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CopyrightSounds/목록/삭제된 곡
1. 개요
NoCopyrightSounds의 공식 유튜브 채널과 Soundcloud 등에서 삭제된 노래들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그리고 이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1.1. NCS의 삭제된 곡 관련 정보
NCS가 노래를 지우기도 한다. 그래서 2011년 노래부터 2013년 2월 노래가 다 지워졌다.[3]
실제로 현재 연도별로 릴리즈 상태를 살펴보면...
- 2011년: 전부 삭제됨 특히 2011년은 자료가 거의 없어 NCS의 역사를 둘러보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이들 중 유일하게 Team RG - Hero가 2014년까지 살아남았으나, 그해 말에 대규모 삭제 당시 같이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 2012년: 전부 삭제됨 2012년 역시 자료가 부족하여 NCS의 역사를 둘러보기가 매우 힘들다. 원래는 xKore - Need You (Centra Remix)와 DJ ASSASS1N - Frag Out[4] 이 최후의 2012년 릴리즈 노래였으나, 각각 2017년, 2018년 3월 8일에 비공개 처리되면서(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저작권 문제로 추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2012년도 전멸하게 되었다.
- 2013년: 대부분 삭제됨 전판에는 절반 정도가 삭제되었다고 나와있었으나, 확인 결과 100개가 넘었던 릴리즈 중 단 12개(약 10%)만이 남아 있다. 그마저도 대부분 특정한 사유로 유명한 곡들만 남아있다.
- 2014년 이후: 대부분 남아 있음 2014년 이후 노래들을 모아놓은 재생목록을 모두 확인한 결과, 2014년 이후로는 대부분의 릴리즈들이 아직 남아있으며[5] , 일부만 삭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6]
1.2. 저작권 현황
연도별 삭제된 곡 목록의 링크 칸을 보면, 해당 칸의 색이 '''흰색, 옅은 빨간색, 빨간색''' 중 1가지일 것이다. 이들 중 흰색은 저작권이 걸려있지 않거나 저작권이 약하게 걸려 있어 실질적으로 피해를 입히지 않는 곡이다. 옅은 빨간색으로 해당 칸이 칠해져 있으면 해당 곡은 저작권이 걸려 있으니 주의. 빨간색으로 해당 칸이 칠해져 있으면 저작자가 저작권을 주장하며 '''강경 대응한다.'''[8] 따라서 적어도 링크 칸이 빨간색으로 되어 있는 곡은 '''절대로 저작자 허락 없이 쓰는 일이 없도록 하자.'''
2. 연도별 삭제된 곡 목록
- 곡 출시일 순으로 나열합니다. 편집 시 주의 바랍니다.
- NCS 공식 유튜브 영상이 삭제되거나 비공개된 경우의 노래들을 다룬 문서입니다. 만일 노래가 유튜브 공식 채널에 복구된다면 이동 바랍니다.
- 유명했던 곡이나, 의미가 중요하거나, 기타 중요한 사실이 있는 곡은 볼드체 처리합니다.
- 저작권에 걸린 곡은 링크 칸에 옅은 빨간색, 저작권이 강하게 걸려 있어 원작자 등에게 강경 대응(영상 삭제, 제한적 조건에서 차단 등)을 받을 수 있는 곡은 빨간색을 처리하고 V 각주를 추가합니다.
2.1. 2011년
2.2. 2012년
2.3. 2013년
'''유튜브 공식 영상'''
'''Soundcloud 삭제곡'''
2.4. 2014년 이후
'''유튜브 공식 영상'''
'''Soundcloud 삭제곡'''
[1] 여기서는 칠스텝(Chillstep)도 포함한다.[비공식] A B C NCS 공식 색상 구분은 아니다. 그러나 편리한 분류를 위해 분리한다.[2] 주의! 트레일러(Trailer) 곡들은 모두 '''COPYRIGHTED'''다.[3] 일부 사람들은 대부분의 2011년~2013년 2월 곡이 2017년 2월에 삭제되었다고 알고 있으나, 실제로는 '''2013년~2014년'''에 Need You(Centra Remix)와 Frag Out을 제외하고 모두 삭제되었다! 이마저도 지금은 전멸...[4] 2014년 삭제 대란 이후 가장 오래된 곡이었으나, 비공개 처리되어 Coming Home에게 자리를 내주게 된다. 2019년 3월 후반에 NCS에서 가장 오래 존재했던 곡 기록이 Coming Home에게 깨졌다.[5] 2014년도 100여 개 중 단 12개(약 12%)만 삭제되었다.[6] 특히 2015년 이후로는 삭제된 곡들이 매년 2~3개에 불과할 정도이다.(2015년 1곡, 2016년 2곡, 2017년 4곡) 2019년 10월 29일자로 Max Brhon - Cyberpunk가 저작권 신고를 당하고 2달만에 삭제되... 