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ygen Not Included/지형
1. 개요
2. 소행성
3. 생물군계 (Biome)
3.1. 퇴적물 지역 (Temperate Biome)
3.2. 습지 지역 (Swamp Biome)
3.3. 얼음 지역 (Frozen Biome)
3.4. 정글 지역(Caustic Biome)
3.5. 원유 지역 (Oil Biome)
3.6. 표면 지역 (Space Biome)
3.7. 마그마 지역(Volcanic Biome)
3.8. 조수 지역(Tide Pool Biome)
3.9. 녹 지역(Rust Biome)
3.10. 숲 지역(Forest Biome)
4. 1차 격벽
5. 심성석 격벽
6. 뉴트로늄 벽
7. 모래 상자
8. 산소 상자
9. 유적 (POI)
10. 간헐천 (Geyser)
1. 개요
산소미포함의 콜로니는 서로 다른 특색이 있는 지형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구역마다의 온도, 자원, 난제가 다르다. 각 지형은 고유의 배경색이 음영처럼 들어가 있어 같은 물질이라도 지역에 따라 조금씩 색이 다르게 보인다.
2. 소행성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 총 아홉 개의 소행성 중 하나를 택하여 시작할 수 있다. 각 소행성마다 환경의 형태와 생물군계 등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며 테라를 제외한 모든 행성은 세계 시드 값마다 내부 환경이 서로 다르다.
2.1. 소행성 종류
- 테라(Terra)
가장 무난하고 기본적인 구성의 소행성. 정식 출시 이전까지만 해도 사실상 유일한 소행성이었다. 퇴적물 지대(Temperate Biome)에서 시작하며, 숲 바이옴(Forest Biome)과 녹 바이옴(Rust Biome)이 없다. 적당한 자원 모두 있어 기초를 익히기에 충분하다. 세계 시드 값과 무관하게 하술할 세계 특성이 없는 소행성이다.
- 오세아니아(Oceania)
테라와 똑같은 바이옴 구성이나 소금물이 가득한 바다 소행성. 대부분이 바다라서 소금물이 가득하므로 탈염기를 구축해둔다면 적어도 물과 소금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행성이다. 그리고 시작지점이 약간 아래쪽에 있다.
- 라임(Rime)
영상온도를 찾아보기 힘든 매우 추운 행성. 퇴적물 지대(Temperate Biome)에서 시작하며, 혼자서만 10종류의 바이옴을 지니고 있다.[1] 대부분의 환경이 저온이기에 식중독균이나 는지렁이허파균은 대부분 온도에 의해 사멸하여 적어도 세균에 대한 위험은 없으며 그만큼 저온 지대이므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평소에 사용되었던 냉각 시설은 권장하지 않는다. 다만 기지 내 수세식 화장실 배관이 동파할 정도로 극한 환경으로 기존 다른 행성에서 사용하는 단열 방식은 잊어버리는 것을 권한다 그리고 목장을 운영할려면 최대한 빨리 해야한다, 한 60주기만 지나도 낮은 온도로 인해 대부분에 크리쳐가 멸종한다 그리고 특이하게 기끌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프린팅 포드에서 기끌이 알 혹은 새끼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기끌이 수급이 가능하다.
- 베르단테(Verdante)
숲 지역(Forest Biome)에서 시작하며, 얼음 지역(Frozen Biome)이 없다. 유기물 자원이 가득한 것이 특징이며, 오염지대가 매우 넒어 버섯을 주식으로 삼기 좋다.
- 아보리아(Arboria)
숲 지대(Forest Biome)에서 시작하며, 오염된 지역(Swamp Biome)이 없다. 그 외에는 베르단테와 큰 차이가 없다.
- 볼케네아(Volcanea)
퇴적물 지역(Temperate Biome)에서 시작하며, 숲 지역(Forest Biome)과 녹 바이옴(Rust Biome)이 없다. 용암 지대(Vocanic Biome)가 넓은 것이 특징인 행성이며, 마그마가 원유지역 보다 높게 올라와있다. 또한 진공으로 노출되는 우주 공간이 시작 지형 위쪽에 군대군대 구멍뚫린 듯이 존재한다. 다만 크기는 작은 편.
