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본명'''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 Ἀριστοτέλης[1], Αριστοτέλης[2]''')
'''출생'''
기원전 384년, 마케도니아 왕국 스타게이라
'''사망'''
기원전 322년 (62세), 에우보에아
'''직업'''
철학자
1. 개요
2. 일대기
3. 학문
3.1. 논리학
3.2. 4원인
3.4. 정치학
4. 중세의 재수용
5. 기타
6. 저서
6.1. 오르가논 (Ὄργανον)
6.2. Theoretical Science
6.3. Practical Science
6.4. Productive Science
8. 대중문화 속의 아리스토텔레스


1. 개요


"플라톤이 세상을 떠났을 때, 태양이 하늘에서 떨어진 것 같았다. 모든 이가 통곡했고, 세상의 등불이 꺼져버린 것 같았다. 그러나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스승의 자리에 앉았을 때, 그는 새벽녘의 별 같았고, 세상을 환히 비추어 주었다······"

-솔즈베리의 요한

마케도니아 왕국 출신의 그리스 철학자.[3] 1998년 저명한 현대 철학자들이 벌인 '''"서구 철학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철학자"'''를 뽑는 투표에서 '''1위 차지.'''[4][5]
'''스승인 플라톤과 함께 2천여 년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위인이다.'''[6] 형이상학, 논리학, 정치철학, 윤리학, 자연철학, 과학, 생물학 등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통달하고 그것들의 기초를 마련한 철학사의 거인.
스탠퍼드 철학 백과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를 "모든 시대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 중 하나"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는 "서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성인 중 하나"로 소개하고 있다.

2. 일대기


소크라테스에서 플라톤, 플라톤에서 아리스토텔레스로 사제관계가 이어지며 이 사람의 제자 중에는 그 유명한 '''알렉산드로스 3세'''도 있다.
BCE 384년 마케도니아 스타게이로스(그리스어로 Στάγειρα, 영어로 Stageira)[7]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니코마코스였으며 어머니는 파이스티스였는데 아버지 니코마코스는 마케도니아 왕 아민타스 2세의 시의[8]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왕자 필리포스와 어릴 적부터 친구로 궁정에서 자랐는데 아주 어려서부터 양친을 여의고 프로크세노스가 그의 후견인이었다. 17세 때 플라톤의 학원 '아카데메이아'에 들어가기 위해 아테네로 유학을 떠나 플라톤이 죽을 때까지 거기서 수학을 했었다. 플라톤은 아리스토텔레스를 아카데미의 정신이라 부르며 칭찬했다.
이 시기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서 플라톤이 죽기 전까지는 조용했다는 착각이 있으나, 아무래도 플라톤의 생전에서부터 많은 논쟁을 치렀던 모양이다.[9] 이 시기부터 플라톤의 저작을 본딴 대화편들부터 기타 여러 글들을 썼던 모양이나 많은 부분이 전해지지 않는다. "플라톤은 소중한 벗이다. 하지만 진리는 더 소중한 벗이다."라는 유명한 말과[10] 함께 스승과 학문적으로 결별했으며 누차에 걸쳐 스승의 이론을 비판하기도 했다.[11] 심지어는 그의 저술 중에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대해 '그따위 헛소리는 집어치워야 한다' 는 문장이 있을 정도.[12] 다만 그가 비판한 것은 주로 중기 이데아론이고, 플라톤의 후기 이데아론[13]은 아리스토텔레스도 거의 그대로 수용한다.
플라톤 사후 아카데메이아의 원장이 될 것이라 원생 누구도 의심하지 않았지만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떨어지고 플라톤이 원장직을 조카에게 물려주자 아타르네우스로 돌아간다. 돌아간 이유에 대해서는 당시 아타르네우스의 참주였던 헤르메이아스 역시 아카데미아에서 공부해 아리스토텔레스와 친교가 있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를 초청했다고 하며,[14] 2대 원장인 스페우시포스가 피타고라스 주의나 수학에 깊은 관심을 보이자 그것이 탐탁치 않았다는 얘기도 있고, 올린고스가 함락되며 아테네에 반 마케도니아 정서가 고조된 까닭도 있을 것이라고도 한다.
아타르네우스에서는 다른 동료들과 함께 동물학, 식물학 연구를 했으며 플라톤이 죽은 이후 본격적으로 이데아 등 플라톤의 이론을 까대기 시작한다. 생활에 있어서는 아타르네우스의 지도자인 헤르메이아스의 이복동생(또는 조카)인 퓌티아스를 둘째 부인으로 맞이했다. 딸을 낳고 그 이름으로 부인과 같은 퓌티아스를 붙여주며 3년간 잘 살아가다 참주인 헤르메이아스가 페르시아인들에게 암살당한 후 인근 레스보스 섬의 뮈틸레네로 이주한다. 여기에는 아카데미아에서 수학한 플라톤의 제자이자 레스보스 출신인 테오프라스토스의 추천이 강하게 작용했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테오프라스토스는 뮈틸레네에서 3년을 보내며 자연과학적 연구에 진력했다고 하는데 테오프라스토스는 주로 천문학,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물학에 치중했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342년 아리스토텔레스는[15] 고향 마케도니아로 돌아가 어린 시절 친구인 필리포스 2세의 아들, 즉 왕세자 시절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가르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그가 추천한 《일리아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평생 읽는 책이 됐다.[16][17]
제자가 원정을 떠난 후[18] BCE 335년에 다시 아테네로 돌아와 리케이온이라는 학당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19] 지금 남아 있는 저작의 대부분은 이 시대의 강의노트이다. 그는 물리학, 형이상학, 시학, 생물학, 동물학, 논리학, 수사학, 정치학, 윤리학 등 다양한 주제로 책을 저술하였다.
자신의 제자가 그리스는 물론이고 중동 전역까지 휩쓸고다니면서 아리스토텔레스도 더욱 높은 명성을 떨치게 되지만 알렉산드로스가 인도 원정길에 요절한 뒤 마케도니아가 분열되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네의 미움을 사게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들을 정복한 마케도니아 출신인 데다 그 마케도니아 왕의 스승이기까지 했다. 결국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자 불경죄, 즉 신을 모독했다는 죄명에 의해 추방당했다.[20] 죄목의 상세를 말하자면 아타르네우스 체류 시절 아레테 찬가라고 자신을 초청하고 잘 돌봐주고 둘째 부인까지 자신의 친지 중에서 골라준 헤르메이아스를 기리는 시를 지었다는 것이다. 헤르메이아스는 한 때 노예이기도 했고, 노예 시절 거세를 당했기도 했는데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은 아레테 찬가에서 감히 노예 출신 고자놈을 우리의 신성한 신들에게 비유하다니 불경하다고 죄를 만들어 붙인 것이다.[21] 이 때 리케이온을 테오프라스토스에게 물려준 뒤, 에우보이아의 칼키스(Χαλκίδα)라는 작은 섬나라로 도망가서[22][23] 연구를 계속하다 이듬해 63세의 나이에 위염으로 사망했다.

3. 학문



앞에서 말한 듯이 스승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반기를 들어 자연탐구를 중시하는 현실적 입장을 취한다.[24] 이렇기 때문에 폭넓은 연구를 바탕으로 물리학, 천문학, 생물학, 철학, 윤리학, 미학, 정치학 등 문이과 가리지 않고 전방위에서 모조리 영향을 미쳤다 이전까지의 학문에서도 물론 연구와 관찰은 있었으나 그를 본격화했다는 점에서 대단한 진일보. 최초로 신이 아니라 자연에 원인을 돌리는 거대한 전환을 탈레스가 이루어냈지만[25], 여전히 형이상학적인 수준에서 "만물의 근원은 물이다!"를 주장했던 것보다 한 단계 더 거대한 전환을 한 것이다. 실제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전의 관념적 주장 중 상당수를 반박했다.
현대와 비교해보면 그의 연구와 관찰은 초보적이었고 따라서 결론도 엉성한 부분이 많았다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하여 과거의 학자들을) 평가절하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과학적 사실이 정답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현대 기준으로 과학자가 아닌 것은 맞다. 현대과학에서는 실험을 통해 '''물리적''' 증거를 쌓아가 연역적으로 논증하는 과학적 방법론에 따라야 과학적 사실로 인정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명확한 물리적 증거가 없는 우주 탄생과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정확하게는 '''모른다''' 라고 표현하는게 맞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물리적 증거를 쌓아가면서 연역적으로 정의하기보다 목적론적 세계관에 따라 결론을 정해놓고 추론했기 때문에 과학자가 아니라고 하는것이다. 그러나 과학의 기반을 이루는 과학적 방법론은 수많은 철학적 탐구의 결과로서 쌓아올려졌으며, 사실상 서양 철학에서 데카르트의 등장으로 출발하는 근대철학이전까지는, 중세철학까지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스승 플라톤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철학은 거의 없기 때문에 무조건 평가절하할 수는 없다. 아리스토텔레스라는 거인의 어깨 위에 있다고 봐도 크게 틀리지 않다. 학자들이 괜히 아리스토텔레스를 "만학(萬學)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게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과학을 한적이 없으므로 과학자가 아니라고 비하하기 보다 학문적 분류가 미미했던 당시상황을 고려해 귀납논증을 창시했으며 많은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냈다는 의미에서 위대한 학자로써 존중을 해야한다.
그는 귀납적 관찰로부터 자연에 대한 공리를 얻고 그 공리로부터 사실을 연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앎을 총 4단계로 나누었는데, 최초의 단계는 신체의 각 기관으로 받아들이는 '''감각(αἴσθησις)''', 감각이 머리속에 남은 '''기억(Μνήμη)''', 지적 능력으로 기억을 종합하여 다른 대상에 확대 적용하는 '''경험(ἐμπειρία)''', 그리고 경험을 통해 자연의 공리를 얻는 '''지혜(σoφíα)'''로 나누어 관찰을 통한 지식의 생성을 강조하였다.[26] 관찰이라는 것은 정확한 측정도구가 없으면 오차가 생기기 쉽다. 따라서 공학이 발달하고 통제된 환경에서의 실험, 그리고 통계적 처리가 가능하게 된 현대 이전에는 그 한계로 잘못된 추론에 의한 공리가 잡히게 되는 경우가 많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몇몇 공리들은 그러한 상태로 남아서 극복되기까지 오랜 세월이 걸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과정 자체를 과학사의 발달과정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그래서 서양 학문의 아버지로 통한다. 그 어느 학문의 개론서를 봐도, 학문의 역사 부분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가장 먼저 나오지 않는 학문은 흔치 않다.
철학사가 슈퇴리히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거대한 사설 도서관도 세우고, 세계 각처의 동식물을 포함한 자연과학적 자료를 수집했다고 한다. 그의 제자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각지의 동식물 표본들을 모아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보냈다고 한다. 또한 비교 연구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무려 158종이나 되는 헌법을 수집했다고 한다.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 '''이 모든 일이 기원전 300년대에 이루어졌다.''' 현대의 학자들도 함부로 하기 힘든 일을 고대인이 해낸 것.
수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논술문을 구성하는 방법인 4배열법을 고안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수사학'에서 글을 서론-진술부-논증부-결론의 4문단으로 구성하자고 제안했는데, 서론은 짧고 인상깊은 표현을 통해 독자의 주목을 끌고, 진술부는 논제를 제시하며, 논증부는 진술부에서 제시한 논제를 논증하고, 결론은 논증부를 요약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론과 결론은 상대에게 인상을 주는데에, 진술부와 논증부는 상대를 설득시키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4배열법에서 서론은 글을 읽는 독자들의 흥미를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짧으면서 강렬한 표현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 격언, 속담이나 고사성어로 서론을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학술적인 글의 경우 개념의 정의로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질문으로 시작하거나 도입부에서 관심거리를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진술부는 논제를 제시하는 부분으로 필자의 주장이 여기서 드러나기 때문에 논증부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진술부의 글은 미사여구를 되도록 붙이지 않는게 중요하며 최근에는 서론에 포함되기도 한다. 진술부에서 제시된 주장은 논증부에서 증명되는데 논증부는 설득력있는 논증과 적절한 근거자료로 진술부를 뒷받침해야 한다.[27]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양한 삼단논법을 좋은 논증법의 예시로 들었으며 김용규는 적절한 근거자료로 역사적 사실, 객관적 사실(모두가 인정하는), 학계의 정설, 통계자료를 들었다.[28]