었으나 11월 22일자로 복구되어 2019년도 삭제된 곡이 없게 되었다.[7] VERY COPYRIGHTED인 곡들이라고도 한다. 이들 중 1곡은 NCS의 삭제된 곡을 복구한 영상조차 '''모두''' 저작권 신고를 넣어 삭제시켜 버렸다(...)[8] 해당 영상을 저작권 신고를 넣어서 삭제하거나, 모든 국가 또는 대부분 또는 일부 국가에서 차단하는 등 강하게 대응한다.[9] 현재 Pass Out Remix가 NCS 최초 릴리즈로 추정되는데, 14일~28일 사이에 릴리즈가 더 있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확인할 방법은 '''없다.'''[10] NCS 최초 릴리즈로 추정된다. 불행히도 진짜로 최초 NCS 곡인지는 확실하지는 않는데, 직접적인 방법으로는 이 곡이 존재했음을 증명할 근거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11] 현재까지 Wayback Machine 등을 사용하여 NCS에 존재했음이 확실한 곡 중 가장 오래된 곡이다.[12] 현재 NCS에 올라왔다가 삭제된 곡 중 언제 릴리즈되었는지 등 상세 정보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곡이다.[13] 확실하지 않고, 추정된 날짜다. 7일~9일 사이에 올라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4] 2011년 10월 말~11월 초 사이에 삭제되었다.[15] 30일일 수도 있다.[16] 위의 곡과 이 곡은 10월 1일~8일 사이에 올라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7] ???의 Fort Minor와 Apathy의 Bloc Party를 매쉬업한 곡으로, 후자로 인해 COPYRIGHTED인 것으로 보인다.[18] 곡의 도입 부분은 DnB 장르이며, 나머지 대부분의 구간은 드럼스텝 장르이다.(BPM이 170으로 빠르므로 드럼스텝으로 분류함)[19] 이날 또는 8일에 알 수 없는 곡 1곡이 올라왔으며, 늦어도 같은 달 11일에 삭제되었다. 그러나 현재 자료가 전혀 남아 있지 않아서 이 날 어떠한 곡이 올라왔는지 전혀 알 수 없다.[V] A B C D VERY COPYRIGHTED인 곡이다.[20] 12일~15일 사이로 추정된다.[21] 곡 자체는 '''2010년 11월'''에 나왔다.[22] 전 세계에서 차단당했으나, 2020년 4월 18일에 갑자기 풀렸다![23] 사실상 최후의 2011년 NCS 노래. 다른 2011년 노래는 모두 삭제되는 중에 이 곡만 '''2014년 후반'''까지 살아남았다!(참고로 2014년에는 NCS가 홍보 채널(Promoter)이 아닌, '''레코드 레이블'''이었다!) 2014년 말 최후의 대량 삭제 당시 삭제된 것으로 추정.[24] 참고로 이 곡이 NCS에 올라왔을 때 제목은 ♪☃♪ Matlock - Brand New Nike's ♪☃♪이었다. 그리고 20일~25일 사이에 올라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TRA] A B C D 트레일러(Trailer) 음악이다. 참고로 TRA가 달린 곡은 '''모두 저작권에 걸려있으니''' 주의할 것.[25] 2011년 12월 말 또는 2012년 1월 초. 만약 후자에 해당한다면 2012년으로 옮길 것.[26] 원래는 홍보용 곡이어서 삭제되었으나, 이후 저작권이 걸렸다. 현재는 저작권 현황이 불확실하나 일단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여담으로 원곡은 무려 영화 인셉션의 사운드트랙이며, 한스 짐머가 만든 역대급 곡으로 꼽힌다.[27] Kiss Ass의 OST다.[28] Stan SB(Fox Stevenson)의 믹스에서 가져왔다. 여담으로 NCS에 올라왔던 적이 있는 곡 중 가장 짧은 곡으로, 길이는 '''47초'''다.[29] 이 곡을 시작으로 하여 NCS의 영상 레이아웃이 약간 변했는데, 영상 도입부의 10초 이후에 그 동안 쓰고 있었던 레이아웃을 사용하는 형식으로 변했다. 다만 일부 영상에만 해당한다. 여담으로 2012년 중반 당시 NCS의 '''조회수 1위 영상'''이었다![30]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다가 현재는 저작권이 풀렸다고 나와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31] Kiss Ass의 OST다.[32] Marius de Vries, Ilan Eshkeri, Henry Jackman, John Murphy[33] 원곡은 무려 '''Avicii - Levels'''이다. Avicii가 본격적으로 유명해지는 계기가 된 가장 큰 역할을 한 곡 중 하나이며, 2010년대 초반 EDM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곡이다! 