- 배드랜즈(Badlands)
퇴적물 지역(Temperate Biome)에서 시작하며, 숲 지역(Forest Biome), 오염된 지역(Swamp Biome)과 조수 지역(Tide Pool Biome)이 없다. 소금물(조수 지역)이 구하기 힘든 행성이기에 이론상 액체류 간헐천(분출구)가 하나도 없을 수도 있다. 또한 모든 행성 통틀어 유일하게 메마른 지역(Barren Biome)이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은 화성암, 화강암, 흑요석같은 광석이 똘똘 뭉쳐 있으며 군데군데 재련된 철이 원유지역 내 납처럼 높은 질량으로 압축되어 있다.
- 아리디오(Aridio)
베르단테와 똑같은 지역구성이나 시작 지역을 포함한 모든 지역이 30˚C 이상으로 기본 유지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초반 끼니이 농장을 짓기 매우 힘들다. 숲 지역은 헥사렌트 열매가 높은 열량으로 존재하기에 버티면서 농장을 지으면 되지만 최고난이도에서는 헥사렌트 열매도 3~4명 15주기 이상 가기 힘들기에 지옥이 펼쳐진다. 이 때문에 가장 뒷편에 위치하는 오아시쎄보다 초반 정착이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 오아시쎄(Oasisse)
숲 지역(Forest Biome)에서 시작하며, 얼음 지역(Frozen Biome)과 녹 지역(Rust Biome)이 없다.
시작 지점 바로 외부에 60~80도에 육박하는 어마어마한 고온의 모래가 둘러져있다. 모래라서 파고나가기도 힘들 뿐더러, 뜨거운 지역에 복제체들이 맨몸으로 나가면 화상피해를 입으므로, 사실상 빠른 슈트확보가 이 행성의 관건이다(다만 슈트확보를 위해서는 골무갈대나 드레코가 필요하므로 프린팅팟 보급을 제외한 경우에는 이론상 하나의 지역 정도는 뜨거운 모래를 강행돌파해야 한다.)
시작 지점 바로 외부에 60~80도에 육박하는 어마어마한 고온의 모래가 둘러져있다. 모래라서 파고나가기도 힘들 뿐더러, 뜨거운 지역에 복제체들이 맨몸으로 나가면 화상피해를 입으므로, 사실상 빠른 슈트확보가 이 행성의 관건이다(다만 슈트확보를 위해서는 골무갈대나 드레코가 필요하므로 프린팅팟 보급을 제외한 경우에는 이론상 하나의 지역 정도는 뜨거운 모래를 강행돌파해야 한다.)
2.2. 세계 특성
테라를 제외한 모든 소행성은 세계 시드 값에 따라 내부 지형과 세계 특성, 우주 지도가 서로 다르게 결정된다. 한 번에 최대 네 개의 세계 특성이 결정되며 일부 서로 대척되는 특성은 같이 나타나지 않는다.[2] 세계 특성에 따라 게임이 쉬워질 수도 있고 어려워질 수도 있다.
3. 생물군계 (Biome)
3.1. 퇴적물 지역 (Temperate Biome)
[image]
- 갈색 배경으로 표시
- 온도: 20 ~ 25℃ 안팎
군데군데 산소석과 물이 꽤 많이 고여있으며 모든 바이옴 중에 유일하게 동광석이 존재한다. 초반 산소생성에 필요한 '''녹조'''와 초반 전기공급에 유용한 '''석탄''', 액체의 여과매질인 '''모래'''가 모두 존재해서 난이도는 매우 낮은편. 다만 해당 지역으로 시작하는 행성은 후반에 흙이 모자랄 위험이 크므로, 흙을 통해 식량을 대량생산해내기 위해서는 흙을 공급받을 수단을 후반부 부터 생각해 두는것이 좋다.
공략법?
딱히 공략법이라고 말할 게 별로 없다. 다만 산소석으로 만들어진 산소방과 이산화탄소가 가득한 탄소방이 있는데 산소방은 문제가 없지만 잘못해서 탄소방에 구멍을 뚫어서 기지 내부로 이산화탄소가 가득 쌓일 수 있으니 기지 밑에 탄소가 쌓일 수 있도록 구멍을 파거나 제련된 금속이 있다면 기체압축시설을 만들어도 된다.