3.1. 논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서는 흔히 오르가논이라 일컬어지는 일련의 저작들이다. 하단의 저서 목록에도 있지만 범주론, 분석론, 변증론 등이다. 논리학에 관한 아이디어나 희미한 개념 등은 아리스토텔레스 전에도 이미 어느 정도 있었다고 보는 견해이나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런 희미한 개념과는 차원이 다른 하나의 체계로 승화시켰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 내에서 일종의 예비학문으로 취급받고 있다. 학문을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익히고 지나가야만 하는 과목인 셈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다른 저작에서도 논리학적인 개념은 별다른 설명도 없이 불쑥불쑥 튀어나오곤 한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자체는 현대의 논리학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임을 알아야 한다. 논리학하면 많은 사람들은 말을 사리분별에 맞게 잘하는 사람을 상상한다. 대학교 등의 강연에서 논리학을 조금 배운 사람들은 여러 가지 비형식적 오류를 저지르지 않는 사람을 상상할 수 있다. 조금 더 알고 있는 사람들은 간단한 형식논리를 알고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이라고 하면 단순히 a=b b=c 따라서 a=c 정도의 수식을 상상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수식은 예시를 들면서 풀어 보자면 인간은 포유류이다. 포유류는 동물이다. 따라서 인간은 동물이다와 같은 명제를 a, b, c, 따라서, = 등의 기호를 이용해 보기 좋게 치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실의 언어는 보통 이렇게 말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29] 그리고 이렇게 말한다 하더라도, 그 경우의 발언은 자신의 발언의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고전적인 형식 논리학의 형식을 빌어서 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보통 우리는 논리학처럼 얘기하는 일이 거의 없으며, 설령 우리가 논리학처럼 얘기하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그 경우의 대부분은 현실 언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형식 논리의 언어가, 역으로 현실의 언어에 영향력을 가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게 아리스토텔레스와 무슨 상관이냐고 하냐면, 오늘날 생각하는 것처럼 '''a, b, c, = 등의 기호를 통해서 수식으로 간명하게 정리할 수 있는 고전 형식 논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이라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형식 논리를 만드는 작업부터 시작했어야 했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작업은 논리학에서 변항에 해당하고 현대에는 a, b, c 등으로 깔끔하게 표현하는 이것들을 만들었어야만 했다. 이것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왜 이런 변항들이 변항이 될 수 있는지, 어떤 말이나 개념들이 변항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상당히 포함하고 있다. 즉 그래도 제법 교양과 상식을 갖춘 사람들 그리고 특히 이공계 쪽에서 논리학하면 흔히 수식을 연상하는 것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은 형이상학이나 존재론적 탐구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30] 이 외에도 여러 철학적인 탐구를 담고 있으면서, 전문적인 용어나 개념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창안하고 고안한 것들이며, 이 문서에서도 논의되고 있듯이 대중적인 고려를 하지 않은 일종의 강의록들만 남아 있으니 제법 난해하다고 할 수 있다. 기체, 안은 기체, 범주, 형상, 실체 등의 영문을 알기 어려운 단어가 아리스토텔레스 나름대로 간단하게 정의된 채로 어지럽게 날아다니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3.2. 4원인


또다른 철학적 성과중 하나는 '''원인''' 개념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이론을 제시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연학』, 『형이상학』, 『분석론 후서』 등의 저서에서 제시한 '원인' 개념 분석은 스콜라 철학를 넘어 데카르트가 출현하기 이전까지 서양 철학사에서 '원인'에 관한 가장 권위 있는 분석으로 받아들여졌다[31].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3.3. 과학적 방법론


나무위키를 비롯하여 아리스토텔레스와 과학에 대해서 대중적으로 깊은 편견이 박혀있다. 그 사례들로는 다음과 같은게 있다:
  • 근대 과학혁명 이전에 과학이란 없었다. 그 전엔 오직 미신 밖에 없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야말로 그 미신의 필두였다.
  • 프랜시스 베이컨 이전에 귀납논증에 초점을 기울인 사람은 없었다. 아리스토텔레스야말로 귀납논증을 배격한 멍청이의 대표 주자였다.
이 가운데 상당 부분은 계몽주의에 잘못된 영향을 받은 역사적 편견들이다. (연속성 논쟁 참조).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아리스토텔레스는 계통분류학의 기틀을 마련하는 등 과학적 성과를 냈다. 하지만 이런 과학적 성과 뿐 아니라 현대의 관점과 연속적인 과학철학적 입장들 또한 명백히 제시했다는 점은 종종 대중들이 간과하고는 하는 사실이다.
그 단적인 사례가 귀납논증이다. '귀납논증'을 처음으로 명문화시킨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르가논이었다. 더욱이 아리스토텔레스는 경험주의자로서 귀납논증이 과학 활동에서 필수적이라는 점을 명백히 밝힌 바 있다.

따라서 [과학의] 기초는 '''반드시 귀납(epagoge)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왜냐면 감각이 보편자를 도입시키는 방식이 그렇기 때문이다.[32]

--

『분석론 후서』 2권 19장 (역자 강조)

이처럼 아리스토텔레스가 세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얻기 위해선 감각, 관찰 등을 통한 경험적 데이터가 필수적이라고 보았다는 점에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없다.
다만 아리스토텔레스가 현대의 과학관과 명백히 의견을 달리한 부분은 '오직 수학처럼 확실한 지식만이 진정한 과학적 지식이다'라고 본 점에 있다. 이는 현대적 관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받아들이지 않는 결정적인 이유이며, 그 보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자들간의 의견이 갈린다.

3.4. 정치학


정치 체제의 종류는 세 가지이며, 각각에서 빠져나온, 말하자면 그것들의 타락한 형태들도 세 가지이다. [기본적인] 정치 체제들은 군주정과 귀족정(ἀριστοκρατία),[33]

그리고 셋째로 재산의 등급에 기초한 정치 체제인데, 이것은 원래 금권정으로 불러야 마땅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헌정(πολιτεία)이라고[34] 부르곤 한다.

이것들 중 최선은 군주정이며 최악은 금권정(Τιμοκρατία)이다. 참주정은 군주정의 타락한 형태이다. 양자 모두 일인 통치체제이긴 하지만 그 차이는 엄청나다. 참주는 자신에게 유익이 되는 것을 추구하지만 군주는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의 유익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자족적이며 모든 좋은 점에 있어서 다른 사람들을 능가하지 않고서는 군주라 할 수 없는데 그러한 사람은 어떤 것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자기 자신에게 유익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에게 유익이 되는 것을 추구할 것이다.(그렇지 않은 사람은 제비를 뽑아서 선출된 군주일 것이다.) 반면 참주는 군주의 반대이다. 자기 자신에게 좋은 것을 추구하니까. 참주정의 경우 그것이 최악이라는 사실은 [금권정이 최악이라는 것보다] 더 분명하다. 최선의 것에 반대되는 것은 최악이다.

참주정은 군주정으로부터 나온다. 참주정은 일인 지배의 타락한 형태로 못된 군주가 참주가 된다. 귀족정으로부터 과두정으로의 이행은 지배자 집단의 악덕에 기인하는데, 그 지배자 집단은 도시의 소유물들을 [사람들의] 가치에 걸맞지 않게 배분하여, 좋은 것들의 전부 혹은 대부분을 자기 자신들에게 배분하고, 공직들을 항상 똑같은 사람들에게 배분한다. 그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부를 축적하는 것이니까. 그래서 소수만이 다스리게 되고 훌륭한 사람들 대신 못된 사람들이 다스리게 된다. 민주정은 금권정으로부터 나온다. 그들은 서로 경계를 공유하고 있다. 금권정 역시 다중의 지배를 지향하며, 일정 재산 이상의 자격 요건을 갖춘 사람들은 모두 동등하기 때문이다. '''타락한 정치체제 중에서는 민주정이 가장 덜 나쁜 것이다. 제헌정의 기본틀(εἶδος)로부터 약간만 타락한 것이기 때문이다. 정치체제들은 주로 이러한 방식으로 변화한다.''' 이런 방식의 이행들이 최소한의 변화로 가장 쉽게 이루어지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치체제들과의 유사성, 혹은 이것들을 이른바 범형(παραδειγμα)으로 삼는 것이 가정 안에서도 발견된다. 아버지가 아들과 함께하는 공통의 교제는 군주정의 형태를 가진다. 아버지는 자식을 염려하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호메로스도 제우스를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이다. 군주정은 아버지처럼 다스리기를 원하니까. 그런데 페르시아에서는 아버지의 다스림이 참주적이다. 아들을 마치 노예처럼 부리기 때문이다. 주인이 노예와 함께하는 공통의 교제 또한 참주정의 성격을 가진다. 그 공통의 교제에서 주인의 이익이 실현되기 때문이다. 후자의 교제 관계는 제대로 된 것으로 보이지만, 페르시아의 [참주적] 교제 관계는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교제 관계에 있는] 사람이 다르면 다스림(ἀρχή )도 달라야 하기 때문이다.