한 번 들어 보자.[34] 최후의 2012년 NCS 노래 중 하나로, 2014년 말에 삭제된 것으로 추정된다.[35] 2012년이 윤년이라 가능하다. 사실상 2월 29일에 NCS에 올라온 유일한 곡이다.(2016년 2월 29일에는 릴리즈가 없었다.)[36] 이 곡의 정확한 제목은 매우 긴데, '''Sebastian Ingrosso, Alesso & Ryan Tedder vs Gotye & Kimbra - Calling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Lose My Mind) (DJ Mortier (DJDMT) & Moonflower Bootleg Mashup)이 원제목(!!!)이다!''' [37] 덥스텝, 글리치 합, 일렉트로닉, 일렉트로 하우스까지 '''무려 4개 장르'''가 섞인 곡이다![38] 이 곡 역시 최후의 2012년 NCS 노래 중 하나로, 2014년 말에 삭제된 것으로 추정된다.[39] 영상 중간에 3번 '''KONY 2012 STOP AT NOTHING'''이라고 뜬다.[40] 덥스텝과 글리치 합이 결합된, 글리치스텝(Glitchstep) 장르의 곡이다. 또한 이 곡은 NCS가 생기기도 전인 2011년 2월에 나온 것으로 보이며, 해당 곡의 가사 영상 중 하나는 조회수가 1억 3천만 이상이다! 배틀필드 1의 트레일러에 쓰이기도 했다.[41] Adrian의 복구 영상은 모두 '''전 세계에서 차단'''을 걸어버렸지만, 다른 복구 영상은 아직 남아있다.[42] Carly Rae Jepsen의 노래인 Call Me Maybe를 리믹스한 곡이다. 그리고 이 곡은 삭제될 당시에는 프로모션, 즉 홍보용 곡이었으나, 삭제된 후에 이 곡에 저작권이 걸렸다.[43] 삭제될 당시에는 홍보용 곡이었으나, 삭제된 이후 저작권에 걸렸다.[44] 곡 자체는 무려 '''2011년 1월 이전'''에 나왔다. 즉 NCS가 생기기 전부터 있었던 곡이라는 뜻이다.[45] 위 곡과 마찬가지로 NCS가 생기기 전부터 있었던 곡이다. '''2011년 4월'''에 올라왔다.[46] '''사실상 최후의 2012년 NCS 노래 1''' 2014년 중반에 프로모션(홍보용) 곡으로 전환되었으나, 홍보용 곡이 2014년 말까지 모두 삭제되는 반면, 이 곡은 '''홍보용 곡인 상태로 2017년 1월까지 NCS 채널에 남아 있었다.''' 2015년 초 당시 곡이 저작권을 먹어서 NCS Release가 될 이유가 사라졌고, 2년뒤인 2017년 1월 17일쯤 비공개 처리되었다. 그 이후 2020년 2월 7일에 저작권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삭제되었다. Nova도 이와 같은 이유로 삭제되었다. 여담으로 이 곡 자체는 2011년 9월 초에 올라왔다.(NCS가 생겨날 무렵 올라왔다!) 또한 늦어도 2014년 10월 초에 이 곡이 홍보용으로 전환되었을 때 영상 설명창의 설명도 바뀌었다. 다음 내용이 바뀐 후 설명창 내용이다. Unfortunately this track cannot be used in your YouTube videos or streams without the permission of xKore. This track is not a '''NCS Release.''' We cannot give permission to anyone to use this track. This track is here for '''promotional purposes only.'''[47] 프로모션으로 삭제되었으나, 이후 저작권에 걸린 것으로 보인다.[48] MrSuicideSheep이라는 EDM 프로모션 채널에서 조회수 '''9천만 회'''로 조회수 순위 '''3위'''에 해당하는 곡이다! 또한 곡 자체는 NCS가 생기기도 전인 '''2011년 6월'''에 올라왔다.[49] 이 곡을 마지막으로 Feint의 NCS 공백기가 시작되는데, 이는 Shockwave까지 '''6년 7개월''' 이상 이어지게 된다. 이 6년 7개월이라는 기록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여담으로 Feint의 NCS 곡들(홍보용+릴리즈 모두 포함) 중에서 이 곡과 Shockwave 이 둘만이 실제 릴리즈 이후 1개월 이내에 NCS에 올라왔다.[50] '''사실상 최후의 2012년 NCS 노래 2''' 이 곡은 Need You(Centra Remix)와는 달리, 아예 '''NCS Release'''를 받았다! Need You(Centra Remix)가 비공개 처리된 후에는 약 1년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NCS 노래'''라는 타이틀도 얻었다. 