- 미가공 금속
-구리 광석(Copper Ore)
- 광물 원석
-사암(Sandstone)
- 여과 매질
-모래(Sand)
- 소모성 광물
-산소석(Oxylite)
-석탄(Coal)
-석탄(Coal)
- 유기물
-조류(Algae)
- 경작가능 토양
-흙(Dirt)
- 농업
-비료(Fertilizer)
- 식물
-진창뿌리(Muckroot)
-끼니나무(Mealwood)
-센털꽃(Bristle Blossom)
-깎아지른찔레(Bluff Briar)
-끼니나무(Mealwood)
-센털꽃(Bristle Blossom)
-깎아지른찔레(Bluff Briar)
- 동물
-주동가리(Hatch)
-빛벌레(Shine Bug)
-빛벌레(Shine Bug)
- 액체
-물(Water)
- 기체
-산소(Oxygen)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3.2. 습지 지역 (Swamp Biome)
[image]
- 녹색 배경으로 표시
- 온도: 25 ~ 30℃ 안팎
모든 바이옴 통틀어 유일하게 존재하는 '''는지렁이(슬라임) 때문에 병균 오염이 심한 지역'''이다. 하지만 이 게임에 조금씩 익숙해지다보면 해당 바이옴은 '''초반 기지확장 단계를 가속화하는데는 최고의 기회의 땅이다.'''
적절한 온도의(30℃ 가량) 오염된 물로 기지 물 보충 혹은 오염된 물 사용처에 사용할 수 있고, 오염된 산소 덕분에 일단 빠르게 복제체들을 해당 지역으로 투입해도 발전 속도가 더뎌지지 않는다. 흙을 빠르게 소모시키며 복제체의 노동력도 자주 요구하는 끼니나무나 귀중한 물을 소모하는 센털베리 대신 쓸모없는 는지렁이를 먹는 식품인 어르스름 갓과 슈트를 제작하는 데에 필수인 갈대섬유를 빠르게 수급하는 골무갈대와 건조물의 과열온도를 높여주는 금 아말감의 존재만 해도 해당 바이옴의 초반 가치는 상당하다. 일단 빠르게 파고들어 필요자원을 수급하고, 탈취기를 돌려 해당지역의 는지렁이를 포함하는 오염된 산소를 정화하는 것이 좋다.
이 바이옴에서 스폰되는 오염된 물에는 병균이 없음으로 정수기를 사용해서 깨끗한 물로 바꾸어 사용 할 수 있다. 다만 오염된 물에 는지렁이가 맞닿아 있으면 오염돼 있을 가능서이 높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또 팁을 주자면 이 바이옴이 모두 세균으로 오염되지 않았다. 그래서 세균 지도를 보면서 오염된 블럭을 캐지 않으면 세균이 퍼저나가지 않는다.
공략법?
3칸 높이로 늪지까지 구멍을 파고 이어지기 전에 수동도어락으로 입구를 닫는다. 입구에는 바로 세면대를 설치해 는지렁이를 씻어낼 수 있도록 한다. 최소 3개 정도는 놔야 안 씻는 애들이 안 생긴다. 오염된 산소도 처리해야하니 탈취기를 설치하는데 탈취기는 주위 1칸 씩의 오염된 산소를 없애주니 2칸 간격으로 설치하면 효율적이다. 채취한 는지렁이는 버섯의 비료로 줘버리는 게 가장 효율이 좋지만 그 동안 는지렁이의 보관방법은 는지렁이 전용 창고를 만들어 창고에 물을 한컵 을 넣어주면 오염된 산소는 생기지 않으면서 는지렁이를 보관할 수 있다. 참고로 창고가 는지렁이균에 감염되있거나 는지렁이에 는지렁이균이 있다면 꺼내거나 넣는 즉시 손을 씻었더라도 재감염되니 일을 한뒤 손을 씻게 나오도록 세면기를 양 옆으로 설치하던가 일방통행으로 만들어둬야 한다.
- 미가공 금속
-금 아말감(Gold Amalgam)
- 광물 원석
-퇴적암(Sedimentary Rock)
- 유기물
-조류(Algae)
-는지렁이(Slime)
-는지렁이(Slime)
- 경작가능 토양
-점토(Clay)
- 식물
-골무 갈대(Thimble Reed)
-어스름갓(Dusk Cap)
-어스름갓(Dusk Cap)
- 동물
-헐떡이(Puft)
-드럽치(Pacu)
-드럽치(Pacu)
- 액체
-오염된 물(Polluted Water)
- 기체
-오염된 산소(Polluted Oxygen)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3.3. 얼음 지역 (Frozen Biome)
[image]
- 하늘색 배경으로으로 표시
- 온도: -40 ~ -5℃ 안팎[3]
해당 지역의 유용한 자원은 우주개발에 필수적인 철망간 중석, 온도관리에 활용 가능한 씨근풀, 그리고 얼음과 눈 따위가 있다. 얼음은 거주지 온도 관리와 물 공급을 빠르게 보강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활용해야 하나, 고체 얼음의 질량은 액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압축률이 높기때문에 지나치게 물이 많아지거나 온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다.
