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gante/직업
1. 개요
Vagante의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들을 설명하는 문서. Vagante에서 플레이 가능한 직업은 총 5개로, 기사(Knight), 도적(Rogue), 마법사(Mage), 야만인(Wildling), 사냥꾼(Ranger)이 그것이다. 모든 직업은 각자 스킬로 특화된 근접 무기가 하나씩 존재한다.
2. 기사(Knight)
기사는 근접무기를 이용한 근접딜링과 방어를 통한 생존력 보장에 특화된 밸런스형 근접 캐릭터이다. 검 무기에 특화시키는 검술빌드나 공격을 명중시킬 때마다 추가 피해를 줄 수 있는 신성 빌드로 데미지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방어빌드와 신성빌드의 버프와 보조능력으로 유지능력과 생존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높은 체력과 힘을 가지고 있으며 검술 특성을 올린다면 시작하자마자 공격력을 두배로 올릴 수 있는 사기특성인 슬라이딩으로 초반부터 잡몹들과 힘겨루기 할 것 없이 한두방에 쓰러트릴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
다만 장검의 딜레이가 굉장히 크기때문에 익숙하지 않다면 조작하는데에 애로사항이 피기 쉽다. 공격중에 점프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면 매우 유용하다.
2.1. 특성
검술특성은 장검류에만 적용되는데 이건 아이템이 랜덤으로 나오는 로그라이크 특성상 다른 쓸만한 무기가 나와도 효과를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나, 스킬을 찍으면 다른무기가 필요없을정도로 장검의 위력이 강력해지기 때문에 감내할만한점이긴하다.
Level 1은 공격중 아무때나 좌우방향키를누른다면 한번 슬라이딩 할 수 있는 특성이다.
좌우방향키를 누르고있는 상태로(ex:이동중) 공격키를 누른다면 바로 슬라이딩 해버려서 추가 대미지를 넣을 수 없으니 주의
명중하기 0.3초전에 슬라이딩하더라도 추가대미지가 들어갈정도로 판정이 후하므로 타이밍을 노리는건 어렵지 않다.
점프나 대시등의 다른행동으로 슬라이딩을 캔슬해도 추가 대미지 효과는 유지된다.
장검만 들었다면 대미지를 쿨타임도없이 매 평타마다 그냥 두배로 올려버리는 엄청난 특성으로
기사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반드시 활용하는것을 권한다
Level 2는 범위가 넓지만 일반 찌르기보다 데미지가 약한 휘두르기 공격과 공중에서 대기시간 없이 바로 하단을 공격하는 찍기 공격을 할 수 있게 된다. 찍기 공격을 명중 시켰을 경우 다시 살짝 위로 튀어오르기 때문에 반복해서 찍기로 공격할 수 있다. 찍기 공격 중 점프키를 누르고 있을 경우 더 높이 튀어오를 수 있다.
찍기공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몬스터들을 안전하게 처치할 수 있는 탓인지 공중에서 계속 찍기 공격으로 공격하면 공격할수록 대미지가 저하되어 1까지 떨어지며 바닥에 착지하면 다시 공격력이 돌아온다. 찍기 공격으로 착지시에는 낙하 데미지를 받지 않으나 뛰어내리는게 가능한 발판에선 찍기 공격이 아예 관통되어 튕기지 않아 낙하 데미질 받으므로 주의. 패치후 사라졌다.
Level 3는 공격키를 꾹 누르면 기를 모으기 시작하는데, 완전히 모여지면 50%의 추가공격력을 지닌 공격을 넣을 수 있게 된다. 보통 니가와 상황에서 기다리면서 차지하다가 슬라이딩과 함께 때려박는 식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모으는 시간이 상당히 긴데다 모으기 도중 좌우 전환이 불가능하고, 정작 모으더라도 DPS면에선 손해만 보기 때문에 쓸 일이 적다. 슬라이딩과 함께 적용되면 3배, 여기에 대쉬까지 들어가면 6배라는 정신나간 계수의 대미지를 넣을 수 있다. 차지중엔 미리 슬라이딩을해놔도 대미지 추가효과가 계속 유지된다.