남편과 아내 사이의 공통의 교제는 귀족정의 성격을 보이는 것 같다. 가치에 따라 남편이 다스리되 다스려야 할 것만 다스리며, 부인에게 합당한 것은 그녀에게 양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편이 모든 것을 다스리게 되면 과두정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것은 그가 이 일을 가치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하기 때문이며, 보다 나은 자로서 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부인들이 상속녀로서 다스리기도 하는데, 이때의 다스림은 탁월성에 따라 일어난 것이 아니라 재산과 능력의[35]

결과로써 일어난 것이다.

형제들 간의 공통의 교제는 금권정과 비슷하다. 나이에 따른 차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서로 동등하기 때문이다.(이것이 나이 차이가 너무 많을 경우 그들 사이의 친애가 형제적인 우애가 되지 않는 이유이다.) 민주정은 주인이 없는 가정에서 주로 발생하거나(그곳에서는 모두 동등한 지위를 갖기 때문에) 혹은 주인이 약하고 모두가 자신이 하고 싶은 바를 하는 곳에서 발생한다.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8.10, 강상진 김재홍, 이창우 공역.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정치학은 그의 실천철학의 최종 목적이다. 왜냐하면 윤리학을 통해서 무엇이 행복한 혹은 유덕한 삶인지를 논한 다음, 정치학은 공동체의 모두가 그러한 상태에 놓이기 위한 탐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도 정치학에 대한 언급은 두 번 나오는데, 한번은 서두에 (1.2) 최고선은 정치학이라는 언급이 있으며, 마지막에는 지금까지 다룬 선을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최대한 많이 가져야 함다고 주장한 다음 이제 정치적 논의를 '시작하자'는 말로 끝난다(...) 이 다음에는 아마도 논의의 흐름상 아리스토텔레스가 모았다고 하는 158개의 정체에 대한 논의가 나와야 할 것이겠지만, 이는 안타깝게도 아테네 정체에 대한 논의를 제외하면 내려오지 않는다. [36]
여튼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 체제를 일인정(一人政), 소수정, 다수정으로 나누고는 앞의 세개를 각각 타락 여부에 따라 군주정(좋은 일인정), 참주정(나쁜 일인정), 귀족정(좋은 소수정), 과두정(나쁜 소수정), 제헌정(좋은 다수정), 민주정(나쁜 다수정)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군주정>귀족정>제헌정>민주정>과두정>참주정 순으로 나쁘다고 봤다. 즉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 의하면 다수의 통치는 비록 최고의 효율을 낼 수는 없지만, 제아무리 타락해봤자 일인정이나 소수정의 타락보다는 그 해악이 덜하게 된다. 물론 당대 그리스의 제헌정은 실질적으로 금권정이였기에 오늘날과는 상황이 다르지만, 다수의 통치가 비록 영웅적 소수의 활약을 기대하기는 어려울지언정 '안전하다'는데는 오늘날에도 큰 이견이 없을 것이다.
그의 최후기 저서이자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같이 읽어야 하는 "정치학"에서는 이러한 분류가 다소 변형된다. 거기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통치자가 올바른지(=모두의 이익을 추구하는지) 혹은 타락하였는지(=통치하는 자들의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는 입장은 인정하지만, 통치자의 수에 따른 구분보다 통치자들이 어떠한 정의관을 가졌는지에 따라 체제가 구분된다는 점을 더 강조한다. 물론 여기에서 통치자들의 정의관은, 그러한 사람들이 지향할 법한 정의관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즉 1인정에서 통치자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면 참주정, 공동체의 이익을 추구하면 군주정이며 (전부는 아닌) 다수 통치 체제에서 통치자들이 덕, 그러니까 공공의 행복을 추구하면 귀족정으로, 부를 추구하면 과두정으로 분류하고, 통치자들이 다수이고, 다수가 가질 수 있는 덕(이를테면 군사적 덕)을 발휘하여 모두에게 선이 되는 경우를 추구하는 경우는 혼합정 내지는 시민정(폴리테이아, 위에서는 제헌정. 금권정이란 말은 사라진다), 자유(=자유민, 시민일 조건, 현대의 평등과 유사)를 추구하여 통치하는 다수를 위해 부자를 착취하면 민주정이라 분류한다. 또한 "정치학"에서는 민주정, 과두정, 참주정 순서대로 더 나쁜것은 받아들이지만, 왕정, 귀족정, 폴리테이아 간의 순위는 제시되지 않는다.
여튼 총 8권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이러한 분류에 대한 3권에 등장하며, 1권은 가정에서의 다스림의 방식과 국가공동체의 다스림의 차이와 같은 개론적 내용이, 2권은 플라톤과 여타 현실 정체에 대한 (주로 그들의 단점에 치중한) 논의가 나온다. 4권은 이어지는 정체의 성격과 최선 정체에 대한, 혹은 특정한 조건 하에서의 최선 정체에 대한 논의 및 정치학에서 필요한 앎의 여러 종류가 나오며, 이에 따르면 정치적 앎은 1) 단적인 최선 정체 2) 특정한 시민이 정해 졌을 때의 최선 정체 3) 어떤 가정 하에서의 최선 내지는 각 정체의 최선의 보존 방법 4) 일반적인 경우에 최선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고 제시된다. 다소 혼란스럽지만 확실한 것은 이 중 2)는 3권에, 4)는 4권에서 지나가면서 언급되며, 이에 따르면 두번째 앎에 대해서는 신과 같은 사람을 낳을 수 있는 유덕한 가문이 있는 폴리스에게는 군주정이, 덕을 지닌 다수의 가문이 있는 폴리스에게는 귀족정이, 다수가 다수로서의 덕을 발휘할 수 있는 폴리스에게는 혼합정이 최선이며, 네번째 앎, 대체로 모든 폴리스에게는 최선인 정체는 혼합정으로 제시된다. 5-6권은 정체의 보존과 멸망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나타나며,[37] 7권은 최선 정체에 대한 두 번째 논의 혹은 단적인 최선 정체에 대한 논의가 다루어지고, 마지막 8권은 최선의 정체 하에서 어떠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다룬다.

7-8권의 내용을 최종 정체에 대한 그의 최종 입장으로 본다면 그가 생각하는 이상 사회는 모두가 덕[38] 을 지향하도록(=훌륭해지도록) 이끌어지는 사회이다. 그러한 사회는 덕을 가진 사람들이 시민으로서, 그들이 지배하면서 지배받는 (=일정 나이가 될때까지 덕을 키우다가 일정 나이가 되면 지배하고 나이가 많아지면 은퇴하는) 사회이고, 어릴때부터 공교육을 통하여 덕을 추구하도록 교육받으며, 덕을 가지기 힘들 정도로 여가가 없는 수공업자와 농부같은 생산 계층들은 시민이 아니게 되고 이러한 통치에 참여하지 않는 사회이다. 이 사회의 시민들은 모두들 덕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을 것이기에 (아주 특출한 한 사람이 있을 경우에 어울리는) 왕정이 아니라 귀족정적으로 돌아가면서 지배하는 것이 어울리고, 모두가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기에 파당이 없으며, 모두 통치에 참여하기에 민주정적으로 쇠퇴하지 않고, 또 공교육과 법률을 통해 모두 덕을 추구하도록 이끌리기에 아주 좋은 상태에 있으면서 그러한 상태가 아주 잘 보존되는 사회일 것으로 서술된다. 그리하여 이 사회를 위에서 서술한 정치적 앎에 따라서 보면 1) 이 정체는 각 개인에게 있어서 최선의 목적인 덕을 최대한 많은 수의 시민들이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최선의 정체이며 2) 시민의 특성에 따른 통치 방법의 측면에서 보면 이 사회엔 유덕자가 많기에 그들이 번갈아가며 통치하고 통치받는 방식으로 통치되고, 3) 보존에 있어서는 적절한 교육을 통해 모두 그러한 동일한 목적으로 이끌리기에 정치집단들 간의 분열의 가장 원인인 파당, 즉 다른 목적을 가진 자들이 없어 잘 보존되기도 하는 사회이다.
이러한 입장이 현대의 정치철학과 가장 다른점은, 아리스토텔레스에서는 그의 윤리학의 핵심인 '덕', 즉 이성에 따르는 활동과 관조로부터의 행복이라는 하나의 보편목적이 있고, 그것을 향한 이상정체를 목적으로 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현대의 정치철학, 특히 자유주의적 정치철학에서는 구성원들 간의 하나의 공통된 목적, 혹은 가치관이 있기 매우 어렵다는 보다 심원한 다원주의적 상황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보기에 이러한 통일적인 가치관 하의 이상국가와는 시작점이 다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공동체의 공통 가치관을 잘 갈고 닦아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는, 공동체주의로 불리는 사람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현대 정치철학적 후손이 된다.
다만, 정치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당대 비판자들에게 가장 논란이 되는 어구 중 하나가 바로 아테네의 노예 제도를 인정했다는 구절이 나온다. 노예제에 대한 전반적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세는 좋은 국가에 있어 필요악이자 필수불가결하다는 것이다. 일단 아리스토텔레스는 노예로 태어나는 것이 더 어울리는 사람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재질이 둔하며 기질이나 심성이 독립적이거나 진취적이지 못하고 수동적인 사람들은 노예로 태어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노예가 어울린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장 이상적인 사회는 모든 시민들이 정치에 참여하는 사회인데, 사람이란 것이 먹고 살고 하는 일에 심력을 쏟다 보면 제대로 된 정치참여라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노예는 필수불가결이자 필요악이란 것이다.[39]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어느 정도 완화조치를 취했는데, 노예들은 우정으로 대해주고 좋게 대해주고 사람답게 대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살다 보면 그 기질이 노예로 태어나지 않았는데 노예로 전락하는 경우가 있으니 그것도 문제라고 말했으며, 이에 따라 노예 중 노예답지 않은 재능과 본질을 가진 사람은 노예가 아니라 자유민이어야 한다는 목적론적 방법을 통해 그도 노예제에 대한 어느 정도 반대 의사를 밝혔다.
그렇다 하더라도 노예 제도를 인정했다는 그 자체로 인해 칸트와 같은 다원주의 사상가들에게 큰 반발심을 샀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본인 역시 그리스 사람들이 타고나길 독립적이고 진취적인 개인으로 태어났고 타 민족들은 수동적이라 노예에 어울린다고 주장한 적이 있어서 많은 논란을 사기도 했다[40]. 어떻게 보면 아리스토텔레스 본인 조차도 위대한 철학가라고 하지만 시대적 한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41] 목적론적 방법론 또한 후대 여러 사상가들조차도 "이렇게 토의하다가는 결론이 안 나오겠다!"라며 어느 정도 거르게 되었다[42].
또한 여성에 대한 대우에서 스승인 플라톤보다 더 차별적인 면모가 있다.[43]