해당 지역에 POI(유적)에서는 유일하게 항엔트로피 열 무효화 장치라는 특수한 건조물을 발견할 수 있다. 해당 건조물의 기능은 하단참조.
- 미가공 금속
-철망간중석(Wolframite)
- 광물 원석
-화강암(Granite)
- 액화 가능
-눈(Snow)
-얼음(Ice)
-오염된 얼음(Polluted Ice)
-얼음(Ice)
-오염된 얼음(Polluted Ice)
- 식물
-진눈깨비 밀(Sleet Wheat)
-씨근풀(Wheezewort)
-씨근풀(Wheezewort)
- 기체[4]
-산소(Oxygen)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3.4. 정글 지역(Caustic Biome)
[image]
- 자주색 배경으로 표시
- 온도: 35 ~ 45℃ 안팎
- 미가공 금속
-철 광석(Iron Ore)
- 광물 원석
-화성암(Igneous Rock)
- 소모성 광물
-석탄(Coal)
-표백석(Bleach Stone)
-표백석(Bleach Stone)
- 유기물
-조류(Algae)
- 농업
-인광석(Phosphorite)
- 식물
-꼬집후추풀(Pincha Pepperplant)
-아물나리 (Balm Lilly)
-아물나리 (Balm Lilly)
- 동물
-기끌이(Drecko)
-음눈(Morb)
-음눈(Morb)
- 기체
-수소(Hydrogen)
-염소(Chlorine)
-염소(Chlorine)
3.5. 원유 지역 (Oil Biome)
[image]
- 짙은 갈색 배경으로 표시
- 온도: 75℃ ~ 85℃ 안팎[5]
두세군데 정도 포자난이 심겨져 있는 부분이 있는데 포자난은 좀비병 포자를 발산해서 원유와 이산화탄소를 오염시키니 밀봉해서 조심히 처리하자.
- 미가공 금속
-철 광석(Iron Ore)
- 광물 원석
-화성암(Igneous Rock)
-화강암(Granite)
-화석(Fossil)
-화강암(Granite)
-화석(Fossil)
- 정제 금속
-납(Lead)
- 고체
-다이아몬드(Diamond)
- 식물
-포자난 (Sporechid)
-뛰는 기쁨(Jumping Joya)
-뛰는 기쁨(Jumping Joya)
- 동물
-미끌이(Slickster)
- 액체
-원유(Crude Oil)
- 기체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천연가스(Natural Gas)
-천연가스(Natural Gas)
- 특수
-원유 매장지(Oil Reservoir)
3.6. 표면 지역 (Space Biome)
[image]
- 우주를 배경으로 큼지막한 위성이 보인다.
- 진공
- 우주 노출(이 지형에 노출된 액체와 기체는 빠른 속도로 소멸한다. 건식벽체(Drywall)를 지어 방지할 수 있다.)
- 광물 원석
-고철질암(Mafic Rock)
-화강암(Granite)
-화성암(Igneous Rock)
-화강암(Granite)
-화성암(Igneous Rock)
- 여과매질
-표토(Regolith)
- 동물
-파고들징(Shove Vole)
3.7. 마그마 지역(Volcanic Biome)
[image]
- 온도: 최소 1500℃ 이상
- 광물 원석
-뉴트로늄(Neutronium)
-흑요석(Obsidian)
-흑요석(Obsidian)
- 액체
-마그마(Magma)
3.8. 조수 지역(Tide Pool Biome)
[image]
- 옅은 분홍색 배경으로 표시
- 온도: 25 ~ 40℃ 안팎
- 광물원석
-퇴적암(Sedimentary Rock)
-화강암(Granite)
-화석(Fossil)
-화강암(Granite)
-화석(Fossil)
- 여과매질
-모래(Sand)
- 소모성 광물
-소금(Salt)
-표백석(Bleach Stone)
-표백석(Bleach Stone)
- 식물
-꼬집후추풀(Pincha Pepperplant)
-물이파리(Waterweed)
-물이파리(Waterweed)
- 동물
-쑤심딱지(Pokeshell)
- 액체
-소금물(Salt Water)
- 기체
-수소(Hydrogen)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3.9. 녹 지역(Rust Biome)
[image]
- 온도 : -15 ~ 5℃ 안팎
