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tle Drug Royal
1. 개요
2차 창작 팀 팀 SO:DA에서 주최한 음MAD계 경연형 합작이다.
초기 시즌 1에서는 나는 약이다-나름 약이다 처럼 구름을 이용해 투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현재는 네이버 폼 투표를 이용하여 [1] 진행한다.
배틀드럭로얄의 경연 진행방식은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고 소스간 대결이 아닌 창작자들 끼리의 대결이다.
문서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시즌마다 한 팀에 참여할 수 있는 팀원 수가 시즌 넘버에 맞춰 늘어난다.
현재 진행 예정인 시즌 5는 한 팀에 최대 5명으로 지원을 할 수 있다는 말이다.
2. 진행 방식
1. 참가 팀의 팀원
- 참가 팀의 팀당 최대 인원은 시즌 수에 맞춘다.[2]
- 각 스테이지 종료 후[3]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 때, 팀 내의 인원이 최대 인원보다 적을 경우 추가 인원을 영입할 수 있으며, 이때 영입된 인원은 '서포터'로 칭한다.[4]
- 정식 팀원의 교체는 정말 어쩔 수 없는 경우에만 허용한다.
- 스텝의 경우[5] 편집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은 대회에 참가가 가능하다.
- 부계정 등을 이용해 다수의 팀에 참가한 사실이 발각된 경우 해당 합성러를 실격처리하고, 서포터로의 영입도 불가능하다.
2. 각 스테이지 진행- 각 스테이지 종료 후[3]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 때, 팀 내의 인원이 최대 인원보다 적을 경우 추가 인원을 영입할 수 있으며, 이때 영입된 인원은 '서포터'로 칭한다.[4]
- 정식 팀원의 교체는 정말 어쩔 수 없는 경우에만 허용한다.
- 스텝의 경우[5] 편집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은 대회에 참가가 가능하다.
- 부계정 등을 이용해 다수의 팀에 참가한 사실이 발각된 경우 해당 합성러를 실격처리하고, 서포터로의 영입도 불가능하다.
0스테이지(예선) : 지원 팀이 각자 40초 이내의 영상을 하나씩 제출하여 본선에 진출시킬 상위 12팀을 결정한다.
1스테이지[6] : 점수가 낮은 팀부터 상대를 골라 6개의 조를 짠 뒤 1vs1로 진행한다.
2스테이지[7] : 1스테이지에서 승리한 6팀이 같은 규칙으로 3개의 조를 짜 진행한다.
3스테이지[8] (파이널 스테이지) : 소스와 영상 길이 제한이 풀린다. 2라운드에서 승리한 3팀이[9] 각각 전반, 후반 영상을 제작하여[10] 투표를 통해 최종 우승 팀을 결정한다.
3. 시청자 투표1스테이지[6] : 점수가 낮은 팀부터 상대를 골라 6개의 조를 짠 뒤 1vs1로 진행한다.
2스테이지[7] : 1스테이지에서 승리한 6팀이 같은 규칙으로 3개의 조를 짜 진행한다.
3스테이지[8] (파이널 스테이지) : 소스와 영상 길이 제한이 풀린다. 2라운드에서 승리한 3팀이[9] 각각 전반, 후반 영상을 제작하여[10] 투표를 통해 최종 우승 팀을 결정한다.
- 각 라운드 종료 후 시청자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팀을 투표를 통해 결정한다.
- 예선과 파이널 스테이지는 가장 마음에 든 한 작품을 뽑고, 나머지 스테이지에서는 각 조에서 더 잘 만든 쪽을 고른다.
- 시청자 투표 수에 감점 여부를 종합해 최종 점수를 합산한다.
4. 승점 제도- 예선과 파이널 스테이지는 가장 마음에 든 한 작품을 뽑고, 나머지 스테이지에서는 각 조에서 더 잘 만든 쪽을 고른다.
- 시청자 투표 수에 감점 여부를 종합해 최종 점수를 합산한다.
- 시즌 5의 경우 시청자 투표 점수에 추가로 승점 제도가 적용된다.
