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물

 


1. 개요
2. 본래 뜻
3. 후대의 왜곡된 의미


1. 개요


多勿
고구려어로 '옛 땅을 회복함' 혹은 '원래의 상태로 회복함' 이라는 뜻으로, 이후 각종 민족 종교에서 이 용어를 차용하였으며 특히 '''환빠'''들이 매우 심하게 곡해하는 용어이기도 하다.

2. 본래 뜻


다물이라는 용어가 사서에서 등장하는 것은 삼국사기가 최초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동명성왕편에서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온다.다른 기록은 찾기 힘들다.

원문: 二年, 夏六月, 松讓以國来降, 以其地為多勿都, 封松讓為主. 麗語謂復舊土為'''多勿''', 故以名焉.

2년) 여름 6월에 송양이 나라를 들어 항복해오니 그 땅을 다물도(多勿都)로 삼고 송양을 봉하여 임금을 삼았다. '''고구려 말에 옛 땅을 회복하는 것을 다물이라 한 까닭'''에 그렇게 지칭한 것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제일권

여기서 옛 땅을 회복함이란 말은 동명성왕의 입장이 아니라 송양의 입장에서 해석함이 옳다는게 중론이다. 당시의 정황을 보면, 송양이 자신의 나라를 바쳤으나 다시 그 땅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이는 송양이 옛 땅을 되찾은 것과 같다는 의미로 보는 것이 동명성왕이 과거에 갖고 있던 땅을 찾는다는 의미로 보기가 힘들다. 復 이라는 한자의 뜻에는 회복하다는 뜻도 있고, 돌려 보내다 라는 뜻도 있다. 이런 정황을 살펴 보면 고구려의 왕 입장에서 송양에게 송양의 땅을 되물려 준 것이다. 당시 고구려의 언어 음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현대 한국어의 '되물려주다' 와 '다물' 이라는 음의 유사성을 생각해 볼 수는 있다. 해당 내용을 담은 주석

3. 후대의 왜곡된 의미


구한말 이후 등장한 대종교, 증산도 등 민족종교 단체에선 이 다물의 의미를 더욱 확장해서 한민족의 근본 정신, 일종의 민족 혼과 같은 거창한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실제 다물의 의미와는 크게 동떨어진 것.
게다가 환빠들은 이를 더더욱 왜곡하여서 사용하고 있다. 환빠의 주요 특성인 확장주의, 기원주의 등과 이 다물의 본 뜻이 겹쳐서 마치 '한민족의 옛날 위대한 영토를 회복해야 한다'라는 주장으로 이용하는 것.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