이곳의 의의는 진눈깨비밀을 구할 수 없는 베르단트에서 오물오물 콩을 얻을 수 있다는 것과, 자연적으로 고여있는 대량의 에탄올을 사용해 오물오물 콩 농사와 석유 발전기에 쓸 수 있다는 것. 또한 녹이 매우 많이 산재하기 때문에 전해조 대신 녹 탈산기를 주력 산소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마침 염소 제거용으로 뿌림 소금덩굴을 주기도 하고. 흑요석과 고철칠암을 초반부터 마음껏 얻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 미가공 금속
-철 광석(Iron Ore)
- 광물 원석
-고철질암(Mafic Rock)
-흑요석(Obsidian)
-흑요석(Obsidian)
- 소모성 광물
-소금(Salt)
-녹(Rust)
-표백석(Bleach Stone)
-녹(Rust)
-표백석(Bleach Stone)
- 식물
-오물오물 콩(Nosh Sprout)
-뿌림 소금덩굴(Dasha Saltvine)
-뿌림 소금덩굴(Dasha Saltvine)
- 동물
-기끌이(Drecko)
-찍찍거리는 헐떡이(Puft)
-찍찍거리는 헐떡이(Puft)
- 액체
-에탄올(Ethanol)
- 기체
-염소(Chlorin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3.10. 숲 지역(Forest Biome)
[image]
- 검푸른빛깔 배경으로 표시
- 온도: 온도: 20 ~ 25℃ 안팎
베르단테(Verdante), 아르보리아(Arboria)), 아리디오(Aridio)), 오아시쎄(Oasisse) 행성의 시작지형.
퇴적물 지형보다 물이 비교적 적게 분포되어 있으며, '''녹조가 없으므로''' 초반 산소석 소모 이후에 오염지역이나 정글지역에서 녹조를 구하거나 녹지역을 뚫어 녹 탈산기를 돌려서 산소공급처를 찾아야 한다.[7] 게다가 석탄도 없으니, 수목나무에서 나오는 목재로 목재 발전기를 떼다가 이산화탄소 질식으로 게임이 터지고 싶지 않다면 밖으로 나가 빨리 석탄을 캐와야 그나마 전기수급이 원활하다.[8] 하지만 중반 이후 전기수급이 쉬울 수 있는 바이옴이기도 한데 목재를 이용해 에탄올을 만들면 석유발전기를 돌릴 수 있기 때문. 그 외에 숲 지역의 특징으로는 미가공 금속인 알루미늄이 많다는 것과 자연재배 레이아웃을 만들기 위한 잎람쥐, 그리고 '''엄청나게 많은 흙'''(대략 2천톤 정도)이 있다.- 미가공 금속
-알루미늄 광석(Aluminum Ore)
- 광물 원석
-화성암(Igneous Rock)
- 소모성 광물
-산소석(Oxylite)
- 경작가능 토양
-흙(Dirt)
- 농업
-인광석(Phosphorite)
- 식물
-끼니나무(Mealwood)
-산소고사리(Oxyfern)
-환희 잎(Mirth Leaf)
-수목나무(Arbor Tree)
-산소고사리(Oxyfern)
-환희 잎(Mirth Leaf)
-수목나무(Arbor Tree)
- 동물
- 액체
-물(Water)
- 기체
-산소(Oxygen)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4. 1차 격벽
시작 지역인 퇴적물 지역을 동그랗게 감싸고 있는 격벽으로 퇴적물 지역과 다른 지역을 구분한다.
- 광물 원석
-화강암(Granite)
-화성암(Igneous Rock)
-화성암(Igneous Rock)
5. 심성석 격벽
다른 지역간 경계에 있는 벽으로, 매우 단열효과가 높은 심성석의 특징 덕분에 다른 지역간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 광물 원석
-심성석(Abyssalite)
6. 뉴트로늄 벽
맵의 테두리를 둘러싼 광물로 사실상 맵의 끝을 알리는 지역이다. 채굴이 불가능하다. 디버그 모드에서 강제로 채굴할 수 있기는 하다.
- 광물 원석
-뉴트로늄(Neutronium)
7. 모래 상자
6x5 크기와 각 모서리 1칸이 없는 8x9 크기가 있으며 둘레는 화성암으로 둘러싸여져 있고 안엔 모래가 들어있고 사암이 중간중간 끼어있는 구조이다. 유기물 지역, 고온 지역, 저온 지역의 이곳저곳에 드문드문 존재하며 부족한 모래를 조금씩 보급하는 의미인 듯 하다.
