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A/애틀랜틱 디비전
| [image] | |
| '''명칭''' | '''영어''':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
| '''한글''': 전미 농구 협회 | |
| '''디비전 명칭''' | 애틀랜틱 디비전 |
| '''디비전 설립''' | 1970년 (55주년) |
| '''디비전 창설''' | 1970-1971시즌 |
| '''참가 국가''' | (4개팀), (1개팀) |
| '''최근 우승팀''' | [image] 토론토 랩터스 (2019~2020시즌) |
| '''최다 우승팀''' | [image] 보스턴 셀틱스 (22회) |
1. 개요
NBA 애틀랜틱 디비전(Atlantic Division)은 보스턴 셀틱스, 브루클린 네츠, 뉴욕 닉스,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토론토 랩터스로 이루어진 디비전이다.
2. 애틀랜틱 디비전 소속된 팀
| '''팀명''' | '''국가''' | '''주''' | '''도시''' | '''홈구장''' | '''수용인원''' | '''창단''' | '''가맹''' | '''NBA 파이널 우승''' |
| 보스턴 셀틱스 | 미국 | 매사추세츠 | 보스턴 | TD 가든 | 18,624명 | 1946년 | '''★★★★★★★★★★★★★★★★★''' | |
| 브루클린 네츠 | 뉴욕 | 브루클린 | 바클리스 센터 | 17,732명 | 1967년 | 1976년 | | |
| 뉴욕 닉스 | 뉴욕 | 매디슨 스퀘어 가든 | 19,812명 | 1946년 | '''★★''' | |||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펜실베이니아 | 필라델피아 | 웰스 파고 센터 | 20,478명 | 1946년 | 1949년 | '''★★★''' | |
| 토론토 랩터스 | 캐나다 미국 | 온타리오 플로리다 | 토론토 탬파 | 아말리 아레나 [1] 2020~2021시즌 코로나19의 여파로 캐나다 정부가 스코샤뱅크 아레나 사용 불가 결정을 내리자, 대체홈구장(NHL의 탬파베이 라이트닝 홈구장이다.)으로 사용하게되었다. | 19,800명 20,500명 | 1995년 | '''★''' | |
3. 과거 애틀랜틱 디비전에 소속 되었던 팀
| '''팀명''' | '''국가''' | '''주''' | '''도시''' | '''참가연도''' | '''홈구장''' | '''수용인원''' | '''비고''' |
| 버팔로 브레이브스 | 미국 | 뉴욕 | 버팔로 | 1970년~1978년 | 버팔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움 | 14,337명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의 전신 |
| 샬럿 호네츠 | 노스캐롤라이나 | 샬럿 | 1988년~1989년 | 샬럿 콜리시엄 | 20,042명 | 현 사우스이스트 디비전 소속 | |
| 마이애미 히트 | 플로리다 | 마이애미 | 1989년~2004년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아레나 | 19,600명 | ||
| 올랜도 매직 | 올랜도 | 1991년~2004년 | TD 워터하우스센터 | 17,461명 | |||
| 워싱턴 위저즈 | 워싱턴 D.C. | 1978년~2004년 | MCI 센터 | 20,356명 | |||
4. 역대 애틀랜틱 디비전 라인업
| '''연도''' | '''팀''' | '''참가팀수''' |
| 1970년~1976년 | 보스턴 셀틱스, 버팔로 브레이브스, 뉴욕 닉스,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4팀 |
| 1976년~1977년 | 보스턴 셀틱스, 버팔로 브레이브스, 뉴욕 닉스, 뉴욕 네츠,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5팀 |
| 1977년~1978년 | 보스턴 셀틱스, 버팔로 브레이브스, 뉴저지 네츠, 뉴욕 닉스,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
| 1978년~1988년 | 보스턴 셀틱스, 뉴저지 네츠, 뉴욕 닉스,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워싱턴 불리츠 | |
| 1988년~1989년 | 보스턴 셀틱스, 샬럿 호네츠, 뉴저지 네츠, 뉴욕 닉스,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워싱턴 불리츠 | 6팀 |
| 1989년~1991년 | 보스턴 셀틱스, 마이애미 히트, 뉴저지 네츠, 뉴욕 닉스,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워싱턴 불리츠 | |