그러나 2018년 3월 8일에 결국 비공개 처리되었다. 이유는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비공개 처리되기 직전(2018년 1~3월 사이로 추정)에는 NCS Release가 해제되었다!'''[51] 여담으로 이 곡이 삭제되기 직전의 조회수는 약 1900만 회(2018년 3월 초 기준)로, 조회수 순위 상위 50위 안에 들었다. 또한 이 곡의 영상은 최초로 양쪽에 있는 막대기 구조의 비주얼라이저가 '임시로' 사용된 영상이었다. 그리고 어느 유튜버의 메인 BGM으로 쓰이고 있다.[DJA] SoundStabs[52] Deleted/Privated NCS의 복구 영상이다. 이 영상도 조회수 339만 회로, 상당히 많은 조회수를 모으고 있는데, 이는 Proximity의 영상보다도 높은 조회수다![53] 여담으로 이 영상의 썸네일은 Frag Out에 이은 2번째 막대기 비주얼라이저 영상인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는 썸네일 낚시다(...)[54] 2012년 중 최초로 NCS가 같은 날에 2곡 이상을 올린 날로 추정된다. 참고로 NCS 사상 최초는 아닌데, 2011년 9월 2~6일 5일간 13곡(이 중 2곡은 확실함.)이 올라왔었기 때문이다.[55] 이 곡을 시작으로, 2012년 6월~2013년 2월 초 사이에 NCS에 올라온 곡은 양쪽에 있는 막대기 구조의 비주얼라이저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단 아래에 있는 Onaroll은 예외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다.[56] 삭제된 영상을 포함하여, NCS에 올라온 '''최초의 뮤직 비디오 영상'''이다. 또한 곡에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지만, 지금은 저작권이 사라진 상태이다.[57] 저작권에 걸려서 삭제되었으나, 현재는 저작권이 풀린 상태다.[58] 상당히 늦게 삭제되었는데, 2014년 8월 이후에야 삭제되었다.[59] 멜로딕 덥스텝을 하늘색으로 '따로' 분류한 최초의 곡이며, 이후 2012년 11월까지 이는 유지된다. 이후에는 다시 덥스텝에 합쳐져 파란색으로 '함께' 분류되기 시작했고, 비교적 최근에야 약간 옅은 파란색으로 다시 분리되었다.[60] 이 곡의 원곡인 Walking On A Dream의 공식 VEVO 영상의 조회수는 '''1억 1천만 회 이상'''이다.[61] 삭제될 당시에는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는데, 이후 저작권이 풀렸다. 하지만 지금은 다시 걸린 상태다.[62] 2013년 이후 활동이 없다.[63] 복구 영상에서 11월 2일~4일 사이에 올라왔다가 얼마 안 가 삭제되었을 것이라 추정하고 있으므로, 여기에 서술한다.[64] 저작권 신고를 당해 삭제되었다. 현재는 저작권이 풀린 상태다.[65] BPM이 170으로 매우 빨라서, 칠스텝이 아니라 칠 드럼스텝(Chilled Drumstep) 또는 리퀴드 드럼스텝(Liquid Drumstep)으로 분류하고 있다.[66] JIKES와 Nori 의 NCS 데뷔곡. 현재 NCS에 남아 있는 Let's Fly Away Pt.2는 NCS에 올린 2번째 곡이다.[67] 삭제될 당시에는 프로모션(홍보용)이었으나, 삭제된 이후 저작권을 먹었다. 현재는 다시 풀린 상태다.[68] 이 곡과는 전혀 다른 리믹스로 인해 황당하게 저작권을 먹은 곡이다(...) 참고로 이 사례는 나중에 2013년 6월에 올라오는 어떤 곡에서 반복된다.(2013년 문단 참조) 여담으로 이 곡을 시작으로 멜로딕 덥스텝 장르는 덥스텝 장르와 다시 함께 분류되기 시작했다.[69] 이 곡의 장르는 칠스텝과 리퀴드 DnB 2개다. 이 곡이 삭제된 이유는 NCS(당시 프로모터)가 Youngblood Hawke로부터 이 곡을 삭제해달라는 요청이 담긴 이메일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1일 11시간 만에 삭제되었다.[70] 삭제될 당시에는 프로모션(홍보용)이었으나, 삭제된 이후 저작권을 먹었다. 현재는 다시 풀린 것으로 보인다.[71] Stan SB(Fox Stevenson)의 데뷔 곡 중 하나이며, Anybody Out There EP의 '''1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또한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으나, MrSuicideSheep 채널 등 일부 영상을 제외하고는 저작권이 걸려있지 않음이 확인되었다.