Level 4를 찍게 될 경우 장검류의 공격속도가 비약적으로 상승하여 슬라이딩까지 적용한다면 dps가 엄청나게 올라간다. 2티어 소드만 들어도 프로스트 노바나 아이스볼로 얼려두고 패기 시작하면 몹들이 녹아나간다.
Level 5는 체공중 위쪽 방향키를 누르며 공격시 360도로 회전하는 공격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원래는 피해량이 극도로 미미했지만 패치 이후로는 딜 지분을 가장 많이 차지한다. Level 4의 공속이 너프되면서 대시공격도 같이 너프되었기 때문에 요즘은 회전베기가 주 딜링이된다.
Level 1은 낙하 대미지를 없애주는 특성이다. 플레이어의 전투능력이 강해지는 특성은 아니지만 급박한 상황이 자주 나오는 바간치에서 낙하 대미지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므로 무시할 수 없는 특성이다.
Level 2는 기본 공격이 명중할때마다 충전되어 다음 공격으로 긴 사거리의 검기를 발사할 수 있는 특성이다. 이 검기는 기본데미지가있으며 주무기의 데미지를 약간 따라간다 주무기의 종류에 따라 모습도 변한다. 근접공격을 명중시킨다면 계속 기본공격+검기딜을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딜량이 굉장히 짭잘하다. 기본적으로 높아진 대미지로인해 공격속도의 효율이 매우 높아지는데 공격속도에 비해 기본데미지가 그다지 높지않은 검 계통이나 둔기계열보다 적당히 공속이 빠른 맨손이 DPS를 더 뽑아낼 수 있을 정도이다.
검기는 지능1당 대미지가0.5 만큼 증가한다.
Level 4는 캐릭터가 사망하더라도 0의 체력으로 한번 더 버틸 수 있게 해주는 특성인데 0보다높으면 계속 발동할 듯한 표기랑 달리
매 층마다 충전되는 버프 형식으로 한 스테이지 당 한번 밖에 발동하지 않는다
Level 1은 스태미나를 사용해 모든 물리공격을 대미지 없이 방어할 수 있으며 근접공격을 흡수할 경우엔 경직도 유발한다.
자세를 유지하고있을경우 스태미나가 서서히 깎이며 공격을 흡수할때는 흡수한 피해에 비례해서 스태미나가 깎인다.
스태미나 이상의 피해가 들어올 경우 막아내지 못하고 맞게 된다.
초중후반 대부분의 상황에서 물리공격을 하는적들이 나오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생존기이다.
Level 3은 피격시 해제되며 시간이흐르면서 다시 충전되는 보호막을 생성한다
보호막이 최대치까지 충전되었을경우 마법 공격을 포함한 대부분의 받는 피해를 50% 감소시킨다. 감소시키고 나서 방어력을 계산하기에 방어력이 어느정도 있다면 어지간한 공격으로는 데미지가 1밖에 안들어온다.
Level 4는 '''근접 물리''' 공격만 반사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처럼 0.3초정도로 꽤나 넉넉한 판정을 가지고 있다. 대미지를 그대로 돌려주기 때문에 상대의 공격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효과가 커진다. 리프트의 보스 중 하나인 섀도우 나이트는 근접 공격을 위주로 하며 모션이 전체적으로 큰 편이기 때문에 잘 써주면 이것만으로도 큰 피해를 입혀주는게 가능하다.
2.2. 추천 빌드
'''하기한 목록은 초심자 참고용이며 배경, 아이템, 특성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빌드를 시험해보길 추천한다.'''
장검 빌드 : Sword(5) → Holy(4) or Defense(5) or Str(5) 순서로 모든 특성을 마스터.
나이트를 상징하는 강력한 근접공격 특성으로 Sword 특성의 빠른 공속을 바탕으로 딜적인 측면은 Holy Lv.2 천상의 무기(Devine Weapon)를 찍는 카타콤 진입 시점에 완성된다.
Dash마법과 궁합이 특히 좋은 특성으로 슬라이딩+대쉬로 매평타마다 400%의 대미지를 연속적으로 줄 수 있다.
힘을 올릴경우 신성특성과 방어특성의 유틸리티를 포기해야하지만 힘 5레벨의 피해량증가가 매우 강력하며 힘으로 증가하는 피해는 Dash의 추가피해가 적용된다는 장점이있다.