4. 중세의 재수용


오히려 중세 때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을 라틴어로 번역한 번역 대본들은 상당 부분 아랍어 번역본들이었다. "우리가 자부심을 가지고 서구 문화의 업적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물론 어느 정도 근거가 있지만, 이때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동방이 우리 서구 문화의 업적에 크게 기여를 했다는 사실이다.······중세 유럽은 그리스 철학을 그리스로부터 직접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시리아·페르시아·아랍의 학자들과 자연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받아들였다"고 질송은 말한다. 그럼 왜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들이, 이미 9세기에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포기타의 작품들이 아일랜드와 프랑켄 지역의fränkisch 수도자들에 의해 변역된 것처럼, 직접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될 수 없었는지 의문이 생길지 모른다. 이에 대해 바로 디오니시우스 번역이 아리스토텔레스 번역을 방해했다고 말한다면, 그런 답도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닐 것이다. 기원후 첫 천 년 동안 그리스도교의 자기 이해와 세계 이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유 방식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게 플라톤 정신에 가까웠으며, 특히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대표되는 것이었다. 바로 그런 현상이 12세기 중반 무렵에는 근본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솔즈베리의 요한 같은 인물은 구체적으로 만나는 세상의 실재 현실에 자신을 개방하려 하는 전적으로 새로운 마음 자세가 서구 사유 속에 얼마나 깊이 무르익어 있었는지를 잘 보여 주고 있는데, 그런 마음 자세는 바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다른 것과 구별하게 하는 기본 특징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말하는 것은 아직 아리스토텔레스의 문헌들이 아랍어라는 우회로를 거쳐 번역되었다고 하는 믿을 수 없는 사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지 못하며, 특히 아리스토텔레스가 어떤 방식으로 아랍 사람들에게 도달하게 되었는지 말해 주지 못한다. 실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정치적 이주移住라는 데 있다. 그것은 이오니아 철학이 소아시아 연안에서 시칠리아와 남부 이탈리아, 그리고 결국 아테네로 가게 된 것이나, 오늘날 기호논리학이 미국 대학들에 정착하게 된 것과 똑같은 방식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그리스도교 사상 사이에는 처음부터 이질성異質性이 있었고, 그런 이질성은 많은 종류의 뿌리에서 양분을 취하고 있었다. 바로 이 이질성은 5세기 네스토리아니즘Nestorianismus이 명시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연합하게 되자 명백한 형태로 나타난다. 네스토리우스는 페르시아 태생으로, 그의 이론은 안티오키아Antiochien 신학 학파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하느님이 사람이 되신 사건을 무엇보다도 그리스도의 역사적 구체성과 가시성可視性, 다시 말해 그리스도의 인성人性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해석한다. 이런 사실은, 쉽게 알 수 있듯이, 이미 아리스토텔레스가 세계를 보는 눈과 어떤 의미에서 유사한 면을 가지고 있다. 네스토리아니즘의 중심이면서 독특하게도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중심은 4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널리 알려져 있던 시리아의 에데사Edessa 학파였다. 그런데 이제 네스토리우스의 그리스도론이 에페소Ephesus 공의회(431년)에서 이단으로 단죄되자, 이 그리스도론은 로마 제국의 영역 안에서는 더 이상 공적으로 주장될 수 없게 된다. 당사자들인 많은 수의 "이단자들"과, 이들과 동일시되지 않는 한에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도, 에데사를 떠나 인접해 있는 페르시아로 이주한다. 이들 대부분은 국경 너머에 직접 이접해 있는 니시비스Nisibis에 머문 것으로 보이는데, 이 도시에도 곧 이어 약 천 명가량이 다닌 유명한 학교가 생긴다.(이 학교가 바로 100년 후 카시오도르가 그 모범을 따라 로마에 대학을 설립하고자 했던 그 학교이다.) 말하자면 시리아에 있는 이 네스토리우스파 그리스도교의 학교와 수도원들이 당시에 그리스의 철학과 과학 문헌들, 특별히 이 유산에 담긴 아리스토텔레스적 실타래를 잘 보관하고 전수해 준 보호 구역保護區域 역할을 담당해 주었던 것이다. 거기에는 아리스토텔레스 자신뿐 아니라 유클리드Euklid, 히포크라테스Hippokrates, 갈레노스Galenos,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등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학자들의 철학적·수학적·의학적 문헌들은 처음에는 그리스어에서 시리아어로 번역되었다가, 어쩌면 페르시아어라는 중간 단계를 하나 더 거쳐, 아랍어로 확실히 번역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슬람 세력이 중동 지역 전체와 페르시아의 사산 왕국Sassanid까지 침범해 들어가고, 대부분 시리아인과 페르시아인이던 아리스토텔레스 전문가들이 바그다드Bagdad에 있는 칼리프Kalif의 궁정으로 초빙되었을 때의 일이다. 800년경에는 아랍어가 세계적인 학문 언어나 다름없었다. 아랍어로 한번 번역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책들은 이슬람이 지배하는 모든 곳, 다시 말해 동쪽으로는 인더스Indus 강, 서쪽으로는 피레네Pyrenäen 산맥 지역까지 퍼져 나갔다.

이런 문화 공간 안에서 이제 훌륭한 아리스토텔레스 주해서들도 생겨나는데, 그 저자들의 이름은 13세기 신학적 대전들 안에서 거의 매 쪽마다 등장하고 있다. 우선 우리는 아비첸나Avicenna를 들 수 있다. 그는 980년 페르시아에서 태어났으며, 궁정 주치의이면서 동시에 철학자, 신학자였다. 그 자신의 말에 따르면, 그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올바른 통로를 발견하지 못한 채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마흔 번이나 읽었다고 한다. 이윽고 그는 그 텍스트를 외우게 되었고, 그러고 나서 마침내 전체의 의미가 자신에게 분명하게 되었다고 한다.(그것을 축하하기 위해 그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많은 선물을 나누어 주게 했다고 한다.) 아비첸나에 이어 우리는 아베로에스Averroes를 들 수 있다. 그는 1126년 코르도바Cordoba에서 태어난 법학자요, 의사요, 철학자였다. 13세기에 서구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주해자라고 하면 "바로 이 아베로에스"를 지칭했다. 라틴 서구에서 그의 영향은 대단한 것이어서, 사람들은 유럽 르네상스 철학을 "아베로에스주의"라고 부를 정도였는데, 이는 어느 정도 정당한 것이었으며, 그렇게 볼 때 그가 미친 영향이 어떤 방향의 것이었는지도 대충 짐작할 수 있다. 이들 아랍 사상가들은 진기하게도 이슬람교보다 서구의 철학과 신학에 훨씬 더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슬람교는 "아리스토텔레스 수용" 같은 것을 전혀 모르며, 오히려 "성전 지상주의적"聖典至上主義的이기 때문에, 코란Koran에만 한정된 신학의 역사는 대체로 철학에 대한 자기 방어의 역사였다.

-요셉 피퍼Josef Pieper, 《중세 스콜라 철학 ―신앙과 이성 사이의 조화와 갈등―》, 김진태 옮김 (서울: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3), 150-154쪽