- 광물 원석
-사암(Sandstone)
-화성암(Igneous Rock)
-화성암(Igneous Rock)
- 여과 매질
-모래(Sand)
8. 산소 상자
[image]
9x7 크기의 심석 사각형 속에 산소석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박혀 있다. 맵에 하나만 존재하며 발견하면 얼마간 산소를 보충받을 수 있다. 시작 지역에서의 접근성에 따라 맵의 난이도가 변한다.
- 광물 원석
-심성석(Abyssalite)
- 소모성 광물
-산소석(Oxylite)
9. 유적 (POI)
플레이어가 만들지 않고 원래부터 소행성에 존재하던 인공물로 이루어진 부분.[스포일러]
특정 광물들과 구조물들이 게임 파일 내에 정해진 형태로 지어져 있는 것. 때에 따라 식물과 크리터, 간헐천을 포함하기도 한다. 디버그모드를 활성화시키면 저장된 POI 목록을 볼 수 있다. 맵 생성시 심성석 격벽이 먼저 생성되고 POI들이 배치되기 때문에 심성석 격벽이 뚫려 버려 다른 지역으로 열이 새어 버리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마와 얼음 지역에 붙어버리면 초대형 증기지대가 생겨버려 개척이 상당히 곤란해진다.
이곳의 구조물들 중 조사 가능한 구조물을 조사하면 산소미포함의 스토리에 대한 힌트가 될 수 있는 글들을 읽을 수 있다. 개발자의 편지도 있다.
일부 POI의 경우 맵의 끝이 아닌데도 미확인 지역으로 표시되어 있어 내부를 볼 수 없는데, 하나뿐인 입구를 찾아 복제체를 보내 수동으로 열면 비로소 안개가 걷히고 진입가능하다.
신경 변동기, 항엔트로피 열무효화장치는 매우 유용하지만 자판기와 캐비넷은 보너스가 대단치 않아서 그냥 없는 것보다 나은 정도이다.
- 구조물
- 신경 변동기(Neural Vacillator)
[image]
복제체를 할당해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복제체를 넣어두고 잊은 채로 방생하면, 숨이 막혀 사망할 수 있으므로 완료버튼을 빠르게 눌러주자. 사용한 복제체는 강력한 무작위 특성 4가지 중 하나를 얻는다. 특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항목참조. 한번 사용하면 충전을해야 다시 사용가능하다, 충전연료는 로켓발사후 귀환할때 랜덤으로 얻을수 있긴하지만, 사실상 1회용이라고 보는편이 편하다.
복제체를 할당해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복제체를 넣어두고 잊은 채로 방생하면, 숨이 막혀 사망할 수 있으므로 완료버튼을 빠르게 눌러주자. 사용한 복제체는 강력한 무작위 특성 4가지 중 하나를 얻는다. 특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항목참조. 한번 사용하면 충전을해야 다시 사용가능하다, 충전연료는 로켓발사후 귀환할때 랜덤으로 얻을수 있긴하지만, 사실상 1회용이라고 보는편이 편하다.
- 항엔트로피 열무효화장치(Anti Entropy Thermo-Nullifier)
[image]
수소를 초당 10g씩 사용하여 주변 유체의 열을 80kDTU씩 내린다. 온도를 고정적으로 내리는 씨근숨 풀과는 다르게 열을 고정적으로 내리는 차이점이 있으며 효과 자체는 매우 강력한 편으로 최대 -173.2℃까지 내릴 수 있다.
수소를 초당 10g씩 사용하여 주변 유체의 열을 80kDTU씩 내린다. 온도를 고정적으로 내리는 씨근숨 풀과는 다르게 열을 고정적으로 내리는 차이점이 있으며 효과 자체는 매우 강력한 편으로 최대 -173.2℃까지 내릴 수 있다.
- 자판기(Vending Machine)
열어서 영양바(Nutrient Bar)를 얻을 수 있다.
- 캐비넷(Cabinet)
열면 옷이 나온다.
- 그 외 사다리(플라스틱), 타일(흑요석), 조명(강철), 기타 장식물(뉴트로늄)
10. 간헐천 (Geyser)
기체나 액체를 뿜어내는 바닥이 뉴트로늄으로 이루어진 화산이나 파이프 형태의 오브젝트이다. 게임에서 무한생존의 키 포인트로 필요한 간헐천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생존 난이도가 급상승하게 된다.
