸업을 위한 요건으로 졸업 논문 대신 졸업 프로젝트 수행을 설정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졸업생들에게 강의 중심의 수동적인 교육에서 탈피하여 팀워크를 통해 능동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 프로젝트를 통해 게임 캐기터 개발, 게임 엔진 및 툴 개발 등과 같은 실질적인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도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게임학부는 게임산업 현장에서 장기간 활약하여 유능한 인력을 교수 요원으로 충원하고 있으며, 졸업생들의 원활한 사회 진출을 돕기 위해 게임 산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 인력을 겸임 교원으로 초빙하여 실습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최첨단 장비 및 최신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습 위주의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졸업생들이 취업 후 바로 현업에 투입될 수 있도록 준비시키고 있다. 산학연계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교내 창업보육센터에 위치한 벤처기업과 공동 프로젝트 수행을 추진하고, 교내 기술혁신센터와 신기술 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하며 창업동아리도 활성화시킬 계획이다. 또한 공동 교류협정을 체결한 다수의 게임업체에서 3, 4학년 학생들이 방학 중 인턴쉽으로 실무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매년 국내 유수의 게임업체에 많은 졸업생이 취업하여 국내 게임업계를 이끌고 있다.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게임학부의 교육과정'''
'''분야'''
'''과목명'''
  • 소속 전임교수
'''홍익대학교 게임학부의 소속 교수'''
성명
직위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2.1.1. 게임소프트웨어전공

'''게임소프트웨어전공 / 游戏软件专业, Game Software Major'''

- 2002 : 홍익대학교 소프트웨어·게임학부 소프트웨어전공

- 2006 : 홍익대학교 게임학부 게임소프트웨어전공

'''게임소프트웨어전공'''
Major in Game Software
게임소프트웨어전공은 게임 모바일 플랫폼, 게임 클라이언트, 게임 서버 부분에서 게임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실무적인 구현 능력을 가진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산학, 수학, 물리 등의 기초 학문 교육을 제공하며 이를 활용하여 멀티 플랫폼 환경에서의 실무적인 게임 제작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한다.
1, 2학년에서는 교양 및 전공 기초과목들을 이수하여 게임관련 이론 및 배경지식을 습득하고, 3학년에서는 실제로 게임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개인적인 졸업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한다. 4학년에는 본격적인 졸업작품 제작 작업을 수행하면서 게임 모바일 플랫폼, 게임클라이언트, 게임서버, 외부 인사의 특강 등을 통해 게임산업과 일반 IT분야 취업에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한다.
줄여서 껨쏘, 학과명 그대로 게임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양성을 위해 만들어진 학과. 게임 클라이언트, 게임 서버, 게임 기획자 방면으로 취업을 많이 한다. 컴퓨터학과 커리큘럼 중 컴퓨터 그래픽스, 컴퓨터 네트워크 부분에 좀 더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보면 된다. 학과 내 다양한 게임 제작 동아리, 학술회 등의 운영이 활발하다. 매 학기 산업체 특강들이 들을만하다. 2학년 2학기 부터 코딩 과제가 많고 3학년 2학기 부터 약 1년간에 걸쳐 지도 교수와 지속적인 면담을 가지며 졸업 작품을 준비한다. 여타 다른 컴퓨터학과와 비슷하게 반강제적으로 코딩을 하게 된다. 상위권 학생들은 내년 3N 레벨의 회사에 꾸준히 취업한다. 재학 중에 국내 게임회사들로부터 인턴/아르바이트 소개 등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듯. 특히 가까운 ETRI 게임 관련된 연구소 쪽으로도 매 학기 방학 인턴을 간간히 나간다. 기획 수업들도 잘 구성되어 있어서 게임 프로그래머 이외에도 게임 기획 분야로도 취업이 많이 되는 편.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게임소프트웨어전공의 교육과정'''
'''분야'''
'''과목명'''
  • 소속 전임교수
'''홍익대학교 게임소프트웨어전공의 소속 교수'''
성명
직위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김혜영
교수
컴퓨터학(박사)
고려대학교
강신진
부교수
컴퓨터학(박사)
고려대학교
서범주
조교수
컴퓨터학(박사)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배병철
조교수
컴퓨터학(박사)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김예진
조교수
컴퓨터학(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1.2.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 / 游戏图形设计专业, Game Graphic Design Major'''

