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 Rock Galactic/클래스
1. 드워프
Deep Rock Galactic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DRG 회사의 직원으로 Hoxxes Ⅳ 행성의 자원을 채취하기 위해 파견되며, 얻은 광물과 크레딧을 통해 무기와 장비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게임 내에서는 4 종류의 드워프들이 있으며, 각자 차별화된 능력을 활용하여 드워프간의 팀워크를 통해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최소화 하는 것이 관건이다.
여담으로 드워프들의 목소리를 맡은 성우는 단 1명으로 한 사람 목소리에서 음높이만 다르게 설정해둔 것이다. 또한, 드워프들의 모델링 또한 공유하고 있다.
각 클래스별 상세한 설명은 직접 문서를 타고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다.
[image]
최고 기동력의 그래플링 건과 가장 강력한 광원인 조명탄 발사기를 가진 고기동 지원가.1.1. 드워프 공통 능력
1.1.1. 이동
기본적으로 wasd의 이동키를 통해 이동을 하며, Shift키를 눌러 달리기를 할 수 있다. 옵션에서 달리기[홀드]를 활성화/비활성화가 가능하니 편한대로 조절하자. 이 달리기가 사실상 임무를 빠르게 마무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준다. 특히, '''무기 재장전 도중 달리기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아둘 것. 적들이 몰려오는 상황에서는 적들을 피해 도망치는 것과 동시에 장전을 해줌으로써 본인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점프(기본 스페이스 바)는 단순히 조금 높은 정도의 지형을 넘어가거나 아니면 길이 끊긴 상황에서 다른 곳으로 넘어가기 위해서 필요하다. 하지만, 게임 내에서는 점프로 못 넘어가는 지형이 많으며, 잘못 점프하다가 낙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점프를 하기 이전에 지형을 잘 파악하는 것이 좋다. 각 드워프들이 각자 이동형 장비를 소지하고 있으므로, 단순히 도약만으로 넘어갈 수 있는지 아니면 장비를 써야할지를 잘 판단하는 것이 좋다.
1.1.2. 체력
드워프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체력관리이다. 드워프들은 기본적으로 110의 체력과 25이 보호막을 지니고 있다.
보호막은 본 체력보다 먼저 소모되는 보조 체력으로, 피해를 받고 7초 후에 다시 100%로 재생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보호막이 모두 손실되면 재생 지연 시간 7초에 보호막이 모두 회복되기 까지 6초가 걸리므로 총 13초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체력 방지를 위해서 적에게 보호막이 깎이기 시작할 때 벗어날 궁리를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거너의 보호막 재생기를 펼쳤을 때 내부로 들어가면 초당 10의 보호막을 회복할 수 있다.
본 체력은 드워프들의 생명을 위한 수치이며, 체력이 0이 되면 무력화 상태가 된다. 무력화 상태가 되면 보스코나 다른 드워프가 일으켜 세워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못하는 상태가 된다. 솔플일 경우 보스코의 부활 가능 수치가 0이 되고, 협동 플레이 시 모든 드워프가 쓰러질 경우 임무 실패가 된다. 따라서 본 체력이 0이 되지 않도록 적에게 공격을 덜 맞으면서 체력 회복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체력이 15% 이하로 떨어졌을 때 10초 동안 피해를 받지 않으면 체력이 15%까지 자동으로 회복되므로 체력이 너무 많이 떨어졌다면 체력 재생을 위해 전투 현장을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무력화가 된 상태에서 다시 부활하게 된다면 어느정도 체력이 차오르는데, 위험도 1 / 2 / 3 / 4 / 5 에 따라 체력이 최대 60 / 50 / 40 / 20 / 5%까지 차오른다. 즉, 난이도가 높을수록 부활한다해도 얻는 체력이 낮기 때문에 더더욱 쓰러지지않도록 조심해해야 한다.
