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1. 개요
1.1. 機能
1.2. 技能
1.3. 器能


1. 개요


어떤 일이나 목적 등을 달성하기 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능력. 사실 단일 단어로 풀어서 이렇지, 같은 발음을 사용하는 동음이의어이면서도 동음이의어같지 않은 다른 한자를 사용하다 보니 의미가 혼용되가 무척 쉬운 단어이다.
대부분의 케이스에서 '''機'''로 시작하는 기능은 특정한 기계, 단체, 신체장기 등이 전체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면서 발휘하는 능력을 일컫고, '''技'''로 시작하는 단어는 능력을 시도할 수 있는 재주가 있는지 여부 기준으로 말하는 단어로, 사람의 재주를 특정하여 말하는 경우가 많다. 세 번째 '''器'''는 능력을 발휘할 기량과 재능을 아울러 말하는 단어이다.

1.1. 機能



'틀 기'에 '능력 능'으로 이루어진 단어. 역할과 작용을 뜻한다. 한자 그대로 번역하면 특정 틀에서의 능력.
생체나 기계, 전자제품 등 시스템 내부에서 특정 물체나 주체가 어떤 현상을 발휘하는지를 설명할 때 대부분 '''機'''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예문으로는 국립국어원에서 발췌한 다음의 문장들이 있다.
  • >언어의 사회적 기능
언어가 사회라는 시스템, 구조 안에서 어떤 기능을 발휘하는지를 나타내는 문장. 언어가 가지는 자체적인 능력보다는 그것이 기여하는 역할이나 능력을 더 중시한다.
  • >소화 기능이 약하다.
생체활동에 필수적인 음식물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 약해, 생체활동에 대한 기여도가 낮다는 말이다. 여기서도 는 생체활동 전체적인 관점에서 소화활동이라는 '기능'이 생체활동을 유지하는 역할 중 하나인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해당 단어를 사용했다.
  • >기능을 축소하다.
여기서는 능력을 보유한 특정 단체, 집단, 직책의 보유 권한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축소했다는 의미로 사용했다. 즉 단체 전체의 입장으로 보았을 때 특정 직책이 하는 행동, 능력이 너무 방대하거나 강력하기 때문에 해당 능력을 발휘할 범위를 축소시킨다는 의미이다.
언어학적 관점에서 이런 부분들로 따져보았을 때 '''機'''를 한자어로 사용하는 '''기능'''은 주체와 객체가 명시적/암시적으로나마 분명히 존재하며, 대부분의 케이스에서 객체 안에 포함된 서술주체가 가진 능력이나 행동, 역할 따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지칭하는 단어로 볼 수 있다. 즉 객체 안에 주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서술주체가 객체를 운영/유지하는 데에 특정한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할 때 '''機'''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좋음과 나쁨에 따라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구분하고는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정보화 사회의 순기능과 역기능 등으로 쓸 수 있다.

1.2. 技能


'재주 기'에 '능력 능'으로 이루어진 단어.
기술상의 재능을 뜻한다. 한자어를 그대로 풀이하면, '''능력을 발휘할 재주'''라는 뜻.
첫 번째 문단의 '기능'이 역할론의 입장을 견지하여 객체가 가진 능력을 일컫는 단어라면, 재주 기(技)가 들어간 이 기능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발휘할 수 있는 재능, 역량 위주로 서술되는 측면이 강하다. 국립국어원 등재 상에서는 '기량'을 비교 가능한 단어로 등재하고 있다.
  • >기능을 닦다.
문장에서 사용된 기능은 사람이 발휘할 수 있는 특정한 기술, 능력, 역량을 더 키울 수 있도록 갈고 닦아야 한다는 뜻이다. 위 와는 달리 주체가 객체 전체 중 일부로서 발휘하는 개념으로 쓰이지 않았다.
  • >천연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뛰어난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많이 확보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이 문장에도 역시 특정한 기술, 능력, 역량을 가진 사람들을 '기능을 가진 사람들'이라 지칭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많이 확보하는 것이 곧 천연자원이 없는 나라가 살아남는 길임을 설명하고 있다.
이상으로 보았을 때 '''技'''를 사용하는 '기능'은 서술주체와 객체가 따로 암시적으로 존재하는 '''機'''를 사용하는 '기능'과 달리, 서술주체가 가진 본연의 기량이나 능력, 기술에 더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 기계는 기능이 좋다.'고 하거나 '그 사람은 좋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라고 할 때는 '''技'''를 사용하는 것이 정확하다.

1.3. 器能


기량과 재능.
이 한자 단어를 그대로 풀어쓰는 예시 자체가 없다. '그릇 기'는 그릇, 도구라는 단어 외에도 중요성, 재능 등을 의미하는 다의적인 차원의 한자어이기 때문에 '能'과 합쳐졌을 때 그 의미가 다의어가 되거나 중복된 의미를 지니게 된다. 쉽게 말해서 중국, 일본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단어.
때문에 국립국어원에서도 등재된 예문이 없으며, 예문이 없기 때문에 사용처를 파악하기도 어렵다. 다만 상술한 機, 技 내용에 혼용하는 케이스가 많으며 器能이라 쓰고 機能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