- 2002 : 홍익대학교 소프트웨어·게임학부 게임전공

- 2006 : 홍익대학교 게임학부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
Major in Game Graphics Design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은 캐릭터, 애니메이션, 그래픽,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디자인 등 복합적인 특성을 지닌 게임디자인 분야에 적합한 특성화된 디자인 교육을 지향하고, 나아가 게임특성을 지닌 멀티미디어 콘텐츠 디자인 및 엔터테인먼트 디자인분야 전반에 걸쳐 활용 가능한 멀티플레이어 디자이너 양성을 목표로 한다.
1, 2학년에서는 교양 및 전공 기초과목들을 이수하여 게임관련 디자인이론 및 배경실습을 습득하고, 3학년에서는 프로젝트/스튜디오 중심 교육을 강화하여 게임 그래픽 디자인에 관련된 전 과정을 실습하고 있다. 3학년 3학기부터 작품 제작을 시작하며, 4학년에는 게임에 활용될 것을 전제로 한 원화 중심의 졸업작품을 제작, 전시함으로써 게임산업을 비롯하여 첨단디자인과 관련된 다방면의 취업에 유용한 포트폴리오를 준비한다.
줄여서 껨그, 국내에 찾기 힘든 4년제 게임그래픽학과. 미술대학, 조형대학과 같은 미술계열 전공이다. 사고의 전환으로 실기시험을 치뤘으나 실기가 폐지되고 성적과 면접, 미술활동보고서를 보고 입학한다. 정시의 경우 면접이 빠지고 수능성적과 내신성적, 미술활동 보고서 점수를 합산하며 타 미술대와는 조금 특이한 점이 내신점수를 산출할 때 미술교과도 반영한다. 조형대학과 같이 미술계열 학과이지만 따로 분리되어있으며 당연한 얘기지만 게임회사 쪽으로 취업을 많이 한다. 국내 가장 큰 게임미술 학과이니 만큼, NC 같은 큰 게임회사에 이따금 신입 게임그래픽디자이너를 채용하기 위해 리쿠르팅이 오기도 한다. NC와는 인턴 협약이 되 있을 정도다. 참고로, 몇몇 전공과목은 영어로 수업하기도 하지만 결국 교수님이 한글패치를 한다... 여타 미술, 디자인 관련 학과에 뒤지지 않을 만큼의 숨막히는 과제량이 준비되어있으니...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의 교육과정'''
'''분야'''
'''과목명'''
  • 소속 전임교수
'''홍익대학교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의 소속 교수'''
성명
직위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백철호
교수
공학(박사)
KAIST
김나영
부교수
디자인학(M.E.T.)
Carnegie Melon University
서갑열
부교수
디자인학(박사)
세종대학교
안덕기
조교수
디자인학(박사)
동국대학교
김현지
조교수
디자인학(박사)
서울대학교
김규현
조교수
디자인학(M.A)
School of Visual Arts
[1] 홍익대학교의 이원화캠퍼스 체계는 다소 복잡하게 구성되어있는데, 서울캠퍼스(본교)와 대학로캠퍼스는 통합공시 이원화로 공시되어있고, 서울캠퍼스(본교)와 세종캠퍼스(제2캠퍼스)는 분리공시 이원화로 공시되어있다. 통합공시 이원화로 묶이는 두 캠퍼스는 물리적인 수업 장소만 나뉠 뿐 같은 대학(캠퍼스) 소속으로 구성되는 반면, 분리공시 이원화는 본교와 제2캠퍼스가 각각 서로 다른 대학(캠퍼스)로 구분되어 소재지와 대학 소속이 구별된다. (교육부 대학알리미 공시자료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