각 클래스 별로 있는 갑옷 업그레이드를 구입하고 장착하면 체력과 보호막의 수치를 변동시키고 특수한 부가 능력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갑옷 관련 업그레이드를 3, 6, 9(전부)번 구매하면 최대 체력이 +5씩 증가하므로 웬만하면 모두 업그레이드를 할 것을 추천. 그 외에 Space Rig내의 주점에서 '''레드 락 블레스터(Red Rock Blaster)'''를 구입해서 마시고 미션에 돌입하면 최대 체력이 30%가량 증가하니, 다른 술은 제치고도 레드 락 블래스터가 나오면 게임 진행이 한결 더 안정적이게 된다.
- 체력 회복
체력 회복 관련 퍽을 장착해서 체력을 회복시키는 방법도 있다. '''설탕 치아'''퍽을 사용하면 레드 슈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체력 양이 최대 20% 증가한다. 레드 슈거가 먹을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한 번 먹을 때 최대한의 이득을 볼 수 있으니 효과가 좋은 퍽이다. 그리고 '''뱀파이어'''라는 퍽도 있는데, 중형~대형 적을 근접 무기[1]로 처치하면 체력을 2~5를 얻게된다. 그러나, 곡괭이로 근접전을 하는 것 자체가 체력 손실이 더 할수도 있는 작전이라 사전에 위험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1.1.3. 광물 채취
모든 드워프들은 마우스 우클릭 버튼으로 곡괭이를 꺼내 광물을 캘 수 있다. 기본 운반량은 각 광물 당 40개 까지이며, 갑옷 업그레이드와 '깊은 주머니'퍽을 통해 최대 60개 까지의 광물을 담을 수 있다.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항상 '''나이트라'''를 우선적으로 탐색하고 채취하도록 할 것. 나이트라를 80개 모으면 보급포드를 부를 수 있게 되어 체력과 탄약 보충에 큰 도움이 되어준다. 기본적으로 경도가 1이라 곡괭이질 1번에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발견한다면 쉽게 캘 수 있다. 싱글 플레이라면 나이트라를 본인이 직접캐고, 다른 광물을 보스코가 캐도록 하여 빠른 진행을 할 수 있다.
게임 진행 도중에는 너무 높은 곳에 위치하여 캘 수 없는 광물이 존재하는데, 싱글 플레이라면 그냥 보스코보고 캐라고 지시하면 되고, 2인 이상 플레이시 높은 곳으로 갈 수 있는 수단을 준비해둬야 한다. 대표적으로 엔지니어가 광물 아래에 플렛폼을 깔고 스카웃이 올라가서 캐는 형식. 또는 엔지니어 혼자서 플렛폼을 여러개 깔아서 올라가거나 거너가 짚라인을 설치하여 올라가는 방법도 있다. 아니면 드릴러가 해당 광물을 향해 땅을 파고 올라서 캐는 방법도 있다. 각 클래스 별의 장비를 활용하여 이러한 광물 채취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자.
참고로, 클래스 별 공통 곡괭이 업그레이드인 '강공격'을 장착한체 광물이나 암석에 강공격을 시전하면 해당 광물과 암석의 경도에 상관없이 한 번에 부숴버릴 수 있다. 경도 2 이상의 광물이나 암석을 곡괭이로 캐는 상황에서 어느정도 캤다 싶을 때 강공격으로 빠른 마무리 채취를 노릴 수 있다.
1.1.4. 무기 및 장비
1.1.4.1. 레이저 포인터
기본적으로 Ctrl키나 x키를 꾹 누르면 등장하는 왼손에 레이저 포인트를 들게 된다. 이 레이저 포인터로 아무곳이나 가리키면 포인터 화면해 레이저에 닿은 물체의 이름이 표시된다. 보통 벽이나 장식물등의 진행에 별 도움이 안되는 것을 비추면 그저 검은 화면에 이름만 나오지만, 금과 나이트라 등의 채취 가능한 광물을 가리키면 녹색으로 빛나고, 적을 가리키면 빨간색으로 빛난다. 그 외에 흙벽을 가리키면 흙과 같은 갈색으로 빛난다.
