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ut/부품/무기
1. 개요
Crossout의 무기를 설명하는 문서다. 에픽, 레전더리, 렐릭 무기는 각각 10, 14, 20 레벨부터 거래 가능하며, 기본적으로는 스페셜 등급부터 무기의 기본적인 사용법 말고도 특수 능력이 추가된다. 부품 성능에 퍼센티지는 해당 무장군 내에서의 상대적인 수치일 뿐이므로 다른 무장군과의 비교 용도로는 적절하지 못하다.
무기 기본 정보를 틀:Crossout/부품/무기를 이용해 기재한 후, 표 밑에 추가 정보를 기재해주시기 바랍니다.
2. 충각
기본적임과 동시에 무기가 모두 박살났을때 최후의 공격수단 1. 들이박거나 박히는 차량의 무게와 속도에 따라 피해량이 달라지며 범퍼나 패시브 근접 무기를 달아서 충각 피해를 올릴 수도 있다. 근접 무기들은 충각 피해 저항을 가지고 있지만 대충 박았다간 부품이 설치돼있는 차대나 프레임이 깨져서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충각을 하는데에도 약간의 요령이 필요하다.
2.1. 자폭
무기가 모두 박살났을때 최후의 공격수단 2. 본인의 차량이 완전히 무력화가 되지 않았더라도 가망이 없다 싶을때 감행하기도 한다. 기본 자폭키 백스페이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캐빈에 빨간불이 들어오면서 자폭 시퀀스가 시작되고 5초간의 발동시간동안 격파되지 않는다면 차량이 폭발하며 근접한 적들에게 피해를 입힌다. 자폭시점에 차량에 폭발성 하드웨어가 있으면 그것들도 각자의 폭발 범위와 피해량만큼 폭발을 일으킨다.
3. 머신건
3.1. 머신건
가장 기본이 되는 범용 무장군이다. 360도 회전 가능하며 사격각도 제일 넓고 히트스캔인 탄속과 높은 지속 화력을 지녔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으로 쓰인다. 단점이라면 무기의 낮은 내구도와 순간 화력이다.
중거리 지속 화력이 매우 뛰어난 무기 중 하나이며 포신 회전속도가 매우 빨라서 샷건 만큼이나 적의 무기를 파괴하기 좋은 무장이다. 특히 초기 집탄률이 좋은 편이지만 연사하면 집탄률이 심하게 퍼지기 때문에 중거리에서 점사로 적의 무장 혹은 주요 부품을 노리는 것이 좋다.
샷건이나 래피드 머신건에 비해서는 근접 시 순간 화력이 밀리니 상대적으로 긴 사거리를 이용해 중거리에서 상대하자.
게임 시작 시 기본적으로 지급하는 머신건.가장 효과적인 기관총입니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머신건.약점을 빠르게 공격하는 데 뛰어납니다.
중거리에서 적을 빠르게 처치할 수 있습니다.
노매드 평판 레벨 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머신건.하급 모델로부터 모든 면이 개선된 머신건입니다.
노매드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머신건.훌륭한 집탄률을 가진 래피드 머신건입니다. 이전 모델에서 공격력을 향상시켰습니다.
노매드 평판 레벨 5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머신건.2연장 머신건입니다. 더 높은 피해를 입히지만 그 댓가로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노매드 평판 레벨 1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머신건.이 머신건은 강심장이 있어야만 최대 피해를 입힐수 있지만, 출중한 사수만 있다면 중거리에서도 뭐든지 상대할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2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머신건.세간의 소문에 따르면, 노매드들은 이상현상으로부터 살아서 빠져나오는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놀랄 것도 없죠. 그들 차에 달린 '퍼니셔'만 있다면 누구나 가능할겁니다.
3.2. 프론탈 머신건
사격각이 전방으로 제한되는 대신 일반 머신건보다 체력이 높아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동급 일반 머신건보다 낮은 집탄률을 갖는다.
노매드 평판 레벨 1 달성시 제작 가능한 프론탈 머신건.훌륭한 명중률을 가졌습니다. 사격 각도가 제한됩니다.