흔히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천 년 동안 인정받아 온듯이 설명되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반대다. 성 보에티우스의[44] 죽음 이후로, 아리스토텔레스는 라틴-게르만권에서 오랫동안 잊혀졌고, 심지어 그리스권에서도 매우 미묘한 대우를 받았다. 때문에 (언어적 접근성에 따른 상대적 차이는 있지만)[45] 동서를 막론하고 유럽권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저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상황은 12세기 중반 무렵까지 계속되었다.
심지어 이 시기에 아리스토텔레스가 서유럽에 전해진 과정만 보더라도, 그동안 얼마나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리스권에서 미묘한 대우를 받았는지를 보여준다. 아리스토텔르스의 저작은 그리스어에서 직접 번역되지 않았으며, 그리스어에서 우선 시리아어와 (어쩌면) 페르시아어를 거쳐 아랍어로 번역된 것을 카스티야어를 거쳐 라틴어로 번역하는, 지금으로서는 상상조차 어려울 다중 번역이 행해졌다. 이는 "정치적 이주"였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이슬람권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어져 왔지만, 후대인들처럼 열광한 것은 결코 아니었으며, 아베로에스 등은 "이슬람교보다 서구의 철학과 신학에 훨씬 더 강한 영향을 미쳤다."
아무튼 재수용때의 충격이 너무 강했는지,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은 유럽에서 절대적인 권위를 누리게 된다. 심지어 기독교 신학에서도 토마스 아퀴나스처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움직임이 나올 정도였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기독교의 입장에서는 엄연히 이교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신학까지 변화시킬 정도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당시 유럽의 정신세계를 얼마나 뒤흔들었는지를 잘 보여준다.[46] 덕분에 물리 천문에서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코페르니쿠스, 화학에서는 라부아지에한테 교정될 때까지 그의 권위는 흔들리지 않는 지위를 누리게 되었다.[47][48] 하지만 그가 바라는 것은 아니었을 듯
당대 유럽에 충격을 주기에 충분했던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당시 그리스도교 신학의 시녀였던 플라톤주의를 반박하는 것처럼 보였던 철학이기도 하고, 신의 정체성과 영혼의 존재 가치에 대한 측면에서 그리스도교 사상과 충돌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향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그의 학문적 방법론은 모든 사물을 범주화하고 어떤 사물이 그 사물이게 하는 본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그 본질을 통해 사물의 운동과 변화를 설명한다. 모든 사물의 운동과 변화를 역학적인 방식이 아니라 사물이 자신의 본질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간 안의 사물의 위치변화 또한 에너지나 힘과 같은 역학적인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각 사물이 그 자신의 본성에 따른 정해진 위치로 돌아가는 자연적 경향에서 찾는다. 오늘날의 시각에서 미신적이고 우매해 보이는 물리적 설명이 가끔 나오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그렇다고 해도 무식한 고대인이라고 비웃어서는 안 되는 게, 사실 이 사람이야말로 과학적 방법론의 기초를 닦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인식능력에 대해 최초의 단계적 분석을 시도했고 논리학만 기초를 놓은 게 아니라 그 분석을 기초로 경험을 통한 일반화라는 과학뿐 아니라 학문의 방법론 자체를 처음으로 정립한 사람이다. 고대인의 관점에서 '합리적' 설명을 시도하다보니 여러 가지로 무리한 해석이 많이 나오기는 했지만, 아무리 훌륭한 학자라도 시대적 한계까지는 어쩔 수 없을 것이다.(현대인 천재론이 얼마나 무리수인지 생각해 보자) 애당초 이 시대는 자연과학 자체가 분리된 학문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철학과 한 묶음이었던 시대다.
근대에 와서 흔히 까이는 역할을 맡게 된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근대과학이 바로 그의 방법론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단순히 앞선 시대의 방법론이라는 '자료'로만 남았으면 좋았겠지만 불행히도 아리스토텔레스는 필요 이상의 권위를 가지게 되었고 근대과학의 방법론은 그 아리스토텔레스의 권위에 맞서 싸우며 아리스토텔레스를 부정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의 많은 과학사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학문이 유럽 지식인들에게 준 충격이 바로 근대과학이 시작된 계기가 된 것으로 보고 있다.
4원소설 + 천상의 제5원소 떡밥 덕택에 연금술의 기반이 되었다.
물리, 천문, 화학에서 전방위로 까이는 바람에 마치 과학의 원수인 양 여겨지지만 동물 분류학에서는 뛰어났다. 섬게의 크기가 달의 차고 기욺에 따라 크고 작아진다고 쓰기도 했고, 그 시절에 이미 고래포유류에 가까운 종류로 따로 분류했다(포유류 자체에 포함시킨 것은 아님). 정작 이 부분은 제자들에게 '''"쯧쯧, 우리 선생님 실수하신 듯. 고래는 어류"'''하는 바람에 묻혔다.
윤리학 부분에서는 자격, 목적, 좋은 삶, 중용 등이 주요 개념이다. 자격은 어떠한 사람이 어떠한 대접이 적절한지는 그 행위나 대상의 목적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그리고 개인은 좋은 삶을 지향하며 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종의 웰빙인 셈. 중용은 적절하신 그분을 떠올리게 만들 정도로 적절한 행동을 강조한다.[49]
논리학삼단논법의 창시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체계를 닦아놓은 논리학은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형식논리학'의 틀을 이루게 된다. 이후 프레게, 조지 불, 버트런드 러셀이 등장하여 '기호논리학'으로 불리는 현대 논리학의 새로운 조류가 나타날 때까지는 사실상 이 분야의 독보적인 존재였다.
문학에서는 시학을 통해 체계적인 문학비평의 효시가 되었다. 시학에서 비극의 작동원리를 카타르시스라고 규정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허나 카타르시스는 전문을 걸쳐 단 한 번 언급되어질 뿐이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오히려 시학 전체에 걸쳐 플롯을 가장 강조하였다. 시학은 현재의 관점으로 보면 제작학적인 성격이 짙으므로 본격문학보다는 대중문학 이론에서 더 자주 언급된다. 스승인 플라톤이 예술 곧 '모방'은 이데아의 모방인 현실세계의 2차적 모방이라고 규정하고 천시하고, 그 때문에 '국가'에서 시인추방론을 역설한 것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역사는 개별적인 것을 다루지만 시(서사시)는 보편적인 것을 다루므로 시가 더 철학적이다'라고 하여 문학의 존재가치를 역설하였다. 무슨 말이냐면, 실제 역사는 우연적인 인간의 행위에 크게 좌우되며, 불완전한 인간의 의식이나 행위가 그 대상이 되기 때문에 전범으로 삼을 만한 가치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문학은, 물론 최고 수준의 문학이 그 기준이지만 대단히 아름다우며 지적으로도 도덕적으로도 완성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보다 문학이 더 우월하고 추종할 만하다는 것이다.
카이사르가 전쟁 중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태워먹어서인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은 원전이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 그때 불탄 서적들은 당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소장되기 위해 대기 중이었던 책들이었고 그나마 후에 마르쿠스 안토니우스클레오파트라에게 선물로 페르가몬 도서관의 장서 20만 권을 선물했기에 큰 타격은 아니었다. 오히려 아리스토텔레스 사후 좀 복잡하게 저작들이 여기저기 흩어진 이유는 아리스토텔리스가 아테네에서 추방당한 탓이 컸다. 이후 지하 창고 안에서 썩어가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책수집 덕후가 사들여서 수집하고 보관한 덕에 지금 남아있는 정도의 저작이 남게 되었다고 한다. 그 남아있는 저작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했다고 알려진 저작의 반도 안 된다는 얘기도 있는데 후에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화편들이 소실되어서 어려운 강의 노트들만 남았다고 개탄하기도 한다.[50] 일단 로마 시대까지만 해도 세네카나 키케로 같은 로마 철학자들이 그의 서적을 필사하기도 했다고...[51] 남아있는 거라곤 '올림픽의 승자들' 같은 철학의 입장에서 보면 쓰잘데기 없는 기록뿐이라고도 하는데(철학이 아니라 사학의 사료로 쓰자면 쓰잘데기 없는 기록은 전혀 아니지만) 사실은 오히려 전문연구서적이 더 많이 남은 셈이다.

5. 기타


Αριστοτέλης. 고대 그리스어 발음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우리가 쓰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52] 현대 그리스어 발음으로는 "아리스토텔리스" 영미권에서는 Aristotle이라고 쓰고 영국식으로는 "애러스터틀[53]", 미국식으로는 "애러스타를"[54]에 가깝게 읽는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가 티모테오스의 저작을 인용하여 소개한 바에 따르면, 말이 어눌했고, 다리가 가늘었으며, 눈은 작았고, 항상 화려하게 옷을 입었고, 반지를 꼈고, 머리는 짧게 깎았다고 한다. 다른 전승에 따르면 성격은 오만하고 절제가 없었으며 식탐이 있었다고도 한다. 남을 조롱하는 습관이 있었다고도 한다.
유언장에서 인간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는데, 제자인 테오프라토스에게는 그가 만약 자신의 첫째 부인 소생의 딸과 결혼하기를 바란다면 그렇게 하도록 전하고 있다. 두번째 부인은 재혼을 원한다면 그에 걸맞는 사람과 재혼시켜주도록 전하고 있으며, 아직 나이가 어린 노예가 약간의 재물과 함께 자신의 친족 밑에 들어가도록 전하기도 하거나 수중의 재산을 친인들에게 알맞게 나눠주도록 전하고 있다. 그리고 먼저 죽은 첫째 부인의 유골과 함께 묻어주기도 소망하고 있다.
고교 독서평설에 의하면 "요즘으로 치자면 유명 병원 원장 아버지를 둔 부유한 집안 출신에(그의 아버지는 마케도니아의 어의였다.) 명문대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최고 명문가인 왕가의 딸과 결혼했으며 나중에 자신이 졸업한 명문대에 버금가는 명문 대학[55]을 건립한 성공한 철학자"라고 하여 '구질구질 우거지상을 하며 우울한 느낌을 주는 철학자상'과 반대되는 이미지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거기다 당대 세계의 정복자의 스승까지 했으니 세속적 관점에서 이만한 성공을 한 경우는 별로 없을 듯.[56]
영혼[57]에 관하여 아리스토텔레스가 한 설명은 서양의 인간관을 정립하는데 초석이 되었다.[58]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론(質料形相論, Hylemorphism)에 의하면, 모든 사물의 구조원리가 그렇듯이 모든 생물의 구성원리는 원질(原質) 혹은 질료와 체형(體形) 혹은 형상으로 되어있다. 여기서 모든 생명체의 체형 또는 형상이 혼이다. 그에 의하면 식물에게는 생혼(生魂)이 있고, 동물에게는 각혼(覺魂)이 있으며 이 각혼은 생혼의 기능을 동시에 한다. 그리고 인간에게는 지혼(知魂)이 있는데, 지혼은 생혼, 각혼의 기능을 동시에 하고 있다. 즉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인간 이외의 생물과 구분되는 점을 지혼이라고 보았고, '인간은 이성을 지녔기에 인간이다' 라는 서양의 인간관을 정립하는 데 공헌했다.[59]
한편 영혼[60]이 없다고 주장했다는 말도 있는데,[61] 정확히 말하자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인 플라톤의 영혼관을 부정한 것이지 영혼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인간의 본질을 영혼이라고 본 플라톤에 반해 인간은 영혼과 신체의 결합체임을 강조했고, 영혼은 형상, 신체가 질료라고 주장했다. 플라톤은 신체를 영혼을 가두어논 일종의 감옥 상태로 보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영과 육에 대한 스승의 극단적 이분법을 배격한 것이다.[62]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의 활동을 위한 사람들의 서로 다른 기질은 그들 신체의 서로 다른 기질에 의존한다"라고 표현하였는데, 이를테면 사람의 감정과 이성은 영혼의 활동이지만[63] 호르몬, 신경간의 전기적 자극 등과 결코 동떨어져서 생각할 수 없다. 여기서 나온 유명한 표현이 바로 "훌륭한 신체에 고결한 영혼이 깃든다"라는 유명한 명언이다.[64]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관은 그리스도교의 영혼관과도 일치한다.[65]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와 전통적인 그리스도교가 말하는 영혼은 차라리 '정신'으로 이해하는게 훨씬 오해의 여지가 적을 것이며, 동양의 귀신 이야기에서나 나올 법한, 살아있는 사람과 대화하고 인격적 교류를 나누는 스타일의 귀신은 전통적인 유럽인의 세계관에서는 다소 어색한 묘사이다.[66]
지성인이 되고 싶다면 아리스토텔레스 원전 읽기에 도전해보자.[67][68] 철학사에서도 가장 어려운 저서를 남긴 것으로도 악명이 높다. 나중에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나름의 해석을 붙인 페르시아의 철학자 이븐 시나 같은 경우에는 당대의 지적 엄친아였는데도 불구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이 너무 어려워서 고생 많이 했다는 고백을 하기도 했다. 그래서 그의 "형이상학" 같은 경우에는 40회나 정독했다나. 그렇기 때문에 지성인이 되고 싶다고 그리스어를 익혀서 아리스토텔레스 원전을 읽는다는 것은 정말 농담에 속하는 이야기이다.
사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을 어느정도 이해한다면 근대 철학의 합리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들도 쉽게 이해 가능하다.[69]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읽을 수 있는 정도의 능력이라면 사실 이 지구상 어느 철학자의 저서도 이해하지 못할 것이 없다'''는[70] 얘기도 아리스토텔레스 전공자들 사이에서 떠돈다.[71]방송대에서 법철학을 가르치시는 모 교수님의 말에 따르면, '''30년간 읽어왔는데도 아직도 잠이 안 올 때 즐겨 사용하는 책''' 이라고 한다.
사실 어려울 만도 한 게 앞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대해서 설명했듯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은 곧바로 독자들과 소통할 목적으로 지은 책이 아니라 그냥 자신의 생각을 강의하기 위해 정리한 강의안 비슷한 것들 밖에 남아있지 않다. 즉 '''자기 자신만이 이해하기 위해 썼던 것 말고 다른 남아있는 게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읽는 거다.''' 이븐 시나의 한탄도 이해가 될 법하다.
압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 마문은 꿈 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만나 밤새 얘기한 뒤에 바그다드에 큰 도서관을 지어 번역사업을 진행할 것을 명했다고 한다.
중세 아랍에서도 존경받았던 철학자이자 최초의 교사. 심지어 아리스토텔레스 이전에는 논리가 없었다고 생각될 정도로 추앙을 받았다.[72]
어린이들 사이에서는 좀 안습한 처지인데, 아리스토텔리스가 주로 활약한 철학 분야는 어린이에게는 맞지 않기 때문에 본인 이야기는 아동용 서적에서 잘 안 다뤄지고 대신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위인전을 통해 '무거운 물체는 빨리 떨어지고 가벼운 물체는 늦게 떨어진다'라는 무식한 소리를 한 옛날 사람 정도로만 접하기 쉽기 때문에 안 좋은 인상으로 남기 딱 좋다. 특히 과학책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과학적 이론들을 하나하나 틀린걸 증명하기에 더더욱. 중학생이 되기전 시리즈에서는 주인공의 개가 "아리스또틀렸소 아님?" 이라면서 깐다.[73] 아리스토텔레스가 세운 업적이 얼마나 큰지를 생각하면 정말이지 안습. 다만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위인전에서 대철학자이자 뛰어난 스승으로 나오는 경우도 많다.
저서 중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신의 아들 니코마코스를 위해 지었다고 알려졌는데, 재밌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버지 이름도 니코마코스다.[74]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직접 읽어본다면 위에서 상술했다시피, 읽는 사람에게 충분히 심적 고통을 줄 수 있을만한 글이다. 노트 필기를 같이 하며 읽자.
물리교육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뉴턴으로 이어지는 물리적 관념의 변화과정 자체를 중요하게 다룬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한 고대인들의 관념을 극도로 단순화할 경우,[75] 배경 지식 없이 직관적으로 가지기 쉬운 물리적 이해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이 관념을 일단 받아들이고 나서 그것을 교정해나가는 2000년의 과정을 초등물리교육에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저서


