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전 크롤/원거리 무기

 





1. 개요
2. 투척 무기
3. 투석구
3.1. 사냥용 투석구
3.2. 푸스티발루스
4. 활
4.1. 단궁
4.2. 장궁
5. 석궁
5.1. 손쇠뇌
5.2. 아발레스트
5.3. 삼중석궁
6. 삭제된 무기
6.1. 블로우건
7. 패치 내역


1. 개요


  • 전체 무기 아이템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은 여기 참조.
'''원거리 무기(Ranged weapon)'''란 시야 안에 들어온 표적을 공격할 수 있게 해주는 무기를 지칭하는 말이다. 원거리 무기의 기본 대미지는 "무기 대미지 + 발사체 대미지"다. 모든 원거리 무기는 공격할 때 탄환이 필요하다. 활과 장궁은 화살, 석궁은 석궁 화살, 투석구는 투석구 탄환/돌을 소모한다. 발사 키 '''f'''를 눌러 원거리의 적을 공격할 수 있다. 투척무기를 제외하면 모든 원거리 무기는 탄환을 발사하기 위한 도구를 써야 한다.
멀리서 다가오는 적을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은 분명 유용하다. 특히 이동속도가 빠른 종족은(센타우르, 스프리건 등) 카이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킬 레벨이 같다면 이동속도가 평균인 종족보다 실질 전투력이 높다.
하지만 원거리 무기는 태생적으로 '탄환 수급'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탄환이 다 떨어지면 원거리 무기는 그냥 나무쪼가리로 전락한다. 때문에 궁수 캐릭터들은 초반엔 약한 적을 근접 무기로 처리하면서 탄환을 가급적 아끼곤 한다.
투석기는 대미지가 쥐꼬리 수준이지만 초반에는 굉장히 유용하다. 초반에 법사계열이 투석기를 사용하면 마나를 아끼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투석구는 방패를 쓰는 캐릭터와, 활&석궁은 방패를 쓰지 않는 캐릭터와 궁합이 좋다.

2. 투척 무기


'''투척 무기(Thrown Weapon)'''는 다른 원거리 무기와는 달리 탄환을 발사하기 위해 별도로 아이템을 장비할 필요가 없다. 무기를 해제할 필요 없이 그냥 f키를 눌러 던지면 그만이다. 즉 방패 장비 여부에 자유롭다. 무기 강화에 필요한 두루마리를 아낄 수 있는 건 덤이다. 그렇다고 대미지가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투창이 얼마나 아픈지는 우르그Urug나 머포크 투창꾼이 플레이어에게 꽂는 죽창만 봐도 알 수 있고, 바위는 오우거와 트롤만 던질 수 있다지만 파괴력이 무시무시하다.
투척 레벨이 0일 때 투창을 던지면 1.5턴, 바위를 던지면 2턴이 소요된다. 최소 공속은 0.7턴이다.
투척 적성이 좋은 종족은 얼마 없다. 가장 적성이 높은 종족이 코볼드, 하플링, 센타우르인데 수치가 고작 +1이다. 거기다 이들 중 코볼드와 하플링은 소형 종족이라 투창 사용에 제약을 받는다. 나머지 종족의 투척 적성은 대개 0에서 -1 사이를 왔다갔다한다[1].
투척 무기 명중률과 대미지는 투척술 스킬 레벨에 좌우된다.
탄환수급은 어려운 편이다. 예외적으로 바위는 중반부터 사이클롭스를 필두로 바위를 던져대는 적들이 줄줄이 나오는데다가, 바위 자체의 파괴확률이 1/30─즉 3% 정도밖에 안 돼서 사용 부담이 덜하다. 단지 초반에 구하기가 살짝 힘들 뿐이다. 문제는 투창 쪽이다. 투창을 사용하는 몬스터는 그리 많지 않다. 서브던전으로 해안이 나오면 종류별로 수십 개씩 쟁여놓고 다닐 수 있지만 안 나오면 부메랑이나 던지면서 살아야 한다.
[image]
'''바늘'''
Needle
다트는 원거리 무기 중에서는 상당히 이질적인 물건이다. 다트의 대미지는 0이다. 대신 바늘은 적에게 각종 상태이상을 일으킨다. 독, 맹독, 블라인드, 광폭화. 다트는 정면으로 싸우면 고전을 면치 못할 적도 각종 상태이상을 걸어 순살할 수 있게 해준다. 언데드에게는 다트 효과가 통하지 않지만, 악마에게는 다트 효과가 먹힌다. 최후반 지옥 보스인 안타이오스는 독 저항이 없어서 쿠라레에 큰 피해를 입는다.
'''투석구''' 스킬과 교차훈련된다.
투척 무기
'''장점'''
◎ '''별도의 발사 장비가 필요없다.'''
◎ 투척 그물로 적을 묶어둘 수 있다.
◎ 바위나 투창 대미지가 세다.
''' 단점'''
◎ 소형 종족은 투창 사용에 패널티를 받는다. 바위는 트롤, 오우거만 사용할 수 있다.
◎ 투창 수급이 어렵다.
◎ 최소 공속을 찍으려면 스킬 레벨을 많이 올려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 종족의 투척 적성은 -1 ~ +1 사이를 왔다갔다한다.
다트
'''장점'''
◎ 멀리서 적에게 누적 피해를 주는데 쓸 수 있다.
◎ 적에게 다양한 디버프를 걸 수 있다.
◎ 쿠라레는 매우 강력하다.
◎ 투척 스킬이라서 투창, 바위도 함께 쓸 수 있다.
◎ 그물이나 거미줄에 걸린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단점'''
◎ 대미지가 없음.
◎ 쿠라레는 독 저항이 있는 몬스터에겐 무용지물이다.
◎ 독 바늘을 제외한 다른 바늘이 상당히 희귀하다.
'''종족별 투척 적성'''
'''Hu'''
'''Ce'''
'''Dg'''
'''Ds'''
'''Dr'''
'''DD'''
'''DE'''
'''HE'''
'''Fe'''
'''Fo'''
'''Gr'''
'''Gh'''
'''Ha'''
0
+1
-1
-1
-1
-1
0
0
.
0
-1
-1
0
'''Ko'''
'''Mf'''
'''Mi'''
'''Mu'''
'''Na'''
'''Op'''
'''Og'''
'''HO'''
'''Sp'''
'''Te'''
'''Tr'''
'''Vp'''
'''VS'''
+1
0
0
-2
-1
0
0
-1
0
0
-1
-2
-1
돌, 다트, 부메랑, 투창, 바위, 투척 그물은 '무기'가 아니라 '탄환'으로 분류된다. 해당 무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탄환 항목 참조.

