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VHF Omni-directional Range / 초단파 전방향 무선 표지'''
항공 분야에서 사용되는 무선 항법 장비이다. 108.0 MHz ~ 117.95 MHz 사이의 
초단파(VHF)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다. 
장파(LF) 또는 
중파(MF)를 사용하는 
NDB와는 다르게 VOR의 신호는 직진성이 크며, 공중파의 성격을 갖고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VOR의 신호는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장점
- 정확도가 ±1°정도로 비교적 높다.
 - 번개나 강수로 인한 신호 오차가 생기지 않는다.
 
 - 단점
- 신호 수신을 위해서는 VOR의 가시거리(Line-of-Sight) 내에 있어야 한다.[1]
  지형이나 장애물로 인해 신호가 차단될 수 있다.
 - 통달거리가 약 200NM(370km) 정도로 비교적 짧다.
 
 
높은 정확도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항로 간의 분기점이 되기도 하며, 비정밀 계기 접근시에도 이용한다. 때때로 거리 측정 장비(DME ;  Distance Measuring Equipment)와 결합된 '''VOR/DME'''가 건설되기도 하는데 이는 해당 VOR로부터의 방위뿐만 아니라 거리 정보까지 알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군용 항법장치인 TACAN
[2]  군용 항공기를 대상으로 방위와 거리 정보를 알려주는 시설이다. 민간 항공기는 방위 정보를 제외한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과 결합되어 '''VORTAC'''이라는 형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VOR 설치 현황은 다음과 같다.
[3]- 【 전체 목록 보기 】
 '''시설명''' 
  | '''ID''' 
  | '''주파수''' 
  | '''위치''' 
  | 
안양 VORTAC 
  | SEL 
  | 115.5 MHz 
  | 북위 37도 24분 49초 동경 126도 55분 42초 
  | 
부산 VORTAC 
  | PSN 
  | 114.0 MHz 
  | 북위 35도 07분 21초 동경 128도 59분 58초 
  | 
달성 VORTAC 
  | TGU 
  | 112.2 MHz 
  | 북위 35도 48분 35초 동경 128도 35분 27초 
  | 
강원 VORTAC 
  | KAE 
  | 115.6 MHz 
  | 북위 37도 42분 03초 동경 128도 45분 14초 
  | 
군산 VORTAC 
  | KUZ 
  | 112.8 MHz 
  | 북위 35도 54분 37초 동경 126도 36분 41초 
  | 
광주 VOR/DME 
  | KWA 
  | 114.4 MHz 
  | 북위 35도 07분 34초 동경 126도 48분 44초 
  | 
제주 VORTAC 
  | CJU 
  | 116.1 MHz 
  | 북위 33도 23분 05초 동경 126도 37분 27초 
  | 
포항 VORTAC 
  | KPO 
  | 112.5 MHz 
  | 북위 35도 58분 38초 동경 129도 28분 28초 
  | 
송탄 VORTAC 
  | SOT 
  | 116.9 MHz 
  | 북위 37도 05분 40초 동경 127도 01분 54초 
  | 
예천 VOR/DME 
  | CUN 
  | 114.8 MHz 
  | 북위 36도 37분 55초 동경 128도 19분 31초 
  | 
예천 VOR/DME 
  | CUN 
  | 114.8 MHz 
  | 북위 36도 37분 55초 동경 128도 19분 31초 
  | }}} 항공기는 다음과 같은 원리를 이용해 VOR로부터의 방위를 알 수 있다. > 모든 방향에서 볼 수 있으며 초당 1번씩 깜빡이는 '''녹색 불빛'''과, 이에 동조해서 0도부터 초당 1도씩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색 불빛'''이 있다고 가정하자. '''녹색 불빛'''이 깜빡인 후 '''적색 불빛'''을 볼 때 까지 시간이 만약 90/360초가 소요되었다면 항공기는 VOR의 정동쪽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 VOR 수신기
  |  |  | 
항공기에 탑재되어 VOR의 전파를 수신하는 장비이다. VOR1의 그림과 같이 
계기착륙장치 수신기와 결합된 형태
[4]  계기착륙장치의 구성요소인 로컬라이저(Localizer) 또한 초단파(VHF)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결합이 가능하다.
 또는, VOR2의 그림과 같이 VOR 수신 기능만 제공하는 형태로 크게 나뉘어진다.
중앙의 세로 바늘은 '''경로 편향 지시기'''(CDI ; Course Deviation Indicator)라고 하며, 설정된 경로에서 얼마나 벗어나있는지를 알려준다.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찍힌 점들은 각 점당 2도의 편향을 나타낸다.
[5]  ILS를 수신할 경우에는 각 점당 0.5도의 편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VOR2 그림의 경우, 비행기는 설정된 경로로부터 약 4도 가량 벗어나 있다. '''To / From 표시기'''는 설정된 경로가 해당 VOR으로 향하는지, 또는 해당 VOR로부터 멀어지는지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