위에서 설명했듯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은 대부분 소실됐다. 책으로 출판한 저서들은 대부분 소실되는데, 완벽하게 남아있는 대화편은 없다. 하지만 부분만 남아있는 것들로 복원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니 언젠가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화편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Προτρεπτικός 같은 경우는 이암블리코스가 3세기에 기록한 내용이 있어 복원이 시도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강의 노트와 미출판용 저서들은 살아남았다. 또한, 그중에서도 위작이 있고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저서들이 있어 아직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목록은 현재진행형이다. 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은 19세기에 임마누엘 베커가 모아서 번호를 붙였고 현재 모든 번역본도 이 베커 번호를 문단 옆에 붙이며 이것을 기준으로 모든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문 인용할 때 쓰인다. 물론 베커 번호가 붙고 난 다음에 발견한 저서들이나 부분들만으로 복원된 저서들은 이 번호가 붙어있지 않지만 대부분 연구 중이기 때문에 fragments라고 불리고 밑의 저서 리스트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취소선으로 표시된 저서들은 위작이라고 판명됐거나 의심을 받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theoretical (지식 자체를 위한 지식), practical (무언가를 하려는 지식), 그리고 productive (무언가를 만들기 위한 지식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지식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그리스어로 Ὄργανον)가 논리학이다.
한국어로 번역된 것은 중역을 포함하여 니코마코스 윤리학, 에우데모스 윤리학, 시학, 자연학 논문집, 형이상학, 정치학, 수사학, 영혼론, 소피스트적 논박, 명제론, 범주론, 변증론 정도 뿐이다. 스승인 플라톤의 전집이 그리스어에서 번역되어있는[76] 것과 비교하면 명성에 비해 대우가 안좋다.
21세기로 들어와 천병희와 정암학당(김재홍 등)에서 그리스어 번역을 내놓으면서 상황이 많이 나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정암학당에서는 2018년 11월 15일, 5년간 윤독 끝에 완성한 주석본 《영혼에 관하여》[77]를 내놓으면서 드디어 "정암고전총서" 프로젝트[78]의 본격적인 서막을 알렸다. 그 목표인즉 《자연학》[79] 등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요 저서와 키케로의 '''전집''', 여타 주요한 그리스-로마 고전들을 차근차근 번역 발간한다는 것이다.
이후 정암학당에서 플라톤 전집에 주력하다 2020년 8년 뜬금없이 《소피스트적 논박에 대하여》를 아리스토텔레스 전집이란 이름으로 출간하고 난 뒤 소식이 없다.

6.1. 오르가논 (Ὄργανον)


영어 제목
한국어 제목
약자
책/페이지
Categories
범주론
Cat.
I / 1-15
On Interpretation
명제론
Int.
I / 16-24
Prior Analytics
분석론전서
APr.
II / 24-70
Posterior Analytics
분석론후서
APo.
II / 71-100
Topics
변증론
Top.
VIII / 100-164
On Sophistical Refutations
궤변론(소피스트적 논박)
SE.
I / 164-184

6.2. Theoretical Science


영어 제목
한국어 제목
약자
책/페이지
Physics
자연학
Ph.
VIII / 184-267
On the Heavens
천체에 관하여
Cael.
IV / 268-313
On Generation and Destruction
생성과 소멸에 관하여
GC
II / 314-338
Meteorology
기상학
Mete.
IV / 338-390




On the Soul
혼에 관하여
de An.
III / 402-435
다음 아홉개의 저서는 자연학 논문집이라고 불린다.
On Sense and Sensibilia
감각과 감각 대상에 관하여
Sens.
I / 436-449
On Memory and Recollection
기억과 생각해냄에 관하여
Mem.
I / 449-453
On Sleep and Wake
잠과 깨어있음에 관하여
Somn.
I / 453-458
On Dreams
꿈에 관하여
Insomn.
I / 458-462
On Prophesy in Sleep
잠속의 예언에 관하여
Div. Somn.
I / 452-464
On Length and Shortness of Life
장수와 단명에 관하여
Long.
I / 464-467
On Youth and Old Age. On Life and Death
젊음과 늙음, 삶과 죽음에 관하여
Juv.
I / 467-470
On Respiration
호흡작용에 관하여
Resp.
I / 470-480




여기서부터 생물학 저서가 시작된다
History of Animals
동물 탐구
HA
X / 486-638
Parts of Animals
동물의 부분들에 관하여
PA
IV / 639-697
Motions of Animals
동물의 움직임에 관하여
MA
I / 697-704
Progression of Animals
동물의 앞으로 움직임에 관하여
IA
I / 704-714
Generation of Animals
동물의 발생에 관하여
GA
V / 715-789
다음 열개의 저서는 위서로 의심받고있다








































이 항목은 자연학 다음에 놓여진 작품이라 Meta (그리스어로 다음) Physics (자연학) 이다.
Metaphysics
형이상학
Metaph.
XIV / 980-1093

6.3. Practical Science


영어 제목
한국어 제목
약자
책/페이지
Nicomachean Ethics
니코마코스 윤리학
NE
X / 1094-1181




Eudemian Ethics
에우데모스 윤리학
EE
VIII / 1214-1249




Politics
정치학
Pol.
VIII / 1252-1342
Economics
경제학
Oec.
III / 1343-1353

6.4. Productive Science


영어 제목
한국어 제목
약자
책/페이지
Art of Rhetoric
수사학
Rh.
III / 1354 - 1420




Poetics
시학
Po.
I / 1447-1462

7. 괴담


[image]
그런데 이토록 유명한 철학자에 오래전부터 널리 알려진 괴담이 하나 있다.
애첩 필리스와 노느라 정무를 멀리하던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스승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자를 멀리하라는 충고를 하고, 제자는 필리스를 멀리하게 된다. 그러나 곧 필리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원인임을 알게 되고, 복수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를 유혹할 계획을 세운다. 결국 노스승은 여자에 빠져 급기야 그녀를 등에 태우고 채찍에 얻어맞기에 이르게된다. 이때 필리아는 노래를 불렀고, 그것을 듣고 다가와 스승과 애첩의 모습을 보게된 알렉산드로스는 당황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늙은 자신도 여자에 저항할 수 없는데, 젊은 너는 어떻겠냐, 이것을 보여주려고 했다는 식으로 말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스승의 실수를 눈감아준다.
사실은 13세기 프랑스의 노르만 시인인 앙리 당들리(Henri d'Andeli)가 만든 시며, 유물도 그 시대 이전의 것은 없다. 그리고 이는 당대에 널리 퍼졌던 재미있는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의외로 금욕적인 기독교가 좋아할 만한 이야기였다. "여자를 멀리하라"는 교훈을 담은 이 이야기를 교회에서는 교육적으로도 높이 평가했고 교회의 주교들이 직접 들려줄 정도였다. 그래서 이 이야기는 전 유럽에 널리 퍼져 많은 조각상과 그림을 남겼다. 구글에서도 Aristotle Phyllis라고 검색하면 많은 작품들이 나온다(...). 다만 필리스라는 이름은 독일 쪽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말로 표현될 정도였던 중세 분위기상, 이것보다 더 좋은 가십거리는 없었을 듯도 하다.(...)
앤서니 케니는 자신의 서양철학사 중 '고대철학'에서 필리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내였다고 서술하고 있기도 하다(152쪽).