3. 투석구


[image]
[image]
''''''
Stone
'''투석구 탄환'''
Sling Bullet
투석구(Sling)는 활과는 반대로, 모든 무기가 한손 장비다. 활이나 석궁보다는 대미지가 약하지만, 전부 한손 무기기 때문에 방패 전사가 보조무기로 채용할 만하다. 거기다 투석구는 활이나 석궁과는 달리 '''방패의 공격속도 패널티가 적용되지 않는다.''' 투석구에 속하는 무기는 최소 공속 스킬 레벨이 낮은 편이다.
투석구는 투석구 탄환(Sling bullet)과 돌(Stone)을 탄환으로 쓴다. 돌 대미지는 일반 탄환보다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 돌은 4, 탄환은 6이다.
석궁이나 활에 비하면 탄환수급이 심각하게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서브던전으로 해안이 뜨지 않는다면 던전에서 랜덤으로 떨어지는 탄환에 수급을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다. 사실 해안이 뜬다고 해도 탄환이 그렇게 많이 나오는 편도 아니다. 폰(faun)과 사티로스(satyr)가 투석구 탄환을 드랍하지만 일반 던전에서 그리 자주 나오진 않는다. 거기다가 가끔 저 녀석들이 쏘라는 탄환은 안 쏘고 돌을 쏠 때도 있어서... 탄환으로 대신 돌을 쓸 수도 있지만 투석구 자체 대미지가 안 그래도 심각하게 낮아서 엉망인 공격력이 더 처참해진다.
투석구는 던전 1층부터 쉽게 구할 수 있는데다 돌도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초반에 브랜드가 발린 투석구를 발견했다면 주무기의 스킬 레벨이 어느정도 오를때까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형 종족은 모두 투석구 스킬 적성이 좋다. 투석구 자체가 크기가 작아 소형 종족과도 합이 잘 맞는 편이다.
'''투척술'''과 교차훈련된다.
'''장점'''
◎ 방패와 함께 사용하기 좋다. 방패의 공격속도 패널티를 받지 않는다.
◎ 공속이 빠르다.
◎ 초반부터 무기를 구하기 쉽다. 고블린, 코볼트가 종종 슬링을 들고 나온다.
◎ 투척 스킬과 교차훈련된다.
''' 단점'''
◎ 원거리 무기 중에서 가장 약한 대미지. 짐승굴 6층 털고 난 후에는 그냥 경험치 낭비. 아무리 적성이 좋아도 9렙 이상은 경험치 아깝다.
◎ 푸스티발루스의 경우 작중 원거리 무기 중 명중률이 제일 낮다.
◎ 돌이 아닌 투석구 탄환 수급이 심각하게 어렵다.
'''종족별 투석구 적성'''
'''Hu'''
'''Ce'''
'''Dg'''
'''Ds'''
'''Dr'''
'''DD'''
'''DE'''
'''HE'''
'''Fe'''
'''Fo'''
'''Gr'''
'''Gh'''
'''Ha'''
0
+1
-1
-1
-1
+1
<colbgcolor=#b00000> -2
-2
.
+1
-1
-1
'''+4'''
'''Ko'''
'''Mf'''
'''Mi'''
'''Mu'''
'''Na'''
'''Op'''
'''Og'''
'''HO'''
'''Sp'''
'''Te'''
'''Tr'''
'''Vp'''
'''VS'''
0
-2
+1
-2
-1
0
'''-3'''
-1
+2
0
'''-4'''
-2
-1
.
'''이름'''
'''공격'''
'''명중'''
'''기본
공속
'''
'''최소
공속
'''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
'''크기'''
'''탄환'''
'''공격
타입
'''
'''희귀도'''
<colbgcolor=#2b4c7e> [image]
<colbgcolor=#567ebb> '''사냥용 투석구'''
Hunting sling
7
+2
'''1.2'''
'''0.6'''
'''12'''
한손
초소형
돌, 투석구 탄환
비근접
10
[image]
'''푸스티발루스'''
Fustibalus
'''10'''
'''-1'''
1.4
0.7
14
한손
소형
돌, 투석구 탄환
비근접
'''10'''