신성 빌드 : 초반부에 좋은 옵션의 주먹 무기혹은 spacer rod를 획득할 시 고려할 만한 빌드로 Holy(4)→ Defense(5) 순서로 특성을 마스터.
해당 빌드 딜링 핵심은 Holy Lv.2 천상의 무기(Devine Weapon)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근접 공격 대미지 + 성광 대미지'로
Holy 와 Defense 특성의 유틸리티를 초중반에 가져갈 수 있다는 점이 플레이에 매우 큰 안정감을 더해준다.
3. 도적(Rogue)
로그는 구르기와 벽타기등의 기동능력과 은신 능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공격속도를 가진 단검과 보조무기사용에 특화되어있다.
3.1. 특성
구르는 동안에는 대부분의 공격에 무적이며 적의 충돌 판정을 무시한다. 일부 마법공격, 폐허의 빙결, 텔레포트 함정이나 지하 묘지의 나이프 함정은 구르기로 회피하는게 불가능하다.
Level 2는 기동력이 대폭 증가하는 스킬로, 어지간한 지형은 이 스킬로 건너가는게 가능하여 초반 구역인 동굴부터 숲 사원까지 효용성이 크다. 벽타기는 특히 탑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는데, 벽을 타고 이동하는게 가능해져서 다른 캐릭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클리어가 가능해진다. 여기에 Wall Phasing 옵션의 장갑이 있다면 아예 외벽쪽으로 통과한 후 외벽을 타고 이동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
활시위를 당기고 있을 때 반대쪽 방향으로 방향키를 두번 탭하면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관통과 튕기기 특성을 같이 배우게될경우 한 대상에게 여러번 맞을 수 있게 되어 대미지가 크게 오르게되는데
4레벨 이후로는 활 공격 한번당 활 공격력+원거리 공격력의 390%라는 엄청난 대미지 계수를 보여줄 수 있다.
초반엔 대미지가 약하지만 레벨3부터 한대상을 여러번 맟출수있게되어 공격력이 배로 뛰게되어 크게 강력해진다.
두번째 특성부터 윗키를누른상태로 공격키를눌러 절반의 공격력으로 단검을 던져서 공격할 수 있다.
던진 단검은 두명의 적을 맞추거나, 지형에 닿거나, 최대 사거리까지 날아간 뒤 되돌아오며 레벨 2일 때는 나아갈 때만 한번, 레벨3일 때는 돌아올 때를 포함하여 총 두번의 대미지를 입힌다.
단검던지기의 정확한 피해량은 근접공격의 절반+원거리 공격력이다
반지에 붙는 고정 대미지증가옵션이 단검던지기의 던질때와 돌아올때 모두 100%적용되므로 궁합이 좋다
이미 플레이어를 인지하고있는 적에게는 은신을 하더라도 일정시간이 추가로 지나기전까진 효과가 없으며 은신은 물 속에 들어가거나 충돌 판정이 있는 적, 상인과 닿으면 해제된다. 일부 적과 보스는 은신을 무시한다. 은신 상태에선 상인에게 말을 걸 수 없다.
은신 상태에서 구르기를 하더라도 은신이 풀리지 않으며, 이때 충돌판정을 무시하기 때문에 은신을 유지한채로 몬스터와 상인을 뜷고 지나갈 수 있다. 상인이 문을 열고있을때 바로 은신 상태로 테이블까지 접근한 다음에 굴러서 지나가면 들키지 않고 상점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Level 1은 은신하는 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서 활용하기 까다롭다.
Level 3부터 오리걸음으로 은신 할 수 있으며 은신중의 공격은 반드시 치명타로 들어가게 된다. 큰 한방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는 도끼나 활,부메랑공격과 궁합이좋다.
대시와 같이이용해 크리티컬+대시 추가대미지로 3레벨일경우 300% 4레벨일경우엔 400% 까지의 대미지 증폭을 노릴 수 있다.
Level 4는 은신할경우 주변에 검은 연기를 발생시키는데 연기에 닿은적들은 어그로가 풀려서 플레이어를 인식하지 못하게된다.