Frostburn, Assault Force: Tango-1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프론탈 머신건.훌륭한 명중률을 가졌습니다. 에너지 필요량이 줄었습니다. 사격 각도가 제한됩니다.
노매드 평판 레벨 5 달성시 제작 가능한 프론탈 머신건.훌륭한 집탄률을 가졌습니다. 피해 저항이 증가했습니다. 사격 각도가 제한됩니다.
3.3. 래피드 머신건
머신건과 샷건의 중간 정도 되는 성격의 무기로, 머신건보다 연사력이 대폭 빠르지만 집탄률이 낮고 과열이 빠르다는 단점이 있다. 근거리에서는 샷건에게, 중거리 이상에서는 머신건이나 미니건에게 밀리므로 적절한 거리 유지가 관건인 무장군이다.
머신건이 그래도 초기집탄률은 괜찮았던 것과는 달리 이 쪽은 초기집탄률마저 매우 나쁘며 당연히 연사하면 집탄률 감소는 더 심하다. 거리별 피해량 감소 역시 더 심한 것은 덤. 하지만 연사력이 거의 2배 수준으로 빠르기 때문에 근거리 화력은 당연히 래피드 머신건의 압승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초근접전에서 적의 무장을 떼기에는 머신건보다 더 적합하지만 조금만 거리가 벌어져도 적의 무장만 빠르게 떼기에는 부적절한 편이니 사거리에 여유가 있는 머신건 버전 샷건 처럼 운용하는 편이 권장된다.
이 카테고리의 모든 무기들을 생산하기 위해선 크로스아웃 스토리 1장을 전부 클리어해야 한다.
3.4. 미니건
발사하면 약간의 예열 시간을 두고 발사되는 지속 화력이 뛰어난 무장군이다. 과열이 매우 느리고 사거리가 머신건보다 길며 정확도가 높지만 근거리 화력은 머신건보다 낮고 본격적인 원거리무기에 비해서는 사거리가 짧다.
머신건에 비해서는 사거리가 상당히 길며 집탄률이 머신건의 2배 수준으로 높은데다 거리별 피해량 감소 역시 적어 중거리 대응력이 매우 뛰어나다. 하지만 포신 회전속도가 머신건에 비해 느리며 예열시간까지 있다보니 순간 대처능력이 머신건에 비해 매우 떨어진다. 그러므로 중거리 이상에서 머신건을 상대하는 편이 좋다.
하지만 머신건에 비해 사거리가 길다고는 해도 당연히 캐논이나 오토캐논에게는 사거리 면에서 상대가 안 되며 캐논류 중 그나마 사거리가 가장 짧은 터렛 캐논에게도 원거리로 갈 수록 불리해지는 상성이란 걸 잊으면 안 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 근거리로 갈 수록 미니건이 유리해지는 상성이니 반대로 이들을 상대로는 근접전을 하는 것이 좋다.
노매드 평판 레벨 8 달성시 제작 가능한 미니건.
노매드 평판 레벨 11 달성시 제작 가능한 미니건.
노매드 평판 레벨 12 달성시 제작 가능한 미니건.
다른 미니건과는 달리 탄속과 탄약 제한이 있다.
3.5. 자동화 무기
시야 안의 적 중 하나에 대해 조준을 활성화하면 그 대상을 자동으로 공격한다. 조준대상은 자유자재로 변경 가능하며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지면 조준이 해제된다. 캐빈을 조준해서 공격하기에 극단적으로 화력이 높고 체력이 낮은 양학 빌드 상대로 그나마 효과적이다.
스테픈울프 평판 레벨 5 달성시 제작 가능한 자동화 무기.
4. 샷건
근접전에서 높은 위력을 보여주는 무장이다. 다만 과열시간이 굉장히 짧고 중거리에서는 피해량이 급격하게 낮아진다.