[SB] A B C Fox Stevenson[72] NCS에 올라온 마지막 2012년 노래다. 2012년 첫 곡이 불확실한 것과는 달리, 이 곡이 마지막 곡이라는 것은 '''확실하다.'''[불확실] A B 저작권 상황이 불확실하다.[73] 곡이 삭제될 당시에는 홍보용 곡(프로모션)이어서 삭제되었으나, 이후 이 곡에 저작권이 걸렸다. 또한 곡 자체는 2012년 7월 이전에 나왔다.[74] Elliot Berger[75] 곡 자체는 2012년 2월에 나왔다.[76] Holly Drummond[77] 중앙에 원형 NCS 마크가 있고 양쪽 막대기 구조의 비주얼라이저가 있는 형식이 쓰인 마지막 곡이다. 또한 이 곡은 원래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지만, 지금은 저작권이 사라졌다.[78] 중앙에 NCS 마크가 있고 양쪽 막대기 구조의 비주얼라이저가 있는 형식이 쓰인 '''유일한''' 곡이다. 또한 이 곡을 마지막으로 하여, 이 다음곡부터는 오늘날 볼 수 있는 구조의 비주얼라이저가 쓰이기 시작한다.[VC] A B C 2SCOOPS[79] 오늘날 볼 수 있는 NCS의 비주얼라이저가 쓰인 '''최초'''의 곡이다![80] 이 곡부터 In Your Stories까지(단, Steps 이후로는 일부 곡에서만 사용함.)는 원형 비주얼라이저를 Rusted Media 형식의 것을 사용했다.[81] 2020년 초까지는 저작권이 있었으나, 최근 저작권이 사라졌다.[DE] 최근에는 Summer Was Fun으로 활동하고 있음.[82] Paul Atrocity가 다른 아티스트의 곡을 표절해서 삭제되었다.[PA] A B Oxydeous[83] 3월 2일 당일 삭제되었다. 그래서 최근에야 발견될 수 있었다.[84] 대부분의 구간은 칠스텝인데, 후반부(2번째 드랍 끝난 이후) 구간은 칠스텝이 아니다.[85] Paul Atrocity가 다른 아티스트의 곡을 표절해서 삭제되었다. 그리고 One Second To Go와 달리, 이 곡은 '''저작권'''도 받았다(...) 여담으로 이 곡은 2014년 4~5월에 잠시 '''NCS Release'''가 붙었던 적이 있었다! 즉 NCS Release가 되었다가 삭제되었다는 뜻. [86] 이 곡에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으며(2014년 중반 무렵), 이후 2017년 무렵에 저작권이 풀렸지만 다시 걸렸다.[87] 곡 자체는 저작권이 걸렸으나, Ahrix가 원곡 링크, Ahrix 본인의 소셜 미디어 링크 등 본인과 관련된 Credit을 남긴다면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PRN] A B [88] 비공개 처리 이유: 가사에 '''심각한 수준의''' 논란이 있었다. 가사의 내용이 대충 죽음과 관련된 내용인데, 상당히 '''비관주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죽으면 천국과 같은 좋은 곳에 간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다른 곳에 가거나 환생하며, '''사람들은 이것이 당연한데도 받아들이지 못하다가 모르는 사이에 죽는다는 내용이다.''' 이 때문에 영상 댓글에서 엄청난 분쟁이 일어났고, 결국 보다못한 NCS 측에서 비공개 처리해버린 것.[89] 2013년 후반부터 2014년 12월 초(삭제된 시기)까지 NCS 조회수 1위였다! 이 곡이 삭제된 이후에는 '''Ahrix - Nova'''라는 하우스 장르의 곡이 NCS 조회수 1위를 물려받았다.[90] Dollardåsene 2013과 같은 이유로 삭제되었지만, 역시 저작권은 풀린 상태이다.[91] Fox Stevenson이 Stan SB라는 활동명으로 작곡한 마지막 곡이다. 이후 3개월 간의 공백기 후 Lightspeed라는 곡을 내놓는데, 이 때부터 '''Fox Stevenson'''이라는 활동명으로 활동하게 된다. 참고로 이 곡은 나중에 Fox Stevenson이 Cloudhead Records를 설립한 후 Fox Stevenson의 이름으로 2014년 9월에 다시 릴리즈되었다.[92] Oceanlab - Satelite (Arkasia Remix)의 영향을 받은 곡이라고 한다.[93] NCS가 이 곡의 제목을 '''Kit Fysto & Jamar Rogers - High'''라고 하여 영상을 올리는 대참사를 저질렀고, 이로 인해 분노한 Jamar Rogers가 이 곡에 '''저작권을 걸어버린 후''', 그의 VEVO 채널에 이 곡을 올려 버렸다. 이로 인해 NCS 채널에서도 이 영상이 강제로 삭제되어야 했다. 더 놀라운 건, 저기 나와있는 제목으로 검색하면 영상의 '''80%''' 정도가 저 제목으로 나온다(...)[SC] Siren[94] 2016년 당시에는 원곡이 부당한 방법으로 저작권을 먹은 것 같다. 그래서 Instrumental 버전도 있다.