3.1. 사냥용 투석구


'''사냥용 투석구'''
Hunting sling
[image]
[image]
[image]
'''일반'''
'''마법'''
'''아티팩트'''
'''공격'''
7
'''명중'''
+2
<colbgcolor=#567ebb> '''기본 공속'''
'''1.2'''
<colbgcolor=#567ebb> '''최소 공속'''
'''0.6'''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12'''
''''''
한손
'''크기'''
초소형
'''탄환
공격력
'''
9

천과 가죽으로 만든, 돌을 발사하는 도구. 땅바닥에서 주울 수 있는 돌보다는, 전문적으로 제작된 탄환을 쏠 때 더 큰 위력을 낸다. 토끼나 고블린 등을 사냥하는 데 최적화된 물건.

사냥용 투석구는 한손 원거리 무기다. 돌과 투석구 탄환을 둘 다 사용할 수 있는데, 투석구 탄환 쪽이 훨씬 대미지가 잘 나온다(돌:4, 투석구 탄환:6). 아이템을 구하는 대로 가급적 푸스티발루스(Fustibalus) 쪽으로 갈아타는 편이 낫다. 대미지는 3 낮은데 최소 공속 스킬 레벨이 2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투석구는 공격력이 낮다는 점이 고질적인 문제기 때문에 상위무기를 써야 한다.

3.2. 푸스티발루스


'''푸스티발루스'''
Fustibalus
[image]
[image]
[image]
'''일반'''
'''마법'''
'''아티팩트'''
'''공격'''
'''10'''
'''명중'''
'''-1'''
<colbgcolor=#567ebb> '''기본 공속'''
1.4
<colbgcolor=#567ebb> '''최소 공속'''
0.7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14
''''''
한손
'''크기'''
소형
'''탄환
공격력
'''
12

강화된 슬링이 끝에 붙어 있어, 탄환들을 빠르게 발사할 수 있는 나무조각. 땅바닥에서 주울 수 있는 돌보다는, 전문적으로 제작된 탄환을 발사할 때 더 큰 위력을 낸다.

'''고정 아티팩트'''
[image]
+3 푸스티발루스 "펑크"
일단 사냥용 투석구 보다는 대미지가 잘 나온다. 최소 공속 스킬 레벨은 2밖에 차이가 안 나는데, 대미지는 훨씬 세다. 활이나 석궁 카테고리의 양손무기보다는 파괴력이 떨어지지만, 한손무기고 요구 스킬 레벨이 낮은 등의 장점은 특기할 만하다. 강화 수치가 높은 푸스티발루스는 게임 끝까지 쓸만하다. 비록 지옥의 감시자(Hell Sentinel)처럼 AC가 높은 몬스터 상대로는 대미지가 잘 안 박히긴 하지만.