과열식과 재장전식이 있는데 두 샷건 모두 래피드 머신건 이상으로 근접전에 강하며 그 중에서도 재장전식이 더 극단적으로 근거리에 특화되어 있다. 당연히 원거리 전투는 절대 불가능하다. 또한 프론탈 샷건이 존재하는데, 프론탈 머신건처럼 사격각이 제한된 대신 내구도가 높고 일반 과열식 샷건보다 연사속도가 빠르다.
특히 재장전식은 사실상 붙어서 쏴야지 맞을 정도로 사거리가 굉장히 짧다. 대신 그 만큼 높은 순간화력과 DPS를 가지고 있지만 사용이 매우 까다로운 무기라 주의가 필요하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3 달성시 제작 가능한 과열식 샷건.
루나틱 평판 레벨 1 달성시 제작 가능한 과열식 샷건.
엔지니어 평판 레벨 7 달성시 제작 가능한 프론탈 샷건.
루나틱 평판 레벨 4 달성시 제작 가능한 프론탈 샷건.
다른 샷건과는 달리 2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사격각이 매우 제한적이다. 대신 충각 피해 내성이 있고 피해 관통까지 있어 실질 내구가 높은 편이다.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2 달성시 제작 가능한 재장전식 샷건.
루나틱 평판 레벨 3 달성시 제작 가능한 과열식 샷건.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프론탈 샷건.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재장전식 샷건.
다른 샷건과는 달리 발사 시 잠시 후 탄환이 나뉘어 더 넓은 범위에 피해를 주기에 적절한 거리 유지가 중요하다.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7 달성시 제작 가능한 재장전식 샷건.
루나틱 평판 레벨 5 달성시 제작 가능한 과열식 샷건.
루나틱 평판 레벨 5 달성시 제작 가능한 프론탈 샷건.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11 달성시 제작 가능한 재장전식 샷건.
루나틱 평판 레벨 9 달성시 제작 가능한 과열식 샷건.
엔지니어 평판 레벨 2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과열식 샷건.
5. 오토캐논
기관포로, 원거리에서 위력적인 무장이다. 과열도 빠르지 않고 명중률, 피해량 모두 모자랄게 없으며 탄착지점에 약간의 폭발 피해도 있지만 포신 회전속도가 캐논 수준으로 느리고 탄속이 있기 때문에 근접전에서는 쓰기 힘들다. 예외로 AC64 Joule과 Whirl은 근중거리용으로, 일반 오토캐논보다 연사속도가 빠르고 집탄률이 낮다.
에픽 등급 까지는 같은 등급의 캐논보다 높은 원거리전 성능을 가지고 있다. 히트스캔이 아닌 투사체이지만 투사체 속도가 매우 빠르며 거리별 데미지 감소도 없다. 거기에 캐논의 경우 에픽등급 까지는 탄속이 그렇게 빠르진 않은 편이라 더더욱 부각된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오토캐논.
노매드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오토캐논.
Born Free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오토캐논.
노매드 평판 레벨 5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오토캐논.
Doomsday cars 배틀패스 레벨 5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오토캐논.
다른 오토캐논과는 달리 폭발 피해가 아닌 탄환 피해를 입힌다.
스테픈울프 평판 레벨 1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오토캐논.
6. 캐논
6.1. 캐논
사격각이 전방으로 제한되어있고 반동이 심하지만 포탑형 캐논보다 탄속이 빠르고 연사력이 느리다. 사격각이 전방으로 제한된 탓에 다루기가 까다롭지만 높은 화력을 보여주며 레전더리 이후부터는 사거리까지 매우 길어진다.
전형적인 중장거리 특화 무기이지만 포신 방향만 잘 맞춰준다면 근접전도 가능하기는 하다. 그렇지만 사격각 제한이 큰 단점이기에 실질적으로는 중장거리에서 저격하는 위주로 플레이를 하게 된다.
고정 캐논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가장 핵심은 바로 포신 방향과 쏠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이것만 잘 해도 반은 먹고 들어가지만, 적에게 측후방을 잡힌다면 이길 가능성이 매우 적어진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5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캐논.