[95] 홍보용 곡이었기 때문에 삭제되었으나, 이후 2015~16년 무렵에 이 곡에 저작권이 걸렸는데, 2019년 현재는 저작권이 없어졌다.[96] 저 곡을 시작으로 드럼스텝을 '''빨간색'''으로 분류하기 시작했다. 저 곡 이전인 Horizon까지는 드럼스텝이어도 덥스텝과 같이 분류되어 파란색으로 분류되었다.[97] 삭제 당시에는 홍보용 곡이어서 삭제되었으며, 2016년 5월까지도 저작권이 없었으나, 2016년 후반~2017년 1월 사이에 '''저작권에 걸렸다.''' 그러나 2020년 4월 갑자기 저작권이 사라졌다![98] 이 곡을 사용한 한국 영상과 한국말처럼 들리는 가사( ) 등의 이유로, 복구 영상 댓글 '''대부분이 한국어다(...)''' 참고로 이러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가사가 Nasty Attack Remix에도 있지만, 한국어 댓글은 이 곡에만 많은 것으로 보인다.[99] 수록 곡은 '''Need You (Centra Remix)''', Pregame (SKITZ Remix), We Going On, '''The Light''', '''Frag Out''', Beauty In Thirds다. 이들 중 1번째, 3번째(둘 다 글리치 합), 5번째(드럼스텝 또는 덥스텝. 논란이 있다.) 곡은 덥스텝이 아니라서, 사실상 반쪽짜리 리믹스나 다름이 없다. 그리고 4번째 곡은 지금도 NCS에 남아 있다.[주의] 해당 영상의 배경 사진이 건전하지 않다.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배경 사진이 상당히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하자.[100] Jarvis Remix 때문에 부당한 저작권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이 곡 자체에는 저작권이 없다.[101] 이 곡에서 피처링을 맡은 Diamond Eyes는 2018년 4월에 '''Everything(NCS: Alpha 수록곡)'''으로 NCS에 데뷔하며, 이 곡을 리믹스한 Ray Volpe는 SoundCloud 한정으로 NCS에서 데뷔하게 된다.[102] 수록 곡은 Curiosity (Besu Remix), Success, So Slowly, Diamond Sky (Electus Remix), Shining Through the Light (Fracx Remix), '''Fallen'''이다. 이들은 모두 칠스텝 장르이며, 원래 3번째 곡이 저작권이 걸렸으나, 현재는 풀렸다. 그리고 마지막 곡은 가사 논란으로 비공개 처리된 그 곡이 맞다.[103] NCS 로고가 파란색으로 되어있는 오류가 있다... 2014년에 EDM & Firepower Records(Fox Stevenson이 속한 레이블)라는 곳에서 저작권 신고를 넣어서 삭제되었다. 지금은 영상 자체를 삭제한 것 같다.[104] 여담으로 이 곡은 Stan SB가 Fox Stevenson으로 활동명을 바꾸고 만든 2번째 곡이다. 최초의 곡은 Lightspeed로, 이 곡도 2013년 7월에 릴리즈했던 곡이다. 들어 보자.[105] 수록 곡은 Damage Control (Spaarkey Remix), '''The Void''', Running To The Sea (Protohype & Carnage Remix), Fevers, Tiny Dancer (T-Mass Remix), A Different State이다. 이들은 모두 덥스텝 또는 멜로딕 덥스텝 장르이며, '''상당히 많은 곡'''이 저작권이 걸렸다.[106] 삭제 당시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으나, 이후 저작권이 사라진 상태'''였'''다. 그러나 2020년 현재 Broken처럼 다시 저작권이 걸렸다.(2019년 말에 다시 걸린 것으로 추정) 이 곡은 Watching Me EP에 수록된 5곡 중 마지막 곡이며, 2013년 8월 당시 유일하게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한 곡이었다.[107] 이 곡 자체에는 저작권이 없으나, 원곡에 저작권이 걸려 있으며 이로 인해 부당한 저작권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주의할 것.[108] Sedated부터 '''무려 8곡 연속'''으로 앞부분이 편집된 버전이 올라왔는데, 이 곡은 편집되지 않은 '''원곡'''이다. 또한 이 곡은 복잡한 저작권 상태를 가진 곡이다. 삭제 당시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는데, 이후 2016년 중후반~2017년 1월 사이에 저작권이 풀렸다가(참고로 2016년 5~6월에도 걸려 있었다.), 2019년 후반에 '''다시 걸렸다(...)'''