| 1991년~1997년 | 보스턴 셀틱스, 마이애미 히트, 뉴저지 네츠, 뉴욕 닉스, 올랜도 매직,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워싱턴 불리츠 | 7팀 |
| 1997년~2004년 | 보스턴 셀틱스, 마이애미 히트, 뉴저지 네츠, 뉴욕 닉스, 올랜도 매직,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워싱턴 위저즈 | |
| 2004년~2012년 | 보스턴 셀틱스, 뉴저지 네츠, 뉴욕 닉스,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토론토 랩터스 | 5팀 |
| 2012년~현재 | 보스턴 셀틱스, 브루클린 네츠, 뉴욕 닉스,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토론토 랩터스 |
5. 역대 애틀랜틱 디비전 우승 팀
| '''연도''' | '''우승팀''' | '''시즌성적''' |
| 1971년 | 뉴욕 닉스 | 52승 30패 .634 |
| 1972년 | 보스턴 셀틱스 | 56승 26패 .683 |
| 1973년 | 68승 14패 .829 | |
| 1974년 | 56승 26패 .683 | |
| 1975년 | 60승 22패 .732 | |
| 1976년 | 54승 28패 .659 | |
| 1977년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50승 32패 .610 |
| 1978년 | 55승 27패 .671 | |
| 1979년 | 워싱턴 불리츠 | 54승 28패 .659 |
| 1980년 | 보스턴 셀틱스 | 61승 21패 .744 |
| 1981년 | 62승 20패 .756 | |
| 1982년 | 63승 19패 .768 | |
| 1983년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65승 17패 .793 |
| 1984년 | 보스턴 셀틱스 | 62승 20패 .756 |
| 1985년 | 63승 19패 .768 | |
| 1986년 | 67승 15패 .817 | |
| 1987년 | 59승 23패 .720 | |
| 1988년 | 57승 25패 .695 | |
| 1989년 | 뉴욕 닉스 | 52승 30패 .634 |
| 1990년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53승 29패 .646 |
| 1991년 | 보스턴 셀틱스 | 56승 26패 .683 |
| 1992년 | 보스턴 셀틱스 | 51승 31패 .622 |
| 1993년 | 뉴욕 닉스 | 60승 22패 .732 |
| 1994년 | 57승 25패 .695 | |
| 1995년 | 올랜도 매직 | |
| 1996년 | 60승 22패 .732 | |
| 1997년 | 마이애미 히트 | 61승 21패 .744 |
| 1998년 | 55승 27패 .671 | |
| 1999년 | 33승 17패 .660 | |
| 2000년 | 52승 30패 .634 | |
| 2001년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56승 26패 .683 |
| 2002년 | 뉴저지 네츠 | 52승 30패 .634 |
| 2003년 | 49승 33패 .598 | |
| 2004년 | 47승 35패 .573 | |
| 2005년 | 보스턴 셀틱스 | 45승 37패 .549 |
| 2006년 | 뉴저지 네츠 | 49승 33패 .598 |
| 2007년 | 토론토 랩터스 | 47승 35패 .573 |
| 2008년 | 보스턴 셀틱스 | 66승 16패 .805 |
| 2009년 | 62승 20패 .756 | |
| 2010년 | 50승 32패 .610 | |
| 2011년 | 56승 26패 .683 | |
| 2012년 | 39승 27패 .591 | |
| 2013년 | 뉴욕 닉스 | 54승 28패 .659 |
| 2014년 | 토론토 랩터스 | 48승 34패 .585 |
| 2015년 | 49승 33패 .598 | |
| 2016년 | 56승 26패 .683 | |
| 2017년 | 보스턴 셀틱스 | 53승 29패 .646 |
| 2018년 | 토론토 랩터스 | 59승 23패 .720 |
| 2019년 | 58승 24패 .707 | |
| 2020년 | 53승 19패 .736 |
6. 디비전 우승 횟수
| '''횟수''' | '''팀''' |
| 22회 | 보스턴 셀틱스 |
| 7회 | 토론토 랩터스 |
| 5회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뉴욕 닉스 |
| 4회 | 마이애미 히트 뉴저지 네츠[2] 현 브루클린 네츠 |
| 2회 | 올랜도 매직 |
| 1회 | 워싱턴 불리츠[3] 현 워싱턴 위저즈 |
[1] 2020~2021시즌 코로나19의 여파로 캐나다 정부가 스코샤뱅크 아레나 사용 불가 결정을 내리자, 대체홈구장(NHL의 탬파베이 라이트닝 홈구장이다.)으로 사용하게되었다.[2] 현 브루클린 네츠[3] 현 워싱턴 위저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