연막범위가 너무 좁아서 전투상황에선 노리고쓰기 힘든편이지만 얼려놓고 쓰거나 거리조절을 잘하면서 사용하면 코앞에서 계속 몬스터를 암습할 수 있다.
3.2. 추천 빌드
'''하기한 목록은 초심자 참고용이며 배경, 아이템, 특성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빌드를 시험해보길 추천한다.'''
궁술 빌드 1 : Archery(5) → Dex(5) or Shadow(4) or Acrobat(4) 순서로 특성을 마스터.
궁술 레벨 3~5의 튕김횟수 증가와 관통이 딜링의 핵심이다 관통으로 인해 높은 계수를 가지고있어서 대미지 성장성이 높은 특성이다
궁술 빌드 2 : Acrobat(2) → Archery(5) → Shadow(4)
구르기 2레벨을 먼저 찍는 빌드로서 상당히 유연하다. 또한 구르기 2렙을 찍게 되면 탐색이 쉬워지고 게임의 안정성이 올라간다.
부족할 수 있는 데미지는 은신의 크리티컬을 이용하고, 나머지는 본인이 원하는대로 찍자.
단검 빌드 : Dagger(1~3) → Str(5) or Dex(5) or Shadow(4) or Acrobat(4)
근접 공격 특성은 나이트와 와일드링이 압도적인 성능을가지고 있는데 로그의 단검특성은 성능이 애매해서 잘 채용되지 않는편이다
기본 단검공격은 힘으로 피해를 계산하지만 단검 던지기는 민첩으로 피해를 계산하므로 어떻게 플레이할지 생각해서 스탯을 배분하는것이좋다
검(은신) 빌드 : Acrobat(2) → Shadow(4) → Str(5)
구르기 2렙을 찍다가 대쉬가 나오거나 뼈검이 나오면 주로 타는 빌드. 혹은 예능으로 은신도적을 하다가 쓰게된다.
초중반에는 구르기 2렙을 통해 버티고, 중후반 딜은 은신 + 대시 공격을 사용한다.
아이템 세팅에 따라서는 가장 강력한 빌드가 되기도 한다.
4. 마법사(Mage)
마법사는 다양한 목적을가진 각각의 마법들을 시전하는것에 특화되어있으며 포션을 조합해 다른포션을 만들거나 무기에 마법을 부여할 수 있다.
사거리가 길고 대미지도 강한 일렉랜스와 훌륭한 광역제어기인 프로스트 노바를 평타처럼 쓰며 시작하기 때문에 검술 기사와 같이 초반에 매우 강한 직업이다. 하지만 체력이 낮아 생존력이 떨어지는 편이며 마법은 지력이나 마법서를 이용해 강화할 수 밖에 없어 계수가 특별한 일부 강력한 마법을 제외하면 타 직업보다 대미지 성장능력이 떨어진다.
2~4번째 메이지는 각각 파이널 판타지의 흑마도사, 백마도사, 적마도사를 오마쥬한 것으로 보인다.
4.1. 특성
3단계와 4단계 특성은 멀티플레이에서 다른 아군에겐 적용되지 않는다.
주문시전을 주력공격으로 활용하는 플레이를 보조해주는 특성이다.
타 주력특성과 비교했을때 이 특성은 직접적으로 전투력을 크게 향상시켜주는 단계가 없으며 보조효과 추가 특성뿐이기때문에 이 특성만 찍는다고해서 캐릭터가 눈에띄게 강해지진 않는다.
Level 1의 리커버리는 스펠의 쿨타임과 시전딜레이를 25%감소시켜주는 특성으로 이 특성을 찍고 캐릭터의 민첩이 일정수준을 넘어가게되면 일렉랜스를 엄청난속도로 난사할 수 있게된다.
level 2는 마법사의 치명타 확률에따라 마법에도 200%데미지의 치명타가 발생하게하는 특성이다.
마법은 대체로 충전하여 공격해 한번에 큰 대미지를 노리는 경우가 많아 이때 터지는 치명타는 매우 의미가 크다.
특히 고레벨 아이스볼이나 파이어볼같은 경우엔 한방에 몇백씩의 대미지도 기대할 수 있다.