8. 대중문화 속의 아리스토텔레스


  • 이토 준지의 공포박물관에 실린 단편 "길 없는 거리"에서는 초반에 등장하는 남학생이 주인공 여학생에게 걸은 최면이 "아리스토텔레스"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큐라레: 마법 도서관에도 아리스토텔레스를 모티브로 한 동명의 인물이 나오나 이 사람과는 전혀 상관없는 인물이나 다름 없다. 항목 참조.
  • 움베르토 에코장미의 이름에서 그의 책 <시학>이 중요한 소재로 사용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현재는 소실된 것으로 알려진 <시학> 2부.
  • '중학생이 되기 전에 꼭 읽어야할 초등 과학 교과서'란 만화에선 참 이래저래 욕먹는 역할. 천동설도 틀리고 4원소설도 틀리고, 대체 뭘 맞췄냐며 '아리스또틀렸소'란 별명을 붙이는 등...일단 현대 과학 시점에선 모순투성이일지언정 위대한 인물이다며 해명은 했지만 참 안습한 처지. 나중에는 원소 결합에 관해 '원소들이 눈 맞았어?'라며 애들 읽는 만화에서 못할 소리를 하다가 쫓겨난다(...). 이 외에도 16-17세기 과학혁명을 다룬 학습만화에선 숫제 과학의 주적(...) 포지션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주인공인 경우. 묘사만 보면 아리스토텔레스가 마치 실험정신이 결여된 탁상공론의 전형이요 권위주의적 학문의 원흉으로 느껴질 정도. 이 수준까진 안 간다 해도 '무식한 소리만 하는데도 수백년간 떠받들어지다가 갈릴레이 등에게 처절히 박살난 옛날 과학자'의 이미지로 푸대접받는다. 사실 당대의 그 어떤 학자들보다 귀납과 관찰을 통한 엄밀한 학문을 강조했는데...
  • 헤븐 투 헬에서는 시즌2에서부터 등장하는데 생전에 대학자였으나 죽어서 지옥 밑바닥인 배신의 바다로 떨어져 레비아탄에게 먹혀 문어가되어버렸다. 레비아탄이랑은 아웅다웅 다투는 말친구 사이 레비아탄이 부르는 별칭은 동정남.