- 대진표가 좋지 않아 우승후보가 초반에 광탈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도입되었다.
1) 예선 종료 시 각 팀은 '투표에서 얻은 득표율(%) x 10'만큼의 승점을 얻는다.
2) 1, 2스테이지에서 승리 팀은 '패배팀의 원래 승점 x 표 점유율(%)' 만큼의 승점을 패배 팀으로부터 뺏어온다.[11]
3) 3스테이지에서도 승점 제도가 유지된다.
- 대진표가 좋지 않아 우승후보가 초반에 광탈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도입되었다.
1) 예선 종료 시 각 팀은 '투표에서 얻은 득표율(%) x 10'만큼의 승점을 얻는다.
2) 1, 2스테이지에서 승리 팀은 '패배팀의 원래 승점 x 표 점유율(%)' 만큼의 승점을 패배 팀으로부터 뺏어온다.[11]
3) 3스테이지에서도 승점 제도가 유지된다.
- 팀이 실격처리될 시 모든 승점을 상대 팀이 가져간다.
- 1스테이지 시작 시에 각 팀은 사용하고 싶은 소스 3가지를[13] 고르고, 라운드를 진행할 때마다 그중 하나를 상대 팀이 밴하여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 밴당하지 않은 2가지 소스를 이용해 작품을 제작하고, 까메오 소스의 경우 최대 3가지의 소스를 각각 5초까지 허용한다.
- 이전 스테이지에서 밴된 소스는 다음 스테이지에서는 밴할 수 없다.
- 다음 스테이지 진행 시 3가지 소스 중 밴되었던 소스를 제외한 2가지 소스를 다른 소스로 변경할 수 있다.
6. 감점- 밴당하지 않은 2가지 소스를 이용해 작품을 제작하고, 까메오 소스의 경우 최대 3가지의 소스를 각각 5초까지 허용한다.
- 이전 스테이지에서 밴된 소스는 다음 스테이지에서는 밴할 수 없다.
- 다음 스테이지 진행 시 3가지 소스 중 밴되었던 소스를 제외한 2가지 소스를 다른 소스로 변경할 수 있다.
- 오버런 시 1~8일 당 각각 20/38/53/65/75/83/88/90%의 감점이 적용하고 투고일까지 미제출한 경우 실격처리한다.
- 부정행위(디코 내 폭언, 과한 언쟁, 인신공격성 발언, 소스제한 어김 등)발각 시 경고스택이 쌓이며, 이 스택은 스테이지가 바뀌어도 초기화되지 않는다.
- 경고 스택 1개 당 25/50/75/100%의 감점이 부여된다. 죄질에 따라 첫 경고일지라도 50%, 100%의 감점을 부여할 수 있다.
7. 익명 룰- 부정행위(디코 내 폭언, 과한 언쟁, 인신공격성 발언, 소스제한 어김 등)발각 시 경고스택이 쌓이며, 이 스택은 스테이지가 바뀌어도 초기화되지 않는다.
- 경고 스택 1개 당 25/50/75/100%의 감점이 부여된다. 죄질에 따라 첫 경고일지라도 50%, 100%의 감점을 부여할 수 있다.
- 매 스테이지 경연 중 모든 팀은 진짜 팀명이 아닌 가명을 내걸고 경연을 진행한다.[14]
- 스테이지 결과 발표 때 각 팀의 팀명과 승점을 공개하고, 이때부터 단품 투고가 가능하다.
- 탈락하지 않은 팀이 단품을 투고할 경우 팀원 및 팀명을 밝힐 수는 있으나 팀 소다와 배틀드럭로얄에 대한 홍보 목적 언급이 필요하다.
8. 기타- 스테이지 결과 발표 때 각 팀의 팀명과 승점을 공개하고, 이때부터 단품 투고가 가능하다.
- 탈락하지 않은 팀이 단품을 투고할 경우 팀원 및 팀명을 밝힐 수는 있으나 팀 소다와 배틀드럭로얄에 대한 홍보 목적 언급이 필요하다.