[109] 삭제 당시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고, 2018년경까지 저작권이 유지되었다가 2019년 초 무렵에 저작권이 사라졌다.[110] 2013년 9월 당시에는 글리치 합 장르도 DnB와 같이 자주색으로 분류하고 있어서, 비주얼라이저의 색이 자주색이다. 그리고 삭제된 이유가 상당히 특이한데, '''배경 사진에 저작권이 걸려서(...)''' 삭제되었다.[111] Feel The Melody (Synx Remix)부터 이 곡까지 5곡은 '''저작권''' 때문에 삭제된 곡이다.(Primer만 배경 사진, 나머지는 모두 곡 그 자체) My Sunshine부터 Freedom까지 4곡은 모두 '''프로모션(홍보용)'''이라 삭제된 거다.[112] 곡 자체는 무려 '''2012년 4월'''에 나왔다.[113] 나중에 나오는 Verm - Explode보다 더 심각하게 편집했는데, 곡 전체 길이의 '''무려 60%'''가 편집되었다.[114] 수록 곡은 Feel The Melody (Synx Remix), Your Addiction (Nasty Attack Remix), Show Your Smile (Jikes Remix), '''Skyline''', One Day Things Will All Be Different (NCT Remix)이다. 이들은 모두 DnB 장르다.[115] 곡 초반 몇 초 정도가 편집되었다. 그리고 NCS에 올라온 버전은 마지막 부분에서 소리가 줄어들지 않고 끝까지 원래 사운드 크기를 유지하는 오류(?)가 있다.[116] 여담으로 FULL이라고 적힌 원곡 링크를 누르면 나오는 영상의 배경은 로맨티컬리 아포칼립틱이라는 웹툰에서 가져온 것이다. 정확히는 공식 위키의 타임라인 부분 중 'NUCLEAR SPRING'의 대표 사진을 배경으로 사용한 것이다.[117] 이 곡 자체에는 저작권이 안 걸려 있는 것으로 보이나, 부당한 저작권 행사가 심한 편이다. 주의할 것.[118] Zerotic의 EP인 Eternal Love EP에 수록된 곡이다.[119] 제목은 이것을 의미하나, 정작 이것도 생각나게 한다(...)[120] 원본 영상은 NCS 로고가 비주얼라이저 가까이 붙는 오류가 있다. 그리고 저작권 상황을 차마 이야기하기가 어려운 것이, 누구는 저작권이 걸렸다고 하고 있고, 누구는 저작권에 걸린 곡에서 나온 보컬이 있어서 저작권이 걸렸다가, 현재는 풀렸다고 하고 있다(...) 일단은 확실하게 확인되기 전까지는 저작권에 걸려 있다고 간주한다.[121] 업로드 이후 24시간 이내에 삭제되었다. 12월 1일 당일에는 영상이 있었으나(조회수 약 1만회), 12월 2일에는 가장 최근에 올라온 곡이 '''Time Leap''' 이 되어 있는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122] 영상이 아예 '''오류로 가득하다(...)''' 먼저 이 곡 장르는 DnB인데 덥스텝이라고 파란색으로 하지를 않나, 비주얼라이저가 찌그러지지를 않나... 또한 이 곡의 영상은 유튜브에 남아있지 않았으나, 한 불가리아 웹사이트에 퍼간 영상이 있어서 극적으로 복구되었다.[123] 1번째와 3번째 드랍은 일렉트로 하우스 + 트랜스(?) 조합의 드랍이고, 2번째 드랍은 덥스텝 드랍이다. 여담으로 NCS는 이 곡을 '''드럼스텝'''으로 잘못 분류했다(...)[124] 비공개 처리된 이유: '''알려진 바 없다.''' 부당한 저작권 신고로 인해 강제로 비공개 처리된 것으로 추정된다.[125] 곡 자체는 2012년 말에 나왔다.[126] 위에서 나온 MMXIII VIP의 원곡이다.[127] 한때 저작권에 걸려 있었으나, 현재는 Ignite 이전 곡 대부분이 저작권이 풀리면서 저작권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28] Wayback Machine으로는 찾을 수 없었으나, Facebook에 기록이 남아 있어서 확인이 가능하다.[129] Quantum Circles라고만 유튜브에 뜨면 Geometry Dash 관련 영상 몇 개가 뜬다(...) 정작 GMD와는 관련이 없는데도.. [130] 2014년 3번째로 NCS에 올라온 곡. 이 곡의 여성 보컬이 PRFFTT와 Svyable중 한 명을 너무 좋아했는데, 그 사람에게는 이미 연인이 있었고, 이에 화가 난 여성 보컬이 이 곡을 쓰지 못하게 했다.(...) 그리고 곡 자체는 2013년 11월에 나왔다.[131] 홍보용 곡이었기 때문에 삭제되었다.[132] 2014년 13번째로 NCS에 올라온 곡. 삭제된 이유는 위 곡과 같다. 여담으로 NCS에서 Rusted Media의 비주얼라이저가 쓰인 마지막 곡이며, 이 이후로는 오늘날 볼 수 있는 NCS의 독자 개발 비주얼라이저가 쓰이고 있다.