스캐빈저 평판 레벨 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캐논.
스캐빈저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캐논.
스캐빈저 평판 레벨 5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캐논.
스테픈울프 평판 레벨 1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캐논.
엔지니어 평판 레벨 2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캐논.
6.2. 터렛 캐논
360도 회전되는 포탑형 캐논이다. 위력과 폭발 범위가 고정형 캐논보다 크고 내구도도 높지만 에픽 등급 까지는 에너지 1을 더 소모하며 포탑 선회 및 차량 이동 중 탄착군 퍼짐도 심한편이다.
높은 내구도, 선회 가능, 낮은 집탄률이 조합되어 일반 캐논처럼 멀리서 저격하기보단 아군과 같이 다니면서 근중거리에서 딜을 넣는 탱커 역할에 아주 잘 어울린다. 차량의 선회력이 따라준다면 경무장 차량들이 근처에서 뺑뺑이를 돌 때 영거리 사격의 무서움을 보여줄 수도 있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터렛 캐논.
스캐빈저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터렛 캐논.
Fresh Blood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터렛 캐논.
동급 터렛 캐논인 팻맨과는 달리 이동 중 탄퍼짐이 적다.
스캐빈저 평판 레벨 5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터렛 캐논.
스캐빈저 평판 레벨 1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터렛 캐논.
엔지니어 평판 레벨 2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터렛 캐논.
발사버튼을 꾹 눌러 충전하면 총 2발을 발사해 초탄으로 부품을 가열하고 후속타로 가열된 부품에 높은 피해를 입힌다.
6.3. 소구경 캐논
다른 캐논과는 달리 폭발하지 않고 탄환 피해를 주는 무장군이다. 탄속이 빠른 편이므로 고정 캐논처럼 중장거리에서 저격하는 식으로 운용하는 방법이 권장된다.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소구경 캐논.
7. 로켓 발사기
7.1. 무유도 로켓 발사기
크기가 작고 내구도가 낮지만 캐논에 맞먹는 피해를 입히는 히트 앤 런에 최적화된 무장이다. 내구도가 낮은 것이 큰 단점이므로 차량 하단에 숨기는 등의 방법으로 쉽게 파괴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루나틱 평판 레벨 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무유도 로켓 발사기.
Doomsday cars 배틀패스 레벨 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무유도 로켓 발사기.
Frostburn (Deluxe)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무유도 로켓 발사기.
루나틱 평판 레벨 5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무유도 로켓 발사기.
7.2. 유도 로켓 발사기
Assault Force: Charlie-7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유도 로켓 발사기.
무기에서 조준선이 가리키는 곳까지 빨간색 유도선이 나와 해당 지점으로 로켓이 유도된다.
스테픈울프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유도 로켓 발사기.
발사 후 로켓의 시점으로 전환되어 로켓의 진행방향을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유도 방식이다, 차량에 1개만 장착 가능하다. 10초간의 제한시간이 경과하거나 도중에 우클릭을 눌러 방향제어를 중단 및 가속시키면 그대로 직진하여 충돌하는 물체가 없거나 추가 클릭시 허공에서 자폭한다. 기본적으로 로켓은 지면위로 낮게 비행하며 고도조절은 불가하며 어느정도의 경사는 알아서 타지만 급경사나 벽은 넘지 못한다. 뉴트리노 조준경을 작동시킨채로 발사하면 열상화면 상태로 로켓을 조종할 수 있다.
7.3. 프론탈 로켓 발사기
Explosive Santa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프론탈 로켓 발사기.
7.4. 호밍 로켓 발사기
앞선 유도 로켓 발사기와는 달리 발사 후 추가 컨트롤이 필요 없는 유도 방식이다. 락온된 상대에게는 로켓 경보가 뜨며 사각으로 숨거나 날아오는 로켓을 쏴서 터트릴수도 있고 방어 모듈인 Augus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로켓의 내구도가 머신건 한두발로도 파괴될 정도로 매우 낮고 하나를 파괴하면 폭발 피해로 나머지 로켓도 파괴되므로 머신건, 오토캐논 등의 무기는 상대하기 어려운 편이다. 여러모로 패널티가 있지만 편리한 사용법으로 승부를 보는 무장군이다.
