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ut/부품/하드웨어

 


1. 개요
2. 특수 모듈
2.1. 특수 모듈
2.2. 연결 모듈
2.3. 폭발 모듈
2.4. 플라즈마 이미터 증폭기
2.5. 무기 증폭기
2.6. 방어 모듈
2.7. 방어막
3. 은신 모듈
4. 통신 모듈
4.1. 라디오
4.2. 레이더
5. 조준경
6. 발전기
7. 엔진
8. 부스터
9. 냉각 모듈
9.1. 라디에이터
9.2. 쿨러
10. 탄약
10.1. 탄약고
10.2. 마이크로팩토리


1. 개요


Crossout의 하드웨어를 설명하는 문서다.
하드웨어 기본 정보를 틀:Crossout/부품/하드웨어, 틀:Crossout/부품/하드웨어 2, 틀:Crossout/부품/하드웨어 3을 이용해 기재한 후, 표 밑에 추가 정보를 기재해주시기 바랍니다.

2. 특수 모듈


딱히 부품 간의 큰 공통점은 없다. 따로 분류할 정도로 중요한 특징이 있거나 분류의 크기 자체가 큰 부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을 여기에 집어넣는 듯 하다.

2.1. 특수 모듈



엔지니어 평판 레벨 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특수 모듈.
차량이 전복되었을때 30초를 기다리거나 아군의 도움없이도 즉시 다시 뒤집을 수 있게 해주는 부품이다. 낮은 점수대라면 몰라도 차량 PS가 올라갈수록 무게중심을 고려한 차량 설계와 아군의 도움에 힘 입어 부품의 중요성이 0에 수렴한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특수 모듈.
이 부품을 장착하고 PVP 모드와 일부 난투에서 연료통이 파괴되지 않은 상태로 승리 시 연료 5를 획득하게 해준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특수 모듈.
연료통의 강화판으로 연료 획득량이 10으로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연료탱크를 여러개 장착한다고 연료 획득량이 증가하지 않지만 연료통과는 별개로 적용되니 연료 파밍을 할 때 둘 다 장착해주면 최대 15의 연료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차량의 약점부위가 늘어나는 점을 유의해야 하며, 확실히 보호해줄 필요가 있다.

2.2. 연결 모듈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연결 모듈.

2.3. 폭발 모듈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폭발 모듈.

2.4. 플라즈마 이미터 증폭기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플라즈마 이미터 증폭기.

2.5. 무기 증폭기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6 달성시 제작 가능한 무기 증폭기.

2.6. 방어 모듈



Return of the Ravens 이벤트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방어 모듈.

2.7. 방어막


구형의 방어막을 전개해서 대부분의 공격을 막을 수 있지만 폭발 피해는 2배로 받는다. 근접 공격과 지뢰, 포츈, 포큐파인은 막지 못하고, 방어막 내에서 하는 공격도 막지 못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10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방어막.

3. 은신 모듈


지속시간 동안 차량을 투명하게 만들어 적의 미니맵과 시야에서 보이지 않게 해주는 모듈이다. 공격하거나 피격당하면 은신이 해제된다. 은신 상태인 적 차량이 근접하면 실루엣이 보인다.

노매드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은신 모듈.

노매드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은신 모듈.

4. 통신 모듈


캐빈에도 미약하게나마 통신기능이 내장되어 있지만 캐빈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어도 전부 그 거리가 100m에도 못 미치기에 통신 부품들을 별도로 달아서 늘릴 수 있다.

4.1. 라디오


적 탐지정보를 팀원들과 공유하는 거리를 늘려주는 부품이다. 에픽 등급 레이더 디텍터를 장착하면 달아줄 필요가 없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라디오.

4.2. 레이더


미니맵과 화면상에 적이 탐지되는 거리를 늘려주는 부품이다. 일반 레이더는 등급이 높아질수록 탐지거리가 크게 증가하지만 지형지물에 가려진 적들은 탐지하지 못한다. 레이더 디텍터 종류는 에너지를 소모하는 대신 장애물 뒤의 적도 탐지하고 라디오의 기능도 겸하며 동급 레이더에 비해 내구도도 월등하다는 장점이 있다. 은신 탐지 레이더는 탐지거리 내에 은신한 적의 대략적인 위치를 미니맵에 표시해주고, 가까워질수록 정확해진다.
이 게임의 레이더는 가시선 확보 요구사항이 지형지물에만 해당되며 뒷면에 대충 메달든 장갑판으로 둘러싸든 차량에 붙어있기만 하면 작동하기에 위치는 상관 없다.
레비아탄을 설계할 때 필수적인 부품이다. 레비아탄 AI의 목표 인식거리는 레이더 성능에 좌우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높은 등급의 레이더를 우선적으로 장착시켜주고 부품 설치수 제한도 넉넉할테니 레이더가 저격당해 AI가 바보가 되는걸 대비해서 여분도 달아주면 좋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레이더.