간헐천 중 서늘한 증기, 천연가스, 염소 벤트와 소금물 분출구, 기름 저장소는 바이옴에 따라 POI의 형태로 정해진 개수가 열린채로 출현하며 추가적으로 12개의 암석에 묻힌 무작위 간헐천을 발견할 수 있다. 모든 간헐천은 뉴트로늄 타일 위에서 스폰되므로 뉴트로늄 타일의 위치를 통해 묻혀있는 간헐천의 존재를 추측할 수 있다.
간헐천은 활동 사이클과 분출 사이클을 가지고 있으며 간헐천을 발견했다면 과학자가 조사하여 활동 사이클을 알아낼 수 있다. 활동기 동안 간헐천은 분출 사이클을 따라 물질을 분출하며 활동기가 아닐 때에는 휴면하여 아무것도 분출하지 않는다.
기체를 분출하는 벤트, 액체를 분출하는 분출구, 마그마와 액체 금속을 분출하는 화산이 있다.
만만하게 초반부터 사용 가능한 종류도 있는 반면 일부 간헐천은 분출물의 온도가 너무 높아서 제어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초반에 열었다가는 열이 맵 전체로 퍼져버릴 위험이 있으므로 정체불명의 간헐천을 발견하면 일단 끄트머리만 열어서 종류를 확인한 뒤 당장 쓸 생각이 없다면 바로 단열타일로 닫아두자.[10]
팁)P를 눌러 우선순위 오버레이를 켠 후 긴급순위(!!)로 간헐천이 존재하는 뉴트로늄 부위의 우선순위를 바꾸면 왼쪽 위 상태창에 간헐천의 종류가 나타나게 된다. 이를 통해 파보지않고도 어느 간헐천인지 알아볼 수 있다.
물 관련 간헐천 중에서는 제일 많이 보게 될 간헐천으로 오염 지역에 하나, 정글 지역에 하나가 확정적으로 개방된 채로 나온다.
터빈을 돌리기에는 애매하게 낮은 110℃의 증기가 나오므로 식혀서 물로 쓰거나 단열 기체관을 통해서 증기가 필요한 곳에서 쓸 수도 있다.
위의 서늘한 증기 벤트와는 다르게 500℃의 굉장히 뜨거운 증기가 나온다. 바로 터빈을 돌릴 수 있는 온도지만 대신에 평균 분출량이 절반 정도로 줄어들었다.
터빈을 돌릴 경우 하단의 흡입구를 5개를 다 열어 둘 경우 터빈의 최대 발전량을 넘어서 버려지는 열이 많이 때문에 온도 센서와 기계식 에어록을 통해서 흡입구를 조절한다.
증기 벤트 하나로 2~3개의 터빈을 돌릴 수 있다.
95℃의 뜨거운 물이 나오는 분출구로 분출량이 많아 물이 많이 모이지만 물의 높은 비열 때문에 주변이 불바다가 되기 쉽다.
조수 지역에 한개가 확정적으로 개방된 채로 나온다.
95℃의 뜨거운 소금물이 나오는 분출구로 물 공급면으로만 봐서는 물 간헐천의 하위 호환이지만 소금물이나 소금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에 차별점이 있다.
적절하게 써먹기 좋은 30℃의 오염된 물이 나오는 분출구로 식중독 균이 섞여 있지만 농업용수로 공급하면 문제 없다.
-10℃의 차가운 오염된 물이 나오는 분출구로 물 분출구 중에서는 상급으로 취급 받는다.
초반부터 개방해서 사용하는데에도 별다른 추가 시설이 거의 필요 없고 초중반 기지 냉각에도 크게 도움이 되기 때문.
그 대가인지 다른 물 분출구보다 분출량이 절반 정도로 적은 편.
후반으로 가면 고온의 오염된 물이 필요해지고 냉각은 터빈-열액조 시설로 가능해지기 때문에 위상이 떨어진다.
무작위 간헐천 꽝1. 이산화탄소는 온갖 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다.
저온으로 나오는 것을 이용하려고 해도 이산화탄소는 비열이 매우 낮고 분출량도 적어서 냉각용도로도 꽝.
무작위 간헐천 꽝2. 아무리 500℃로 나온다지만 물과 이산화탄소는 비열차이가 약 5배다. 터빈 하나 돌리기도 힘들다.
비열이 높은 수소가 고온으로 나오기 때문에 터빈을 돌릴 수는 있으나 분출량이 적어 전력 발전면에서는 애매하다. 고온의 수소를 식힌다는 느낌으로 터빈을 돌리자.
수소는 수소 발전기를 돌릴 수도 있고, 최종 단계 로켓인 수소 로켓의 연료로 사용되니 취향껏 사용하자.