스캐빈저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호밍 로켓 발사기.
스캐빈저 평판 레벨 9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호밍 로켓 발사기.
7.5. 정밀 로켓 발사기
위로 발사되고 적 차량의 상부에 부착되어 일정시간 후에 폭발한다. 다른 유도 로켓 발사기와 호밍 로켓 발사기에 비해 사거리가 짧고 선회력이 높다.
Amusement Park 배틀패스 레벨 5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정밀 로켓 발사기.
8. 유탄 발사기
캐논보다 빠른속도로 360도 회전이 되면서 피해량은 캐논류에 맞먹는 유탄을 연사할 수 있는 무장군이다. 대신 탄약 제한과 과열 제한이 동시에 걸려있고 느린 탄속과 더불어 탄낙차가 심하기 때문에 게임 내 설명대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무리해서 중장거리 포격을 하지 않고 근거리전을 한다면 느린 탄속을 어느정도 커버하면서 높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스캐빈저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유탄 발사기.
노매드 평판 레벨 9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유탄 발사기.
9. 에너지 무기
던스 칠드런 팩션의 하이테크 무기들이 포진해있다. 같은 팩션제 캐빈인 퀀텀에 에너지 무기와 시너지를 이루는 특수 능력이 달려있으니 에너지 무기 빌드라면 해당 캐빈을 같이 써주면 좋다. 다만 컴뱃 레이저는 자체 딜링보다는 가열을 이용한 보조용에 가까워서 퀀텀보다는 포톤 캐빈이 적합하고 스파크는 주무장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있어 퀀텀 캐빈에 쓰이지는 않는 편이다.
9.1. 플라즈마 이미터
과열과 탄약 제한이 없고 재장전 방식도 아닌 독특한 작동방식을 가진 무장군이다. 발사 버튼을 꾹 누르면 충전 후 플라즈마 탄 5발을 연달아 발사하며 탄퍼짐도 매우 적다. 포신 회전속도가 느리고 사거리 제한이 있으니 사거리 조절에 주의해야 한다.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플라즈마 이미터.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플라즈마 이미터.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1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플라즈마 이미터.
9.2. 컴뱃 레이저
명중한 부품을 가열시키는 레이저 버전 미니건이다. 무기 자체의 화력은 낮은 편이고 유효 사거리도 머신건보다 짧다. 주로 오로라 한정과 이퀄라이저 또는 아비터 미니건 조합을 많이 쓴다. 두 무장의 과열 수용량과 상승치 및 연사력이 동일하여 싱크가 딱 맞기 때문이다.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컴뱃 레이저.
9.3. 레이저 샷건
Doomsday cars 배틀패스 레벨 3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레이저 샷건.
9.4. 플라즈마 건
탄속이 느리지만 낙차가 없는 플라즈마 구체를 발사하는 터렛 캐논의 에너지 버전 정도인 무장군이다. 이동 중이나 포탑 선회 시 탄착군 퍼짐이 캐논류보다 적다. 느린 탄속으로 인해 피하기가 쉬우므로 너무 멀리 있는 적 보다는 가까운 적을 공격하는 편이 좋다.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5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플라즈마 건.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1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플라즈마 건.
9.5. 레이저 드릴
빔 형태로 발사되고 공격한 부품을 가열하는 효과가 있어 체력이 높은 부품과 캐빈을 일점사하는데 특화된 무장군이다.
Return of the Founders 배틀패스 레벨 5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레이저 드릴.
9.6. 플라즈마 커터
피해 관통 효과가 달린 그릴 등의 부품을 파괴하는데 특화된 무장군이다.
Return of the Founders 배틀패스 레벨 2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플라즈마 커터.