[1] 고대 그리스어[2] 그리스어[3] 당대의 마케도니아는 그리스인들에게 이방인이라고 무시를 당했을지언정 넓은 의미의 그리스 문화권에 속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주 활동 무대도 그리스였기에 그리스 철학자 범주에 묶인다. 물론 마케도니아 왕국의 후신을 칭하는 현대 북마케도니아에서도 아리스토텔레스를 자국의 위인으로 추앙한다.[4] 2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인 플라톤, 3위가 이마누엘 칸트, 4위가 프리드리히 니체, 5위가 루트비히 요제프 요한 비트겐슈타인이었다. 물론 이 투표가 절대적인 권위를 갖는 건 아니다. 새천년을 맞아 전 세계의 철학자들이 뽑은 다른 투표에서는 소크라테스칸트가 최고의 철학자로 뽑혔으며, 영국의 철학자들이 21세기 초에 뽑은 투표에서는 마르크스가 최고의 철학자로 뽑혔다.[5] 또 버트란트 러셀과 칼 포퍼는 모두 철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로 플라톤을 꼽기도 했다. 둘다 기존 학계와는 반대된 극 플라톤까라는 것도 특이한 점.[6]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이 플라톤이냐 아리스토텔레스냐 하는 논쟁에 대한 답은 시대마다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같은 중세 시대라고 해도 초기에는 플라톤의 영향력이 강했고 후기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이 강했다. 르네상스에는 오히려 동로마 출신 철학자에 의해 플라톤이 재조명 받기도 했다.[7] 현재 그리스 제2의 도시인 테살로니키에서 그리 멀지 않다.[8] 侍醫. 궁중의 의사[9] 플라톤이 드럽지만 대화편을 계속 쓰며 학설을 바꿔 나가게 만든 원인 중 하나로 추정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플라톤이 과연 학설을 바꾸었는가도 꽤 논쟁적인 주제라 단정적으로 확신하는건 위험하다.[10] 원래 전해지는 말은 좀 더 길고 장황한데 중세 시대에 간단하게 정리된 채 전해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11] 《니코마코스 윤리학》이나 《형이상학》에서 이데아론을, 《정치학》에서 플라톤의 《국가》, 《법률》을 비판한다.[12] APo. 1. 22. 83a28 참고.[13] 이데아의 독립성은 이미 상당히 후퇴한 상태였다. 후기 이데아론은 사실상 현대 분석철학에 가까운 입장으로 물러선 상태였다. 다만 플라톤 사후 신플라톤주의로 계승되어 오랬동안 서구 사상계를 지배했던 플라톤 사상의 기반은 중기 이전의 사상에 기반한다.[14] 플라톤의 서한집에서 헤르메이아스를 만나보지 못했다는 직접적인 언급이 나옴에 따라 플라톤이 없을 떄 헤르메이아스가 아카데미아에 머무른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있다. 뭐 플라톤이 편지를 썼을 때는 못 만났는데 나중에 만났을 수도 있고.[15] 그리고 아마도 테오프라스토스도 함께.[16] 일부 인물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가르친 것은 2, 3년에 불과하다며 둘 사이의 사상적인 영향이 그리 대단치 않다고 보고 있다. 특히 그 근거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헬레니즘 제국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가장 이상적인 정치 체제라 주장하는 도시국가와 상반된다는 것이다. 또, 절대군주제 역시 그 절대군주의 인품이나 능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며 좀 부정적으로 봤으니 그것도 알렉산드로스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플루타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통달했다고 주장한다.[17] 이렇게 되면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대철학자의 말에 알렉산드로스가 따르지 않겠느냐?와 비슷한 논리구조를 가지고 하는 말이 된다. 하지만 역사에 남을 만한 정복군주인 알렉산드로스가 실제 현실에서 정복하고 정치하는 과정 가운데 대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의 학설이나 사상대로 행동하지 않는다. 실제로 생각해보면 역대 왕들 가운데 스승의 말을 그대로 따라 실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물론, 가르침 중 뼈대로 하는 경우는 있지만 아예 그대로 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중 모순점에 대처하기 힘들기도 해서 나름 알렉산드로스도 자신의 철학관념이자 정치적인 머리로 나라를 다스렸다. 생각해보면 철학이라는 것이 무조건 현실에 대입해서 잘 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거기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자지, 신도 아니고 사람이기 때문. [18] 이 시기에도 제자는 진귀한 동식물들을 계속 스승에게 보내줘 동물원과 식물원을 차려주기도 했다. 이걸 보면 스승에 대한 정은 적어도 남아있는 듯 하다. [19] 스승 플라톤과 아카데메이아의 관계에 비춰 리케이온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은 학당이라 착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리케이온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오기 이전부터 존재한 학당이었다.[20] 불경죄는 원래 마음에 들지 않는 철학자들을 공격할 때 자주 사용되었다. 소크라테스도 이런 비슷한 죄(?)로 죽었다.[21] 유치한 얘기지만 확실히 기분 나빠하는 사람은 있을 만도 하다. 그렇지만 결국 억지춘향이다.[22] 이때 도망가면서, "아테네로 하여금 철학에 두 번 죄 짓지 않게 하겠다."고 했다. 스승의 스승을 의식한 것.[23] 아테네에서 태어나 아테네 시민으로 살면서 전쟁을 제외하고는 평생 아테네를 벗어나지 않은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는 경우가 다르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평생 아테네에서 아테네 법을 준수하면서 살았기에 사형 또한 그 일환으로 받아들이겠다고 했으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아테네는 제2의 고향 정도는 될 수 있겠지만, 일단 아테네 태생도 아니고 고향을 제외하면 아테에서만 살았다거나 그런 것도 아니었다.[24] 그래서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에서 스승과 함께 등장할 때 플라톤은 손가락으로 하늘을, 그는 손바닥으로 땅을 가리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25] 이는 동시에 세상을 신에 의해 주어진 것이 아니라 인간 탐구의 대상으로 바라본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탈레스는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 히포크라테스가 질병을 신의 형벌이 아니라 '치료의 대상'으로 바라본 것과 마찬가지.[26] 김헌,'인문학의 뿌리를 읽다',이와우,2016,pp265-267[27]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5단배열법에서는 진술부와 논증부 사이에 반론부가 들어가기도 한다. 이때 반론은 약하게 제시하고 논증부에서 반박하여 주장을 더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28] 이상 모두 김용규,'설득의 논리학',웅진지식하우스,2007,pp93-96[29] 비단 a, b, c 따위의 기호들을 이용해서 이야기하지 않는 것뿐만 아니라, 무엇은 무엇무엇이고 무엇무엇은 무엇무엇무엇이니 무엇은 무엇무엇무엇이다의 형식을 정확히 따르는 경우도 포함해서.[30] 현대에도 전문 철학자들이 쓴 논리학 저서는 이러한 고려를 아주 많이 포함하고 있다. 흔히 아니 더럽게 어려운데 이게 왜 일반인용, 입문용이라고 하는 거지? 라고 생각되는 전문 철학자들의 논리학 저서는 형이상학적인 면모는 전혀 보여주지 않고 주로 기술, 그러니까 테크닉적인 면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일반인용인 것이다. 물론 그렇게 기술적인 면만을 보여주면서도, 나름대로 형이상학적인 면에 대한 고려를 하면서 쓰여진 것이 철학 쪽에서 쓴 논리학 저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31] 다만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중세 이슬람 철학까지 고려하면 논란의 여지가 있다[32] δῆλον δὴ ὅτι ἡμῖν τὰ πρῶτα ἐπαγωγῆι γνωρίζειν ἀναγκαῖον· καὶ γὰρ ἡ αἴσθησις οὕτω τὸ καθόλου ἐμποιεῖ.[33] 고대 그리스의 귀족들은 법으로 정해진 특정한 혈통의 사람이라기보다는, 재산이나 권력 등으로 사회적 권위를 얻은 사람들, 즉 '엘리트'를 의미한다.[34] πολιτεία 1차로는 '정치 체제'라는 뜻이고, 2차로는 '제헌정' 혹은 '공화정' 등의 뜻[35] 여기서의 '능력'은 권력을 잡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탁월성'과는 구분되는 의미. 영어 번역(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ristot.+Nic.+Eth.+1161a&fromdoc=Perseus%3Atext%3A1999.01.0054)에서는 power로 번역됨.[36] 단 정치학 2권에 등장하는, 기존의 여러 정치체제들의 논의에 대한 검토를 이러한 논의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37] 아마도 이것을 세 번째 정치적 앎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 경우 7-8권의 논의는 논의의 최종 결론으로서 다루어져야 할 첫 번째 정치적 앎, 즉 단적인 최선 정체와 그 보존 방안에 대한 서술이 된다.[38] 덕virtue라는 말은 원래 어원적으로 '힘'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무언가를 지킬 수 있는 힘,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힘은 예컨대 양심을 지킬 수 있는 힘 같은 개념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이다.[39] 아리스토텔레스조차 본인도 이 사실에 "사실인데 어쩌겠는가?"라며 한탄할 정도였다고 한다.[40] 2004년 영화 <알렉산더>에서도 알렉산더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야기를 듣던 중 "그런 미개하다고 주장하는 페르시아를 왜 우리 그리스가 지배를 하지 못하죠?"라고 말하자 아리스토텔레스도 미처 반박하지 못하는 말이 나온다. 실제로 그리스인들은 페르시아인들이 미개하다고 했으나 정작 그들은 그렇게 미개하거나 게으르지 않았었다.[41] 현대 선진국 사람들이 노예제로부터 절대적으로 자유로운지는 과연 논쟁거리긴 하다.[42] 물론, 증명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아직도 아리스토텔레스의 기초를 두고 하고 있다.[43] 아리스토텔레스는 남녀에게 본성적 차이가 있다고 보고 이를 우열 관계로 파악했으나, 플라톤은 암컷 경비견이든 수컷 경비견이든 일만 잘하면 그만이라며, 오로지 철학적 소질과 철학적 앎만이 통치권을 정당화한다고 봤다. 사실 이건 아리스토텔레스가 수구적이라기보다는, 플라톤이 별종급으로 급진적인 것이지만(...)[44] 최초의 스콜라 학자이자 가톨릭 성인. 동고트왕국의 로마계 관료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라틴어로 번역하려고 했으나, 처형 당하여 뜻을 이루지 못했다. 대표적 저작으로 《철학의 위안》이 있다.[45] 11-12세기의 동로마 공주 안나 콤네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표적인 저작인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주석을 다는 작업을 후원하기도 했다.[46] 다만 유럽인들이 이교도의 철학을 막연하게 거부한 것은 아니다. 애초에 플라톤부터가 이교도였기도 하고(...). 단 플라톤의 독주가 근 천 년에 걸쳐 이루어졌던 교부 신학 체계에서 플라톤과 궤를 달리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지위를 대체해 철학자의 대명사가 되고, 스콜라 철학의 완성에 기여할 정도로 널리 인용되었음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47] 정확히 말하면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 등은 아리스토텔레스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런 고전적인 학문의 대명사가 되어 버린 탓이다.[48]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은 하늘의 물리법칙은 지상의 물리법칙과 다르다는 입장을 취한다. 행성은 완전한 원형 궤도를 가져야 하고 하늘에 있는 모든 것은 매끄러운 평면이어야 하는 이유가 그것이다. 이는 갈릴레이가 토성의 고리와 달의 언덕들을 발견하면서 아리송해졌다. 완전한 하늘의 물체가 매끄러운 구형이 아니었던 것이다! 결국 갈릴레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바탕을 둔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 '체계'에 균열을 냈다고 할 수 있다.[49] 만약 학부 수준에서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고 레포트나 논문을 쓰게 될 경우 세부적 질의에서 적절한 답변을 위해 '''적절한'''으로 답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경우를 수도 없이 만나게 된다. 간단히 말하면 행복을 이루기 위해서는 '''적절한''' 배경의 인간이 '''적절한''' 상황에서 '''적절한''' 판단을 내리고 '''적절한''' 덕을 함양할 때 우리는 비로소 '''적절한''' 행복에 이르게 된다. [50] 다만 깊게 파고들 경우, 오히려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보다 더 명료한 면도 있다. 플라톤은 대화편이라는 장르의 특성상, 어디까지가 저자의 생각을 반영하는지가 불명요할 때가 있으며, 심지어 대화편을 통해 일종의 '거리두기'를 하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가령, 플라톤 대화편 속에서 소크라테스와 논쟁하는 인물들은 플라톤의 생각을 '전혀' 반영 안하는지, 만약 한다면 얼마나 하는지가 불명료하다. 심지어는 플라톤이 대화편을 통해 보여주려 한 것은 '탐구하는 삶'이였을 뿐, 특정한 '플라톤 학설'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학설도 학계에서 나름의 영역을 확보했다.[51] 이야 글빨 좋다! 하고 감탄했다고 한다. 물론 지금까지 남아 있는 연구서가 아니라 대중들을 위한 책을 읽고 한 말이다.[52] "리"의 리을은 치경 전동음 (러시아어의 'р', 스페인어의 'rr'이 이 발음)이고, "텔"에 강세가 있으며 "스"에는 모음이 없다.[53] /'ɛ.ɹə.stɒ.təl/ [54] /'ɛ.ɹə.stɑ.ɾəl/ [55] 리케이온. 이 말은 고등학교를 뜻하는 프랑스어 lycée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56] 그러나 허접한 철학자들을 빼면 역사에 이름을 남긴 유수의 철학자들은 최소 중산층 정도는 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57]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달자면 '영혼'이라는 말은 '(살아)움직이게 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에니메이션이라는 말이 그림을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임을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다.[58] 스승인 플라톤의 경우 영혼이라는 것의 중요성을 크게 부각시킨 철학자라고 할 수 있다. 호메로스의 경우 자신의 작품에서 에구에구 이 위대한 영웅들도 진짜인 몸은 죽어서 여기에 놔뒹굴고 있고 영혼은 하데스한테 가부렀어ㅠㅠ 이런 식의 서술을 하고 있다. 즉 영혼과 몸이 관계에서 몸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나 플라톤의 경우 영혼을 갈고 닦아야 한다는 말을 수많은 대화편에서 강조한다. 몸이라는 것은 기술자들이 쓰는 도구처럼 니가 무슨 일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목적에 종속되는 부분이 있지 않냐, 오히려 영혼이야말로 윤회를 거듭하는 중요한 것이며 이를 갈고 닦음으로 우리가 진리에 다가설 수 있다고 역설했다.[59] 참고로 말하자면 2차 대전 이후에는 이성에 대한 인류의 맹신이 붕괴하였고, 컴퓨터의 발달 등으로 인해 '이성'뿐만 아니라 '감정' 역시도 강조하는 쪽으로 바뀌는 추세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 역시 강조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생각하는 동물'로서의 인간관이 가진 전제인 자유의지에 대해서 회의적인 생물학적 결정론이 유행하는 추세이기도 하며, 인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난립하는 시대.[60]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달자면 '영혼'이라는 말은 '(살아)움직이게 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에니메이션이라는 말이 그림을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임을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다.[61] Massimo Pigliucci,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노태돈 역, 부키, 2012, p31[62] 현대 심리철학의 물리주의에 가까운 주장으로 이해될 여지가 있다.[63] 사실 현대 들어와서 철학자들은 영혼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64] 시인 유베날리스가 최초로 한 것으로 흔히 오인되는데, 이보다는 아리스토렐레스 쪽이 먼저 썼다. 출처는 신학자 세르티앙주의 저서 <공부하는 삶>.[65] 플라톤식의 영혼관은, 그리스도교에서는 영지주의자를 제외하면 안 한다[66] 물론 시대가 변하면서 동서양의 문화교류가 늘었기에, 서구의 오컬트에서도 동양 스타일의 귀신이야기는 잘만 등장한다.[67] 다만 한국어 전집 완역은 아직도 완성이 되지 않은 상태다. 부분적으로 번역이 되어 있지만 희랍어 직역이 아닌 중역도 상당수다. 그의 저서를 번역본으로 볼 때는 이 점에 주의할 것. 일본이 30년씩 재번역하는 것에 비교하면...[68] 사실 그래도 대표 저작인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2000년대 들어 원본 직역이 되어있는 상태다. 다만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기에는 정말 매우 원초적인 정의를 논하고 있다. 물론 논리의 수준이 원초적인게 아니라 정의를 정초하면서 매우 원초적인 부분에서부터 논증을 시작하고 있다. 오히려 완숙한 윤리학의 정수를 기대하는 사람이라면 훨씬 더 고대인 니코마코스 윤리학 보다는 차라리 로마시대 키케로 저작을 읽기를 권한다.[69] 다만 의외로 중세 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익혔다고 쉽게 익히기는 어렵다. 이쪽의 경우 아리스토텔레스와는 계통 자체가 다른 그리스도교 교리와 신플라톤주의에 근거한 교부 철학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하다.[70] 다만 고대철학사상이 아이디어 자체는 훨씬 단순하고 원초적이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생각들을 파헤치고 원초적으로 다시 바라보는데 능통해지면 오히려 화려하고 정교하고 여러 계보사적 전제들을 깔고있는 철학 용어들을 사용하는 현대철학보다 훨씬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식의 사고방식에 익숙해지면 근현대 철학 사상들을 이해하고 비평하는데 또한 훨씬 능숙해질 수 있다.[71] 그러나 '어느 철학자의 저서가 가장 어렵다'는 식의 이야기는 별로 신뢰할 만한 것은 아니다. 어려운 정도를 서로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있는 것도 아니고 전공자들은 자기 전공이 더 어렵다고 하는 경우가 많아서......비슷하게 둔스 스코투스헤겔, 비트겐슈타인 등의 저서도 난해하기로 악명이 높다. [72] 위의 항목들을 보면 알겠지만 논리학이라는 학문 자체를 창시한 인물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다. [73] 다만 박사가 그 다음 장면에서 철학인으로서는 대인물이라면서 마냥 까지만은 않는다. 근데 이 내용 역시 철학과 과학을 분리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리스토텔레스 시절엔 사실상 철학인이 곧 과학인이었던 사실을 생각하면 딱히 맞는 말이라고도 할 수 없다. 과학적으로도 대인물이 맞다.[74] 이로 인해 '니코마코스 윤리학'이라는 제목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신의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붙인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75] 어디까지나 극도로 단순화할 경우 그렇다는 것이다. 아이들이 가능태, 현실태를 인식하며 사고하겠는가(...)[76] 천병희 역[77] 기존의 역서로는 유원기(2001)의 것뿐이었다.[78] 백종현 칸트전집으로 유명한 출판사 아카넷과의 협력이다.[79] 아직 국내 역서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