[133] 2014년 14번째로 NCS에 올라온 곡. Kasbo의 요청으로 삭제되었다.(Kasbo는 NCS에 남아 있기를 원하지 않았다.) 여담으로 NCS에서 오늘날 볼 수 있는 자체 제작 비주얼라이저가 쓰이기 시작한 곡이다. 또한 삭제되기 전에 먼저 '''NCS Release'''가 붙었던 곡이었다.[134] '''저작권'''을 먹어서 삭제되었다. 여담으로 NCS에 홍보된 '''마지막 곡'''이었다. 따라서 이 곡 이후로 NCS에 올라온 곡은 모두 '''NCS Release'''가 붙었다. 삭제된 곡도 NCS가 먼저 붙었다가 삭제되었다.(이 곡은 해당 안함.)[135] NCS Release였다가 '''부당한 저작권 신고가 들어와(...)''' 삭제되었다.[136] 2014년 27번째로 NCS에 올라온 곡. NCS Release였다가 삭제되었는데, 이유는 알 수 없다. Adrian은 Rob Gasser가 당시 NCS에 남아 있기를 싫어해서라고 추정하고 있다.[137] NCS Release였다가 '''정당한 저작권'''을 먹어서 삭제되었다.[138] NCS Release였다가 Nextgen Records라는 레이블과의 갈등으로 인해 삭제되었다.[139] 2014년 89번째로 NCS에 올라온 곡. NCS Release였다가 삭제되었는데, 삭제된 이유는 알 수 없다.(심지어 올라온 지 1시간도 안되어 삭제되었다!) 여담으로 현재 NCS 조회수 1위인 '''Alan Walker - Fade'''의 바로 전 릴리즈였다.[140] KAEL이 Abeltunes - Waterfall이라는 곡을 표절해서(...) 삭제되었다. 참고로 관련 자료를 매우 찾기 힘든데, 이 사실을 무려 '''22시간'''만에 발견해 버렸기 때문이다. [141] 2019년 6월에 비공개 처리되었다. 이유는 알 수 없는데, 저작권과 관련된 문제로 추정하고 있다.[142] 2019년 3월 후반에 저작권 신고를 먹어서 삭제당했다. 조회수가 '''5천만'''이 넘어가는 엄청난 유명곡이었는데도 불구하고, '''Lemaitre - Closer'''와의 유사성으로 인해, Lemaitre의 '''부당한 저작권 신고(...)'''를 받고 삭제되었다. 참고로 현재 저작권 현황을 알 수 없으니 주의하시길 바란다. [143] 비공개 처리되었으며, 이유는 알 수 없다.[144] 비공개 처리되었으며, 이유는 알 수 없다. Adrian은 RIVERO가 NCS에서 독립하기를 원해서 비공개 처리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145] 위에 나와있는 KAEL의 사례와 비슷하게 다른 곡을 베꼈는데, 무려 '''강좌용 샘플 팩'''(...)을 그대로 베끼고 보컬만 좀 추가했다고 한다. 결국 이 사실은 '''15분'''만에 알려져 광속으로 비공개 처리되었다.[146] 노래에서 저작권이 '''없는''' 보컬을 샘플링했는데, RÆVE가 이 저작권이 없는 보컬에 대해 '''저작권 신고(...)'''를 넣어서 비공개 처리되었다. 또는 이 곡은 원래 '''RÆVE - Firefly (Andromedik Remix)'''로, NCS에서는 NCS 내에 없는 곡의 리믹스를 금지하고 있었는데, NCS 밖의 곡을 리믹스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비공개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Adrian Høiland는 후자라고 추정하고 있다.)[147] gorbunoff의 '''부당한 저작권 신고(...)'''로 인해 2020년 4월 21일 삭제되었...으나 삭제된지 하루도 안돼서 복구됐다. 이사람은 Dancefloor를 표절한 뒤 자기 노래라고 주장하고 Dancefloor에 저작권 신고를 넣었다. 거의 이름만 바꿨는데, 한번 들어보자. [148] 이 외에도 '''Tobu & Itro - Cloud 9'''이 한때 삭제되었다가 복구되었고, 3rd Prototype & Lex Dave - Time (feat. Yohamna Solange), Egzod - Wake Up (ft. Chris Linton)(Rise Up이 아니다.)은 NCS에서 실수로 삭제되었다가 이후 복구되었으며, Maryn - Shake You Off (ft. Shel Bee)는 NCS가 곡의 잘못된 버전을 올려서 일시적으로 삭제되었다가 제대로 된 버전을 올려 복구되었고, Max Brhon - Humanity는 영상 마지막에 오류(갑작스러운 3번째 드랍+글리치 오류)로 인해 수정하여 재업로드했다. 3rd Prototype - Blue도 잠시 삭제되었다가 다시 업로드되었다.[149] NCS의 Soundcloud 계정에서 삭제되었는지 확인되지 않았다.[150] 이 곡을 마지막으로 NCS가 SoundCloud에 곡을 올리는 일이 매우 줄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