9.7. 테슬라 이미터
조준점 주위의 모든 차량에 피해를 입히는 전기빔을 방전하는 무장군이다. 사거리가 매우 짧고 피해량도 높지 않지만 목표가 조준점의 좌우 60° 정도 안에만 있으면 자동 타게팅이 된다. 이 기능은 드론류에도 적용되므로 이들을 요격할때도 유용하다. 주로 근접무기에 부무장으로 쓰인다.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1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테슬라 이미터.
엔지니어 평판 레벨 2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테슬라 이미터.
9.8. 전기 무기
발사버튼을 꾹 눌러 충전 시 투사체 속도와 피해량이 높아지는 무장군이다. 주로 조준경을 사용해 중장거리에서 운용한다.
Return of the Founders 배틀패스 레벨 59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전기 무기.
10. 석궁
스파이크와 토드피시는 투사체에 상당한 넉백 효과가 있어 가벼운 차량이나 호버 빌드 상부에 여러발을 맞춘다면 뒤집을 가능성이 있다.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석궁.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석궁.
다른 석궁과는 달리 투사체 자체에는 피해를 입지 않지만, 적에게 박히면 몇초 후 폭발하여 높은 피해를 입힌다. 폭발하기 전에 아군이 투사체를 쏴서 제거하면 피해를 입지 않는다.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석궁.
11. 근접 무기
11.1. 폭발물
충각 피해를 입힘과 동시에 긴 막대기 끝에 달린 폭탄 부분에 적이 닿으면 폭발하는 1회용 무기. 에너지 1을 소모하며 위력대비 저렴한 코스트와 무게덕에 여러개달고 은신 모듈까지 달아 최소 한 놈은 확실하게 보내버리겠다는 죽창 빌드가 주로 보인다.
루나틱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폭발물.
루나틱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폭발물.
11.2. 근접 무기
부품의 날붙이 부분에 접촉시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는 무장군이다. 충각 피해와 같은 근접 무기의 공격에는 어느정도 피해 저항이 있으나 차대 부품쪽 칼날과 범퍼, 트랙 종류도 마찬가지니 상대방에게 접근할때 해당 부분을 피하도록 주의하자. 스캐빈저제 기차범퍼나 아머드 트랙같은데 박았다간 세월아 내월아 톱질하다가 역관광 당한다.
레전더리 등급인 하베스터는 특수 능력으로 인해 사실상 테슬라 이미터와 같이 써야만 제대로된 피해를 입힐 수 있으니 유의하자.
스캐빈저 평판 레벨 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근접 무기.
루나틱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근접 무기.
루나틱 평판 레벨 1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근접 무기.
11.3. 체인소
근접 무기와 크게 다를게 없는 무장군이다. 특수 능력 적용을 위해 분리된 듯하다.
루나틱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체인소.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체인소.
12. 화염 무기
12.1. 화염 방사기
공격한 부품을 가열시키는 무장이다. 보이는 이펙트와는 다르게 탄속이 상당히 느려서 상대가 좌우로 움직이면 맞추기가 힘든 편이다.
Pestilence 팩을 구매할 시 획득 가능한 화염 방사기.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1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화염 방사기.
엔지니어 평판 레벨 2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화염 방사기
12.2. 투석기
공격 시 불장판을 남긴다. 불장판은 범위 내에 있는 적 차량의 모든 부품을 가열시키고 부품 당 1초에 피해를 3씩 입힌다. 이 점을 이용해 떡장을 한 적에게 강력한 카운터를 먹일 수 있다. 이동수단의 지상고 차이를 이용해 차체를 기울여 최소 사격거리를 줄일 수 있다.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투석기.
12.3. 곡사포
공격 시 불장판을 남긴다.
스테픈울프 평판 레벨 9 달성 시 제작 가능한 곡사포.
13. 지뢰 살포기
각 무기별로 특색이 뚜렷한 무장군이다.
Spectral Hunter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지뢰 살포기.
Assault Force: Tango-1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지뢰 살포기.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1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지뢰 살포기.
엔지니어 평판 레벨 2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지뢰 살포기.