비열이 낮은 산소라 터빈을 돌리기에는 애매하다. 적당히 식혀서 점토나 는지렁이를 수급하는데 사용하자.
바로 위와 활용은 동일하다. 차이점은 적절한 온도로 식은 채로 나오는 것.
정글 지역에서 50% 확률로 하나가 개방된 채로 등장한다.[정글]
애매한 활용도를 가진 염소가 나오기 때문에 평이 크게 갈린다.
오염 지역에서 확정으로 하나가, 정글 지역에서는 50% 확률로 하나가 개방된 채로 등장한다.[정글]
천연가스 발전기, 가스레인지등 활용할 곳은 많기 때문에 많이 나올수록 편해지는 간헐천 중 하나.
고온의 마그마가 대량으로 나오는 화산으로 열기를 이용해서 터빈으로 전력을 생산하는게 주 목적. 화성암 수급은 덤이다.
마그마 분출량이 화산의 절반 = 전력 산출량도 절반으로 약간 애매한 위치에 있다.
금속 화산 중에서는 가장 애매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구리의 활용도가 금과 철보다 떨어지기 때문.
그래도 지속적으로 제련된 금속이 수급되는 가치는 있다.
철은 강철 제작에 지속적으로 소모되므로 지속적인 철 수급이 가능한 철 화산은 가치가 높다.
또한 높은 온도와 비열로 터빈을 통해 전력 수급에도 도움이 된다.
산소석, 초냉각제 제작과 기지장식 상태 개선 등 소모할 곳이 많은 금 화산도 역시 가치가 높다. 오염 지역이 없어 금 아말감이 없는 행성일수록 가치는 더욱 올라간다.
물질의 온도는 높아도 금의 비열이 낮기 때문에 전력 산출 기대치는 떨어진다.
무작위 간헐천 꽝3. 애매한 온도와 양의 원유가 찔끔찔끔 분출되어 나온다. 개방하지 말고 원유가 필요하면 원유매장지에 유정을 건설해서 뽑아내자.
[1] 다른 소행성들은 모두 8종류의 바이옴만 지니고 있다.[2] Geoactive+Geodormant 조합과 Metal Rich+Metal Poor 조합은 불가능하며 지형 중간중간에 흑요석 덩어리가 출현하는 Boulders 특성 4가지의 경우 Large+Small 조합과 Medium+Mixed 조합만 가능하고 이 두 조합 의외의 조합은 허용되지 않는다.[3] 얼어붙은 핵 특성으로 지형 가장 하단부에 있는 얼음 지역은 -100℃가량[4] 가끔 오염된 산소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오염된 얼음이 녹아 오염된 물이 되면서 오염된 산소를 배출한 것이다.[5] 다만 바로 밑에 마그마가 있을 경우에는 120℃를 훌쩍 넘을수도, 얼음 지형이 있을 경우에는 더 낮기도 하다.[6] 보기에는 몇 칸 안돼 보이지만 마우스 오버하는 순간 칸당 몇㎏ 심한 경우는 천㎏ 이상까지도 나온니 뚫는 순간 폭발적으로 사워가스가 위쪽으로 퍼지게 된다. 웬만하면 파지 않는 것을 추천.[7] 다만 퇴적물 지역에 비해 주변 공간에 산소석과 산소가 양이 많은 편이다.[8] 숲 지역이 시작 바이옴인 행성들은 전부 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라는 것도 이것 때문이다.[9] 프린팅 포드 근처에 단 한마리만 존재한다.[스포일러] 유적에서 입수하는 스토리들을 종합해보면 지구가 어떤 재난으로 폭파되었고 소행성들은 파괴된 지구의 파편이기 때문에 인공물들이 묻혀있는 것으로 보인다.[10] 주변환경이 기본온도일 경우 서늘한 증기벤트는 평균 약 60℃ ~ 70℃의 물이 모이며, 물이나 소금물 분출구는 평균 90℃의 물이나 소금물이 모이게된다. 즉 은근히 물이나 소금물 분출구가 관리, 사용이 좀 더 까다롭다. 일반 증기벤트는 최소 200℃ 이상의 수증기가, 수소벤트에서는 평균 100℃ ~ 300℃의 수소가 모인다. 미리 주위 단열부터 하고나서 사용하는것이 좋으며 펌프를 만들때도 재료에 신경을 써야 한다.[11] 식중독균 함유[12] 는지렁이폐병균 함유[정글] A B 염소 or 천연가스로 둘 중 하나만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