이렇듯 채취 가능한 광물, 처치해야할 적, 뚫어야할 흙벽 등, 진행에 있어 필요하거나 방해가 되는 것의 위치를 제대로 표새해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수행하기 이전에 이들을 레이저로 가리키고 공격 버튼(마우스 왼쪽)을 눌러 해당 물체가 어디있는지 다른 팀원에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스카웃 / 엔지니어가 높이 있는 광물을 캐기 위해서 광물을 레이저 포인터로 가리켜서 엔지니어 / 스카웃에게 알려주거나, 막힌 흙벽을 가리켜서 드릴러가 파도록 유도해서 채굴 작업을 빠르게 하도록 팀원들을 지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적을 상대할 때도 레이저 포인터의 기능을 잘 이용하도록 하자. 스워머나 그런트들이라면 일일이 지정할 수는 없지만, 오는 방향쪽을 가리켜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고, 적들 중에서 위협적이거나 특정 클래스가 상대해줘야하는 워든, 메나스, 스핏볼 인펙터, 브리더등의 대형 크리쳐들을 따로 지정해서 우선적으로 처치할 것을 유도해야 한다. 특히, 벌크 데토네이터와 기생충에 감염된 BET-C와 같이 팀원들이 다 같이 잡아야할 대상을 시간날 때마다 지정해줌으로써 같은 팀원이 해당 생물로부터 몸을 잘 사릴 수 있도록 도와주자.
단순한 클릭 지정 외에 사용 버튼(E)을 꾹 눌러서 개인용 '웨이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웨이 포인트를 한 번 지정하고 나면, 다시 레이저 포인터를 들어서 해당 지점의 위치를 m(미터)표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지형 스캐너를 통해서 다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웨이 포인트를 통해서 진행 방향을 미리 표시해두거나, 나중에 채취할 광물의 위치를 기억하기 위해 미리 포인트를 찍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웨이 포인트는 새롭게 다시 지정할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자.
레이저 포인터는 솔플일때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싱글 플레이 시 보스코에게 명령을 지시할 수 있기 때문. 이에 따른 설명은 보스코 문서에서 후술.
1.1.4.2. 지형 스캐너
Tab이나 M키를 누르면 화면에 지도를 띄워서 전체적인 지형과 플레이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지형 스캐너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마우스를 움직여서 해당 지형을 다양한 각도로 볼 수 있고, 마우스 중앙 휠로 크기 조절이 가능하며, 스페이스 바로 보는 방향으로 플레이어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지형 스캐너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는 움직일 수 없으니, 스캐너를 보기 전에 주변에 적이나 위협요소가 있는지부터 확인하도록 하자.
기본적으로 드워프의 위치가 화살표 형태로 각 드워프 고유 색(드릴러 - 노란색, 엔지니어 - 빨간색, 거너 - 초록색, 스카웃 - 파란색)으로 나타나며, 드랍 포드는 하늘색 타원 형태로 표시된다. 임무를 마치고 탈출할 때 스캐너를 통해서 드랍 포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동하면 동선을 잡기가 쉬워진다.
그 외에 섬멸 임무의 드레드노트 고치는 스캐너에서 빨간색 타원으로, 알 수집 임무에서 알이 노란색 타원으로 표시된다. 해당 임무는 주 목표가 사방에 흩어져 있으므로 스캐너로 대략적인 위치 파악 후 동선을 짜도록 하자.
만약 레이저 포인터로 웨이 포인트를 지정했다면 스캐너에 하늘색 점으로 표시가 되니 본인이 웨이 포인트 찍어놓고 대략적인 위치를 깜빡했다면 스캐너로 다시 위치를 확인하자.
딥락갤은 게임 특성상 지형이 꽤 복잡하므로 본인이 아직 미숙하다면 스캐너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지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괜히 아무 방향으로 가다가 같은 길만 빙글빙글 돌아가게 되어 시간낭비를 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
1.2. 경험치와 랭크
일정 경험치를 모으면 레벨업을 할 수 있게 된다. 25레벨이 만랩이고 승진시험을 통해 높은 레벨로 갈 수 있다. 파란색의 마스터 레벨은 클래스에 상관없이 3레벨을 올리면 1씩 오른다.
2. BOSCO
<-3><#CC7700> 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