Level 4의 스펠차지는 주문 시전중 점프나 이동 등의 다른 행동이 가능해진다. 허나 시전후딜레이중에는 점프를 할 수 없으니 주의
긴 충전시간을 가지고있고 포지셔닝이 중요한 쇼크웨이브, 파이어볼, 체인라이트닝등의 무거운 마법들과 특히 어울린다
일렉랜스를 활용할경우 딜레이없이 사거리안에서 치고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중후반의 높은 기동성을 가진적들도 카이팅 할 수 있다
인챈트는 마법을 자신에게 부여하여 주문에 따라 기본공격을 강화하는 속성효과나 기타 버프 효과를 얻는 것이다. 화염, 전기 ,냉기 속성의 마법으로 인챈트시 플레이어에게 속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부여된 속성은 지속적으로 파티클이 나타나기 때문에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파티클은 단순한 이펙트일 뿐 만이 아니라 실제로 속성 별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전기의 경우는 물 속에서 감전 데미지를 입고 불 속성과 전기 속성은 독가스와 닿을 경우 폭발하는 등의 다양한 반응이 일어난다. 특히 화염 속성을 인챈트 했다면 빙결된 몹을 다시 녹여버리기 때문에 인챈트를 안하느니만 못하는 상황이 펼쳐지기도 한다. 스펠에 의한 인챈트 효과는 하단 참조.
Level 3은 무기에 Burning, Freezing, Shocking 속성을 걸어줄 수 있다. 갯수 제한은 없어서 세개 다 걸어줄 수 있다. 기본적으로 Freezing, Shocking은 필수로 인챈트하고 Burning은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주의. 1의 공격력이라도 중요한 초반엔 Burning의 가치가 크고, 빠르게 녹이는게 힘들어서 빙결로 묶어두고 공격하는게 편해지는 중반부터는 가치가 매우 떨어지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빙결 자체가 의미가 없는 최종보스 전에서는 다시 Burning이 유효해지므로 이때는 Burning 인챈트를 하는게 좋다. 장비의 인챈트 효과나 스킬 자체의 속성 인챈트는 입힌 피해에 비례하여 위력이 상승하며, 스킬의 인챈트는 플레이어의 스킬 레벨에 따라 위력이 상승한다.
마법사의 로드와 특히 궁합이 좋은 특성인데 무기에 부여된 속성과 캐릭터에게 인챈트되어 있는 속성은 중첩되어 들어가기 때문에 인챈트 3레벨시 로드에 속성을 부여하고 발동 공격을 할 경우 2번의 속성효과가 들어가고 근접해서 기본 공격까지 맞출 경우엔 한번의 기본 공격에 속성 피해를 4번까지 발동할 수 있다. 로드의 발동공격은 지능에 비례하여 공격력이 오르는데 인챈트 데미지도 이에 영향을 받으므로 연속적으로 발동하는 효과로 엄청난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다.
부메랑을 든 상태로 매직 미사일을 인챈트 할 경우 반드시 돌아오는 인챈티드 부메랑으로 강화된다.
로드 발동 효과에도 인챈트가 적용되어 추가 피해가 상당하게 박히기 때문에 시너지가 엄청나다.
로드류는 기본 공격으로 적을 공격 시 사용량이 재충전되는데, 기본적으로 총합 4의 피해당 사용량이 1 회복된다. Level 1을 찍게 되면 3의 피해당 1 회복된다.
Level 3은 마법을 시전하여 피해를 입혀도 사용량이 충전되므로 사용량이 바닥났더라도, 프로스트 노바로 적을 긁어주면 팍 차오르게 된다.
Level 4는 로드를 착용한 상태로 무언가를 치기만 하면 로드가 자동으로 시전된다. 안 그래도 공속이 빠른 로드에 충전을 따로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DPS가 수직상승하게 되며, 컨트롤 역시 상당히 편해지게 된다.
4.2. 인챈트 목록
마법사로 인챈트 스킬트리를 탈 때, 주문에 따라 발동되는 효과들을 나열한 것. 효과는 입힌 위력에 따라가며 Intelligence 스텟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4.3. 추천 빌드
'''하기한 목록은 초심자 참고용이며 배경, 아이템, 특성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빌드를 시험해보길 추천한다.'''
