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 윤리학
'''Virtue Ethics'''
규범 윤리학의 한 학파.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유래하였으며, 현대에에 주목할만한 움직이 있다면 최근 반짝했던[1] 매킨타이어를 필두로 하는 부활 시도가 있다. 덕윤리에 관한 논의는 1950년대 비트겐슈타인의 제자이자 영국의 철학자 앤스콤이 쓴 "근대 도덕철학(Modern Moral Philosophy)"라는 논문을 기점으로 활발해졌다. 그는 이 논문에서 두 가지를 주장한다.
(1) 법칙에 의거해서 행위의 옳고 그름을 가리는 경향은 기독교적 율법주의가 윤리학의 논의에 스며든 결과이다. 그런데 기독교에서 율법의 절대성을 신이 보장하는 것과 달리, 세속에서는 어떤 존재도 그 법칙이 절대적이라는 것을 보장해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율법적인 윤리학을 그만두고 다른 방향을 찾아야 한다.
(2) 어떤 사람을 평가할 때 우리는 그 사람이 한 개별적인 행위만큼이나 그 사람의 인격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또 그렇게 해야만 한다. 그러나 근대 윤리학은 개별적 행위에 대한 평가에 지나치게 무게를 둔 나머지 행위자의 인격을 간과했다.
앤스콤은 이런 두 가지 "근대윤리학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 근대 이전의 윤리학,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를 연구해야 한다는 점을 암시한다. 즉 행위를 중심으로 보기 보다는 인격을 중심으로 보는 일상적인 의미와 현명함을 요구하는 덕윤리가 중요하다는 것인데, 이 주장은 윤리학적 논의의 주제들을 넓히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특히 이후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에 관한 연구 및 재해석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이런 경향을 이른바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Neo-Aristotelianism)라고 부르며, 그 대표자가 매킨타이어다.
규범 윤리학의 한 학파.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유래하였으며, 현대에에 주목할만한 움직이 있다면 최근 반짝했던[1] 매킨타이어를 필두로 하는 부활 시도가 있다. 덕윤리에 관한 논의는 1950년대 비트겐슈타인의 제자이자 영국의 철학자 앤스콤이 쓴 "근대 도덕철학(Modern Moral Philosophy)"라는 논문을 기점으로 활발해졌다. 그는 이 논문에서 두 가지를 주장한다.
(1) 법칙에 의거해서 행위의 옳고 그름을 가리는 경향은 기독교적 율법주의가 윤리학의 논의에 스며든 결과이다. 그런데 기독교에서 율법의 절대성을 신이 보장하는 것과 달리, 세속에서는 어떤 존재도 그 법칙이 절대적이라는 것을 보장해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율법적인 윤리학을 그만두고 다른 방향을 찾아야 한다.
(2) 어떤 사람을 평가할 때 우리는 그 사람이 한 개별적인 행위만큼이나 그 사람의 인격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또 그렇게 해야만 한다. 그러나 근대 윤리학은 개별적 행위에 대한 평가에 지나치게 무게를 둔 나머지 행위자의 인격을 간과했다.
앤스콤은 이런 두 가지 "근대윤리학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 근대 이전의 윤리학,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를 연구해야 한다는 점을 암시한다. 즉 행위를 중심으로 보기 보다는 인격을 중심으로 보는 일상적인 의미와 현명함을 요구하는 덕윤리가 중요하다는 것인데, 이 주장은 윤리학적 논의의 주제들을 넓히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특히 이후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에 관한 연구 및 재해석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이런 경향을 이른바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Neo-Aristotelianism)라고 부르며, 그 대표자가 매킨타이어다.
덕윤리학에서 주로 연구되는 학자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아퀴나스, 흄, 니체 등이 있다. 이들이 윤리학의 역사에서 아웃사이더인 것처럼 표현하는 것은 잘못인데, 이들 모두 윤리학 연구를 하고자 할 때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학자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언어권, 시기, 연구자에 따라 연구 성향이 조금씩 다르며 각기 고유한 특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이들이 덕윤리학자라고 부르는 게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윤리학에서 덕(virtue, arete)을 핵심 개념으로 삼기 때문에 덕윤리학자라고 부를만하다. 사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이 덕윤리학이라는 체계 자체의 모범적 모델이다.
- 아퀴나스는 그의 철학이 전체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윤리학 또한 마찬가지라는 점에서 덕윤리학자로 간주되기도 한다.
- 흄의 경우 행위보다는 성격에 주목한다는 점을 들어 그를 덕윤리학으로 해석하는 학자들이 있다(흄은 관점에 따라서 공리주의자로도, 사회계약론자로도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덕윤리학으로 해석하는 것은 약간의 논란의 여지가 있다.).
- 니체의 경우 그 자체로 덕윤리학자로 볼 수는 없겠지만, 그의 주요 비판대상이 이른바 "근대 도덕철학"이기 때문에 덕윤리학자들이 그의 주장을 종종 인용한다.
[1] 반짝 '했'던 이라는 말에는 어폐가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이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