- 스테이지의 선후공(업로드 영상의 공개 순서)은 마감을 먼저 끝낸 팀이 정한다.
3. 시즌
2021년 기준, 시즌 5의 2번째 스테이지까지 진행되었다.
시즌 1 문서 보러가기
시즌 2 문서 보러가기
시즌 3 문서 보러가기
시즌 4 문서 보러가기
시즌 5 문서 보러가기
4. 여담
상술했듯이 티비플의 고전 방식인 AorB식 경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토너먼트제를 시행하거나 닉네임 미공개를 도입하는 등 진보는 있었다. 시즌1에선 일단 참가자는 공개하고 블라인드 평가를 받다가, 2~3시즌에서는 명단까지 지웠다가 4부터는 참가 표명만 밝힐 수 있게 하여 돌아왔다.
또한 음매드 장기 경연합작들의 고질적 징크스인 2라운드의 노잼화와 별반 다르지 않은 부분도 있다. 다양한 스타일의 작품들이 나왔던 1라운드에 비해 2라운드에서는 대부분이 진지하고 청아한,
조교와 스토리 위주의 매드를 만들다 보니 "약이 부족하다", "배틀 감동 로얄이냐"는 비판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 부분은 소스 제한이 해제된 결승전에서 해소할 수 있었다는 것. [15]
이 배틀드럭로얄은 한국 음매드 경연합작 역사상 가장 수명이 긴 합작이라 볼 수 있다. 2016년을 기점으로 무려 4년간 죽지 않고 항상 돌아온다는 것은 팀 소다가 배틀드럭로얄에 정이 든 것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2020년 다섯 번째 시즌으로 달릴 예정이긴 한데, 이 시즌이 진짜 마지막이 될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
크레딧을 살펴보면 주최자가 몇번 바뀌는 걸 볼 수 있는데, 사실상 한 시즌을 마치고 전 주최가 총괄 자리를 내려놓으면 팀 내의 누군가가 각잡고 다시 여는 방식인 듯 하다. 실제로 장기간 운영되었던 타 합작인 합필리나 본격적 남고제도 주최가 몇번 바뀌었고 그 때문에 공백이 생기기도 했다. 그런데 이쪽은 공백기도 짧다. 사실 한 시즌이 길고 연례행사로 정해진 게 아닌 것도 고려해야 하지만, 컨텐츠의 양을 보았을땐 그래도 훨씬 짧다.
사실상 티비플 자체가 섭종 루트를 타고 이웃이자 소리매드팀의 원조던 디지털 드럭 등도 흐지부지 되버린, 소리MAD에 있어 팀의 의미 자체가 퇴색되어가는 상황에서 소다 팀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최후의 노력으로 보인다.
[1] 이유인 즉슨, 아이디를 많이 만들 수 있는 구글의 구글 폼에서 불공정 투표가 이루어질 것 같았기 때문.[2] 시즌 5의 팀원은 5명까지로 제한하는 식이다.[3] 투표 결과 집계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4] 주로 이전 라운드 탈락 팀 멤버 중 능력 있는 합성러를 서포터로 들이는 경우가 많다.[5] 대회의 운영진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6] 시즌 5의 경우 1, 2스테이지[7] 시즌 5의 경우 3스테이지[8] 시즌 5의 경우 4스테이지[9] 예외적으로 시즌 4의 경우 2스테이지 탈락 팀 중 상위 3팀이 패자부활전을 진행하여 4팀이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하였다.[10] 예외적으로 시즌 4의 경우 전반, 후반전을 통합해 한 개의 영상으로 진행하였다.[11] 그렇기 때문에 1라운드에서 패배하더라도 탈락되지 않는다.[12] 예선과 파이널 스테이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13] 합필 소스는 하나로 치고, 팀 소다 정책상 정치적 소스는 픽할 수 없다.[14] A, B, C 팀 등[15] 다만 PV식 합성 및 YTPMV 장르까지 전부 싸잡아 약으로 평가하는 것도 보기 좋은 행동은 아니다. 일부 시청자 및 제작자들은 약이라는 용어를 싫어하기도 하니 남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