인챈트 로드 빌드 : Enchant(3) → Rod(1) → Alchemy(1) → Rod(4) → Alchemy (4) → Dex(1) or Int(1) or Vit(1)
가장 대표적은 인챈트 로드 빌드다. 중간에 알케미 1레벨은 포션 확인을 위함(특히 재생포션)이다. 만약에 상점이나 감정 스크롤울 통해 재생 포션을 발견했다면 Rod 4렙 이후에 Alchemy를 찍어도 된다.
초반은 기본 스펠과 인챈트로 버티고
중반은 Rod특성과 시너지로 버티고
후반에는 Alchemy 4레벨을 통한 스펙 뻥튀기를 한다.
민첩 빌드 : Spellcaster(1) → Dex(5)(캐릭터의 실제 민첩이 9를 넘을때까지)
주문시전 1레벨의 쿨타임25%감소 효과를 얻고 캐릭터의 민첩이 9를 넘어가면 일렉랜스를 빠르게 난사할 수 있게되는점을 이용하는 빌드로
민첩9는 아이템이나 블러디등의효과로 추가로 민첩을 2이상 얻지않으면 특성만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수치지만
다른마법없이 기본 일렉랜스와 프로스트 노바만으로 게임을 간단히 클리어할 수 있을정도의 스펙이 나오게된다
빙결시간이 긴 아이스볼과 호궁합이며 민첩을 올리기 때문에 후반에 대시마법과 도끼가있다면 인챈트를 올려서 매끄럽게 최종보스전을 준비할 수 있다
스펠캐스터 빌드 : Spellcaster(4) → Alchemy (4) → Luck(5)
좀 덜 극단적인 민첩빌드이다.
스펠캐스터 4레벨을 통해 유연함을 늘리고, 빠른 Alchemy 4레벨을 통해 스펙 뻥튀기를 한다. 모자라는 Dex는 아이템으로 맞추면 된다. Dex는 많아봣자 9까지밖에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의외로 이 민첩 스펠캐스터빌드는 Int보다는 Luck이 중요하다. 어느정도 Int를 챙겻다면, Luck에 투자를 하자
5. 야만인(Wildling)
스탯이 기사와 도적의 상위호환으로 매우높게 잡혀있다.
진행 레벨 3 달성시 해금되는 직업.
와일드링은 사거리는 짧지만 적에게 파고 들면 순식간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연속 펀치 공격을 날릴 수 있으며 발동될 경우 전투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광폭화 능력과 다양한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는 동물 특성의 보조를 받을수있는 캐릭터이다. 기본적으로 스탯도 높은데 광폭화까지 받아가며 싸울 수 있기 때문에 엄청난 전투력으로 적들을 순식간에 찢어발길 수 있다. 하지만 시작할 때 고블린 하나 잡는데도 쩔쩔 매는 맨손으로 시작하며 적에게 계속 파고 들며 싸워 나가야하기 때문에 생존성과 유지능력이 떨어지는편이다.
5.1. 특성
사거리가 극단적으로 짧은대신 높은 대미지를 가진 근접딜링특성이다.
Level 1 브롤러의 콤보 패시브는 와일드링 피스트 대미지의 원천이다. 공격방향을 겹치지않게(예시:상단-중단-하단-중단-하단-상단)공격할 경우 데미지가 상승하게된다.
다만 한번이라도 공격 방향이 꼬이거나, 공격을 했는데 맞는 대상이 없다면 콤보가 초기화되므로 주의.
Level 2~4는 충전되는 스택을 소모해서 기본공격시 그만큼의 연속 공격을 시전할 수 있게끔 해주는 스킬이다. Level 4를 찍게 되면 기본공격 한번에 4방을 빠르게 때려넣기 때문에 순식간에 폭딜을 넣을 수 있게 된다.
광폭화는 일정시간동안 힘과 민첩, 그리고 스피드가 50%만큼 증가하지만 은신이 불가능해지며 보조무기, 주문시전, 스크롤 읽기 등의 보조 행동을 할 수 없게 되는 상태이상이다. 이 스킬을 찍을 경우 빠른 시간 내에 3회 이상의 공격을 적 혹은 오브젝트에게 적중시킬 시 확정적으로 광폭화에 걸리게 된다.