사격 시 작은 드럼통을 하나 발사하며, 사출된 드럼통은 적과 접촉하거나 10초의 지속시간이 지나면 폭발하면서 불장판을 남긴다.
14. 드론
드론과 휠 드론, 터렛이 있다. 비행형 드론의 경우 띄워놓으면 에픽 등급 까지는 차량위를 낮게 날면서 가까이 오는 적에게 사격하며, 지상형 드론은 사출자의 주변을 돌아다니다 근처에 적 차량이 들어오면 주변을 맴돌면서 사격한다. 종류를 망라해서 에픽 등급 까지는 공통적으로 사출기당 사출 횟수는 4회 분량이고 던스 칠드런제 하드웨어 부품인 마이크로팩토리를 장착하면 1기씩 증가한다.
터렛의 경우 제자리에서 사격하는 방식. 셋 모두 시간이 지나면 자폭한다. 사출기가 파괴될 경우에도 해당 부품이 사출한 드론은 자폭한다.
셋다 파괴가능하며, 파괴할 때마다 스티커를 준다.
14.1. 드론
차량 위를 낮게 날면서 주변 적에게 피해를 입히는 비행형 드론이다. 체력이 매우 낮아 사용하기 어려운 편이다.
노매드 평판 레벨 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드론.
노매드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드론.
노매드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드론.
Return of the Founders 배틀패스 레벨 7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드론.
다른 드론과는 달리 직접 목표를 설정해 해당 목표에게 드론을 보내는 방식이다. 사거리에 제한이 있고 드론과의 거리가 멀어지면 본인에게 되돌아온다.
14.2. 휠 드론
사출하면 사용자의 주위를 멤돌다 일정범위 내에 적을 발견하면 적에게 이동해 공격하는 지상형 드론이다. 지면을 주행하는 특성상 전복될 일이 많아 카잭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뒤집혀도 바로 원상복구한다. 사출기 상단에 표시된 방향으로 터렛이 사출된다.
스테픈울프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휠 드론.
Death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휠 드론.
루나틱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휠 드론.
14.3. 터렛
설치 후 짧은 대기시간을 가진뒤에 비프음을 내고 사격을 개시하는 고정형 터렛이다. 크기가 작아서 작은 둔덕에도 사격범위가 막혀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행형 드론과 마찬가지로 체력이 매우 낮다. 사출기 상단에 표시된 방향으로 터렛이 사출된다
스캐빈저 평판 레벨 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터렛.
스캐빈저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터렛.
스캐빈저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터렛.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터렛.
다른 터렛과는 달리 구형의 방어막을 전개하는 터렛이다. 고정식인 대신 원본인 이지스 프라임보다 전개하는 보호장의 범위가 넓고 지속시간이 길어서 아군도 커버해줄 수 있지만 설치 후 작동까지 딜레이가 있다. 이지스 프라임과 동일하게 대부분의 공격을 막을 수 있고 폭발 피해는 2배로 받는다. 근접 공격과 지뢰, 포츈, 포큐파인은 막지 못하고, 방어막 내에서 하는 공격도 막지 못한다.
15. 특수 무기
15.1. 리볼버
한 탄창에 6발씩 장전되어 탄창을 모두 소진하면 재장전되는 방식의 무장군이다. 탄약 자체는 무한이다.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리볼버.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리볼버.
15.2. 네일건
발사 버튼을 꾹 눌러 충전할수록 발사하는 탄환 수가 증가하는 무장군이다. 짧게 눌러 단발로, 길게 눌러 샷건처럼 사용할 수 있다.
Return of the Founders 배틀패스 레벨 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네일건.
15.3. 펄스 라이플
Polymorph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펄스 라이플.
15.4. 작살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작살.
15.5. 펄스 가속기
상당한 피해량에 빠른 탄속과 강력한 관통 효과까지 갖추고 있는 무장군이다. 탄낙차도 없고 발사시 반동도 매우 적다. 대부분 뉴트리노를 사용해서 약점을 저격해 관통 피해로 폭발성 파츠를 유폭시키는 식으로 운용한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2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펄스 가속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