스캐빈저 평판 레벨 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레이더.

스캐빈저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은신 탐지 레이더.

노매드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레이더 디텍터.

Return of the Founders 배틀패스 레벨 29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은신 탐지 레이더.
[include(틀:Crossout/부품/하드웨어, name=Doppler, file=Doppler, rarity=4, powerscore=275, level=10, durability=431, energy=1, mass=384, special=적 탐지거리 +450m로
지형에 은폐한 적 탐지거리 +400m로. 적 탐지정보 공유거리 +400m. 지뢰 탐지거리 +20m., craftable=가능)]
노매드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레이더 디텍터.

스캐빈저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레이더.

5. 조준경


화면 확대기능을 가졌고 레이더의 기능도 겸하는 부품이다. 주로 오토캐논, 캐논을 쓸때 장거리 교전용으로 조합이 고려된다. 사용하면 부품의 렌즈 시점으로 보기 때문에 대충 차량 내부에 파뭍어놨다간 무용지물이 된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9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조준경.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5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조준경.

6. 발전기


차량에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추가해주는 부품이다. 1개만 설치 가능하다. 파괴되면 주변에 폭발 피해를 입히고 에너지가 줄어 부족한 만큼 무기, 모듈의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루나틱 평판 레벨 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발전기.

노매드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발전기.

스캐빈저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발전기.

루나틱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발전기.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12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발전기.

7. 엔진


차량의 용적, 무게 제한, 최대 속도, 출력을 높여주는 부품이다. 1개만 설치 가능하고 차량의 최대 속도 제한은 120 km/h다.
스탯 증가치는 낮지만 에너지 소모가 없는 범용 엔진, 최대 속도와 용적을 크게 높여주는 고속 엔진, 출력과 최대 무게 제한을 크게 높여주는 중엔진으로 분류되며 에픽 등급 엔진은 성능 향상과 더불어 고유의 특수 능력이 추가된다. 각자 특색이 재각각이니 차량에 알맞은 용도의 엔진을 선택하는게 중요하다.


루나틱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범용 엔진.

스캐빈저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중엔진.

노매드 평판 레벨 3 달성 시 제작 가능한 고속 엔진.

파이어스타터 평판 레벨 7 달성시 제작 가능한 고속 엔진.

루나틱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범용 엔진.

스캐빈저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중엔진.

노매드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고속 엔진.

Born to Fly, Born Free 팩 구매 시 획득 가능한 중엔진.

8. 부스터


차량에 순간적인 추진력을 제공하는 부품이다. 과열식이고 연료 제한이 있으며 연료 제한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일정 속도 이상일 때 바퀴 외 부품이 지면에 닿으면 차량이 폭발하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레이스 이외의 모드에서는 샷건이나 근접전 빌드 차량에 접근용으로 쓰일법하지만 한두개로는 큰 효과를 보기 힘들어 에너지 소모가 부담되고 은신과 레이더 모듈이 효율이 더 좋기에 잘 쓰이지 않는다. 주로 특수 능력과 궁합이 좋은 터스크와 콕핏 캐빈 빌드에 사용된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부스터.

루나틱 평판 레벨 1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부스터.

루나틱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부스터.

9. 냉각 모듈


머신건과 오토캐논 등 과열식 무기들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는 부품들이며 부품당 에너지 1을 소모하고 효과는 중첩 가능하다. 라디에이터와 쿨러 두 종류가 있으며, 각각 순간딜과 지속딜에 도움을 주기에 빌드에 따라 우선도가 달라진다. 보통 힛앤런을 주로 하는 샷건류나 피해 증가 효과가 발동되기까지 어느정도 누적타가 요구되는 스펙터, 이퀄라이저등은 라디에이터를, 중장거리 교전 시 탄퍼짐 관리를 위해 점사를 하는 오토캐논류는 쿨러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특히나 에픽등급 부품에 붙어있는 특수 능력은 서로 정반대인 발동조건을 요구하기에 더욱이 그렇다.

9.1. 라디에이터


무기의 과열 수용량을 늘려주는 부품이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라디에이터.

엔지니어 엔지니어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라디에이터.

노매드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라디에이터.

9.2. 쿨러


최대 과열 후 냉각까지 걸리는 딜레이를 줄이고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는 부품이다.

엔지니어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쿨러.

루나틱 평판 레벨 7 달성 시 제작 가능한 쿨러.

10. 탄약


무기의 탄약과 드론/휠 드론/터렛의 보유량을 늘려주는 부품이다. 피격으로 파괴되면 주변에 폭발 피해가 발생한다. 여러개 달아 효과 중첩이 가능하다.

10.1. 탄약고



엔지니어 평판 레벨 8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탄약고.

스캐빈저 평판 레벨 6 달성 시 제작 가능한 탄약고.

10.2. 마이크로팩토리



던스 칠드런 평판 레벨 4 달성 시 제작 가능한 마이크로팩토리.
[각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