주문 시전이 불가능한것은 중후반에 큰 단점으로 다가오지만 50%의 받는대미지감소와 10%의 피흡으로 유지능력과 전투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애니멀 특성은 공격적인 다른 두 특성에 비해 유틸리티적인 성향을 띄고있다
Level 1 라이온즈 로어는 적뿐만아니라 주위의 모든 오브젝트를 밀어내는 힘을 가하는데 투사체를 튕겨내 반사할 수도 있으며 밀려난 것에 적이 부딪힐 경우 피해를 주기 때문에 뭉쳐있는 적들을 서로 부딪히게 만들어 대미지를 줄 수도 있다. 2초의 쿨타임이 있으며 캐릭터가 기절 상태일 때도 발동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가 대미지를 받을때마다 쿨타임이 초기화된다.
Level 2 베어 스톰프는 공중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시 수직으로 하강하여 착지시 지진을 일으켜 매우 넓은범위에 짧은 기절을 건다. 사용시 스택이 1개 쌓이는데 스택이 3개 쌓여 있는 경우 베어 스톰프를 사용할 수 없다. 이 스택은 1초 간 베어스톰프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0.33초마다 한개씩 사라진다. 수직 낙하로 짓밟는 데미지가 꽤 강하기 때문에 딜 넣는데도 쓸만 하다. 이걸로 착지시 낙하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멀티플레이시에는 몬스터의 충돌판정을 뜷고 들어가기때문에 저거넛이나 골렘을 짓밟다가 깔려죽을수도있으니 주의.
공중이라면 공격중은물론 기절해서 날아가는중에도 사용할 수 있다.
공격을 방해하지않아 평타와같이 짓밟아줄 수 있으며 대시로 캔슬하여 몸통박치기를 할 수 도있다.
짓밟기는 치명타가 발생하지 않으며 대미지는 2+근접공격력x2로 계수가높아 힘과 대미지를 올리면 크게 성장할 수 있다.
Level 3 울프 스프린트는 상호 작용키를 누른 상태로 움직이기 시작할 경우 대부분의 공격에 무적 상태가 되어 빠른 속도로 달려나간다. 방향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라면 5초까지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가 끝났을 때 유지한 시간에 비례해 탈진 상태가 되어 일정시간동안 스프린트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스프린트 중에는 몬스터의 충돌 판정을 무시하고 이동할 수 있다. 스프린트중에 애니멀스킬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손은 많이가지만 무적시간동안 안전하게 공격할 수도있다.
5.2. 추천 빌드
'''하기한 목록은 초심자 참고용이며 배경, 아이템, 특성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빌드를 시험해보길 추천한다.'''
피스트 빌드 : Fist(2~5) →Berserk(2~5)
와일드링의 정석적인 근접공격 빌드이다.
Fist특성을 5레벨까지 쭉 올리기도하나 맨손일경우엔 연격의 공격속도가 제대로 적용이 안되고
Berserk 특성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Fist를 2레벨까지만 올리고 Berserk로 넘어가기도한다.
애니멀 빌드 : Animal(2~4)→ Berserk(1~2) or Str(5)
타임어택에서 자주쓰이는 빌드로
높은 계수를 가진 Animal 2번째의 베어스톰프를 주력딜링기로 쓰는 빌드로 스톰프가 생긴후로는 어떤 상황에서도 빠르게 대미지를 낼 수 있는 특성이다
제대로 활용하려면 스톰프사용에 익숙해져야한다
6. 사냥꾼(Hound Master)
진행레벨 17 달성시 해금되는 클래스이다.
사냥꾼은 AI를가진 사냥개와 함께하며 사냥개와의 상호작용과 둔기를 이용한 전투에 특화되어있는 클래스이다.
높은 체력을가진 사냥개를 앞세워 적의 공격을 받아내는 타 직업은 불가능한 방식의 플레이가 가능하나,
가지고 있는 네개의 특성중 세개가 사냥개 강화인데 사냥개는 아무리 강화시키더라도 게임을 휘어잡기엔 부족한 스펙을 가지고 있으며
클럽 특성도 타직업의 주력 공격 특성에 비하면 성능이 매우 떨어지기에 중후반부로 갈수록 성능이 이도저도 아닌 애매한 캐릭터가 되기 쉬운편이다.
