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挨''' 밀칠 애
| '''훈'''
| 밀치다
|
'''음'''
| 애
|
'''부수'''
| 扌(재방변)
|
'''획수'''
| 10획
|
|
'''신자체'''
| -
|
'''일본어 음독'''
| アイ
|
'''일본어 훈독'''
| にぎる
|
|
'''간체자'''
| -
|
'''중국어 병음(표준어)'''
| āi
|
- [ 더보기 ]
| 2{{{#!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哀 | 3{{{#!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挨 →
| 4{{{#!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愛 |
|
[clearfix]
1. 개요
扌 + 矣의 구성, 즉 형성자이다.
한국 한자 분류로는 특급에조차 들어가지 않는 벽자이지만 일본에서는 '인사'를 뜻하는 '挨拶'(あいさつ)라는 용례가 있기 때문에
상용한자표에 실려있다. 일본에서도 음독만 실려있으며 훈독의 예는 표에 없다.
2. 용례
3. 일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