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7 선형폭약
[image]
2015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트웬티나인 팜스(Twentynine Palms) 기지에서 Mk.7을 설치 중인 미 해병대 제2사단 소속 부대원의 모습
Mk.7 APOBS(대인장애물 제거용폭약, Anti-Personnel Obstacle Breaching System)은 미 육군과 미 해병대의 제식 개척용폭약이다.
[image]
1994년 미 육군과 미 해병대는 기존의 M1A2를 대체할 새로운 휴대형 개척용폭약으로 이미 운용 중인 로켓 추진식 M58과 POMINS II의 특성을 참고했었던 미 육군 병기개발연구소(ARDEC)에서 제시된 대인장애물 제거용폭약(APOBS) 개발안을 Mk.7 Mod.0의 제식명으로 선정하였다.
채택 이후의 성능 평가에서 불합격 처분을 받아 약 8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사업이 지체되어 2002년 미 해군 해상전연구소(NSWC)의 개입을 통해 재설계가 적용된 Mk.7 Mod.1에 들어서야 실전 배치가 이루어졌으며, 2006년에 한 차례 더 개량이 가해진 Mk.7 Mod.2가 현용 기종으로 쓰이고 있다.
[image]
로켓 부착대가 달린 전방보관함과 최대 35m의 거리를 도약하는 전개 상태에서의 감속을 위한 제동낙하산 및 기폭을 위한 지연신관이 포함된 후방보관함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소 두 명의 운용을 거친다.
[image]
PBNX-8 폭약의 도폭선에 PBNX-10 폭약의 세열탄 108개가 조합된 선형폭약은 전방보관함과 후방보관함에 각각 25m, 20m로 나뉘어 내장되며, 사용 시에는 손으로도 쉽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2010년에는 아이로봇(iRobot) 사의 워리어 710 무인기#s-4.2와의 통합 시도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1994년 미 육군과 미 해병대의 공동 발주를 통해 미 육군 병기개발연구소(ARDEC)와 엔사인-빅포드(EBA-D) 사가 함께 개발한 초기형으로, 채택과정까지는 순조로웠으나 이후의 성능 평가에서 불합격 판정이 계속 이어지게 되어 도입 사업(APOBS) 자체가 8년 동안 미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미 해군 해상전연구소 직속의 달그렌(NSWC Dahlgren) 부문과 연안 기뢰 연구부문(CCS)에서의 전면적인 재설계를 거쳐 2002년에 실전 배치된 개선형으로, 그 동안 문제가 되어온 가장 핵심적인 선형폭약 부분에 하얀색 나일론 재질의 외피를 두르는 방안이 양산에 있어서 가장 큰 성과로 보고 있다.
2006년의 최신 개량형으로, 과거의 도입 지연과 관련된 엔사인-빅포드 사 대신 켐링 오드넌스(Chemring Ordnance) 사가 주요 생산 계약자로 변경되었다.
2015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트웬티나인 팜스(Twentynine Palms) 기지에서 Mk.7을 설치 중인 미 해병대 제2사단 소속 부대원의 모습
1. 개요
Mk.7 APOBS(대인장애물 제거용폭약, Anti-Personnel Obstacle Breaching System)은 미 육군과 미 해병대의 제식 개척용폭약이다.
2. 상세
2.1. 역사
[image]
1994년 미 육군과 미 해병대는 기존의 M1A2를 대체할 새로운 휴대형 개척용폭약으로 이미 운용 중인 로켓 추진식 M58과 POMINS II의 특성을 참고했었던 미 육군 병기개발연구소(ARDEC)에서 제시된 대인장애물 제거용폭약(APOBS) 개발안을 Mk.7 Mod.0의 제식명으로 선정하였다.
채택 이후의 성능 평가에서 불합격 처분을 받아 약 8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사업이 지체되어 2002년 미 해군 해상전연구소(NSWC)의 개입을 통해 재설계가 적용된 Mk.7 Mod.1에 들어서야 실전 배치가 이루어졌으며, 2006년에 한 차례 더 개량이 가해진 Mk.7 Mod.2가 현용 기종으로 쓰이고 있다.
2.2. 특징
[image]
로켓 부착대가 달린 전방보관함과 최대 35m의 거리를 도약하는 전개 상태에서의 감속을 위한 제동낙하산 및 기폭을 위한 지연신관이 포함된 후방보관함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소 두 명의 운용을 거친다.
[image]
PBNX-8 폭약의 도폭선에 PBNX-10 폭약의 세열탄 108개가 조합된 선형폭약은 전방보관함과 후방보관함에 각각 25m, 20m로 나뉘어 내장되며, 사용 시에는 손으로도 쉽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2010년에는 아이로봇(iRobot) 사의 워리어 710 무인기#s-4.2와의 통합 시도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3. 종류
3.1. Mk.7 Mod.0
1994년 미 육군과 미 해병대의 공동 발주를 통해 미 육군 병기개발연구소(ARDEC)와 엔사인-빅포드(EBA-D) 사가 함께 개발한 초기형으로, 채택과정까지는 순조로웠으나 이후의 성능 평가에서 불합격 판정이 계속 이어지게 되어 도입 사업(APOBS) 자체가 8년 동안 미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3.2. Mk.7 Mod.1
미 해군 해상전연구소 직속의 달그렌(NSWC Dahlgren) 부문과 연안 기뢰 연구부문(CCS)에서의 전면적인 재설계를 거쳐 2002년에 실전 배치된 개선형으로, 그 동안 문제가 되어온 가장 핵심적인 선형폭약 부분에 하얀색 나일론 재질의 외피를 두르는 방안이 양산에 있어서 가장 큰 성과로 보고 있다.
3.3. Mk.7 Mod.2
2006년의 최신 개량형으로, 과거의 도입 지연과 관련된 엔사인-빅포드 사 대신 켐링 오드넌스(Chemring Ordnance) 사가 주요 생산 계약자로 변경되었다.
4. 출처
- 웹사이트
- 영문 위키백과의 대인장애물 제거용폭약(APOBS) 문서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탄약분석연구소(MSIAC)의 2011년 조달관련 뉴스
- PDF
- 켐링 오드넌스(Chemring Ordnance) 사의 홍보자료
- 미 육군 병기개발연구소(ARDEC)의 Mk.7 Mod.2 관련 프레젠테이션
- 미 육군 탄약 사업부문(PEO CCS)의 2012~13년 포트폴리오
- 미 육군 포트 후드(Fort Hood) 기지의 기초 제원자료
- 미 해군 해상전연구소 직속의 달그렌부문(NSWCDD)의 Mk.7 Mod.1 관련 요약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