사냥개는 다른 투척가능한 오브젝트처럼 들고다니거나 던질 수 있으며 사냥개가 사망했을때는 한층에 한번씩만 사망한 사냥개위에서 아래( ↓ )키를 눌러 부활시킬 수 있다.
6.1. 특성
기본적으로 펫의 스펙은 던전 층수에 따라서 고정적으로 증가하며 캐릭터의 스탯,장비효과와 무관하다.
Level 1 물약 공유의 효과는 일시적으로 버프를 부여하는 재생,방어,활력,신속의 물약등이 해당하며 스탯 상승 물약등은 적용되지 않는다
Level 4 아이템 결속은 설명이 애매하게 되어있는데 의도된것인지 버그인것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1.02.9 버전에서 적용되는것은 무기에붙은 특수능력뿐으로 갑옷의 특수능력과 갑옷과 무기의 스탯등은 적용되지않고있다.
또한 무기의 특수능력중에서도 Fairy Magic과 Life Steal은 적용되지 않는다.
기습의 쿨타임은 기본공격과는 따로계산하기에 공격적으로 크게도움이되는 특성이다
연속적으로 도약공격에 치명타가 터진다면 순식간에 매우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던지기의 대미지는 현재 던전 층수에따라 고정적으로 증가하며 결속 특성의 커맨드 오라와 Hard Throw의 영향을 받는다.
둔기로 일으키는 충격파의 피해는 무기와 캐릭터의 근접대미지에 영향을 받으며 치명타가 발생하지 않는다
6.2. 추천 빌드
'''하기한 목록은 초심자 참고용이며 배경, 아이템, 특성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빌드를 시험해보길 추천한다.'''
펫 빌드 : Pet Offense(1~3) → Pet Bond(2~4)
본드를 먼저올리고 오펜스를 올리기도한다.
오펜스의 1레벨과 3레벨, 본드의 2레벨이 영향력이 큰편이다. 독성 무기를 얻었다면 본드4레벨도 매우 강력하다.
둔기 특성이 너무 약하기 때문에 대부분은 이쪽빌드를 사용한다.
펫은 캐릭터의 특성에 영향받지 않으므로 펫특성을 모두 올린후에는 보통 본드 3레벨과 시너지가있는 VIT스탯을 올리는걸 추천한다.
유틸리티 빌드 : Pet Utility(2~3) → Pet Bond(2)
Hard Throw 장갑을 빨리 획득했을경우 생각해볼만한 빌드이다
클럽 빌드 : Club(1~4) → Str(5)
둔기자체도 피해량이 월등한 무기는 아닌데 특성도 사용하기 불편하고 효과가 약해 채용되지 않는편인 빌드이다.
둔기의 충격파는 힘을 올리면 피해량이 증가한다
클럽 특성은 차지 공격+충격파의 누킹뿐 지속피해를 올려주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아예 클럽 특성을 포기하고 스탯만올려서 플레이하는 경우도 있다
7. 통합 특성
모든 캐릭터는 자신의 클래스 특성 외에 통합 특성을 찍을 수 있다.
힘 1당 근접 대미지, 0.5 원거리 대미지 0.25가 상승한다
또한 힘이 증가할수록 아이템의 투척거리가 늘어난다
민첩 1당 공격속도와 주문시전속도(주문의 쿨타임과 딜레이에 영향)가 1% 상승하며 원거리대미지 0.5 근거리대미지 0.25가 상승한다.
퀵스텝은 주문시전에도 적용된다
기교는 장비한무기의 최소 공격력이 크게 오르는것으로 데미지의 폭이넓은 단검,활,부메랑,도끼,둔기등과 궁합이좋다
활력은 물속이나 땅속에서 숨을 더 오랫동안 참을 수 있게 해주며 1당 최대 체력 10을 상승시킨다.
지능은 로드의 발동마법 대미지, 전사의 성광대미지,마법의 대미지, 충전횟수를 향상시켜준다
행운은 1당 크리티컬 확률과 회피율이 2%씩 오르며 카오스 원드나 The Deranged등 기타 이벤트나 보물상자의 루팅 등 여러 상황에 영향을 준다. 5레벨을 찍으면 마법 공격 역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게임 내에선 miss 대신에 resist로 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