4. 활


[image]
'''화살'''
Arrow
모든 활은 '''양손 무기'''다. 한 손으로 활을 붙들고 한 손으로 시위를 당겨야 하니까. 때문에 개미맨이 아닌 이상 방패와 함께 장비할 수 없다. 석궁에 비하면 명중률 대비 공격력이 낮다. 그러나 투석구보다 대미지가 넘사벽으로 높고, 석궁에 비해 공격속도가 빠르다.
무리지어 나오는 켄타우로스 몬스터들 덕분에 무기습득, 탄환수급이 편하다. 투석구 따위와는 천지차이.
'''장점'''
◎ 공속 대비 공격력이 합리적이다.(0.7, 15)
◎ 무기 및 탄환 수급이 쉽다. 모든 켄타우로스 몬스터는 활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 단점'''
◎ 공격력 대비 명중률은 물론, 공격력 자체가 석궁보다 약하다. 언젠가는 석궁도 섞어쓰거나, 심하면 갈아탈 수 밖에 없다.
◎ 전부 양손 무기라 방패와 함께 쓸 수 없다.
◎ 소형 종족은 장궁 사용불가.
'''종족별 활 적성'''
'''Hu'''
'''Ce'''
'''Dg'''
'''Ds'''
'''Dr'''
'''DD'''
'''DE'''
'''HE'''
'''Fe'''
'''Fo'''
'''Gr'''
'''Gh'''
'''Ha'''
0
'''+3'''
-1
-1
-1
'''-3'''
+1
'''+3'''
.
-2
0
-1
+1
'''Ko'''
'''Mf'''
'''Mi'''
'''Mu'''
'''Na'''
'''Op'''
'''Og'''
'''HO'''
'''Sp'''
'''Te'''
'''Tr'''
'''Vp'''
'''VS'''
0
-2
+1
-2
-1
0
'''-3'''
-1
+2
+1
'''-4'''
-2
-1
.
'''이름'''
'''공격'''
'''명중'''
'''기본
공속
'''
'''최소
공속
'''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
'''크기'''
'''탄환'''
'''공격
타입
'''
'''희귀도'''
<colbgcolor=#2b4c7e> [image]
<colbgcolor=#567ebb> '''단궁'''
Shortbow
9
+2
1.3
'''0.6'''
14
양손
중형
화살
비근접
10
[image]
'''장궁'''
Longbow
'''15'''
0
'''1.7'''
0.7
'''20'''
양손
대형
화살
비근접
10

4.1. 단궁


'''단궁'''
Shortbow
[image]
[image]
[image]
'''일반'''
'''마법'''
'''아티팩트'''
'''공격'''
9
'''명중'''
+2
<colbgcolor=#567ebb> '''기본 공속'''
1.3
'''최소 공속'''
'''0.6'''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14
''''''
양손
'''크기'''
중형
 

구부러진 나무와 실. 화살을 발사한다.

썩 좋지 않다. 스킬 레벨이 낮아도 화살을 빠르게 연사할 수 있을 뿐이지, 딜이 낮아 유용성이 떨어진다. 장궁을 얻는 대로 바로 갈아타자.
켄타우로스가 속성이 붙은 단궁을 자주 드랍한다.

4.2. 장궁


'''고정 아티팩트'''
[image]
<colbgcolor=#2b4c7e> +8 장궁 "미풍"
[image]
+8 폭풍의 활
'''장궁'''
Longbow
[image]
[image]
[image]
'''일반'''
'''마법'''
'''아티팩트'''
'''공격'''
'''15'''
'''명중'''
0
<colbgcolor=#567ebb> '''기본 공속'''
'''1.7'''
'''최소 공속'''
0.7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20'''
''''''
양손
'''크기'''
대형
 

주목나무로 된 길쭉하고 튼튼한 활.

명중률이 살짝 낮지만 그 대가로 폭발적인 대미지를 낸다. 다만 최소공속 0.7을 찍기 위해선 스킬 레벨을 20까지 올려야 한다.

5. 석궁


[image]
'''볼트'''
Bolt
석궁은 활보다 공격 속도가 느리며 최소 공속 스킬 레벨이 높지만, 보다 명중률이 높고 대미지가 강력하다. 원거리 무기 중에서는 바위를 제외하면 가장 공격력이 높다. 근접 무기에 상응하는 위력으로 적을 사살할 수 있다. 석궁 계열 중에서 가장 공격력이 낮은 손쇠뇌(Hand Crossbow)가 투석구 계열 최종무기인 푸스티발루스보다 대미지가 더 세다(10<12).
탄환은 볼트다. 야크타우어 떼가 볼트를 무더기로 뱉기 때문에 전체 게임 기준으로 봤을 때 수급 난이도는 편한 편이지만, 야크타우어가 나오는 중반 전까지는 탄환 보급이 상당히 힘들다. 활이 센타우르를 잡아 화살을 보충할 수 있는 데 비해, 석궁은 초반에는 전적으로 바닥에 랜덤하게 떨어진 탄환에 수급을 의존해야 한다. 그래도 중반 이후로는 숨통이 훅 트인다.
'''장점'''
◎ 폭발적인 공격력 + 높은 명중률
◎ 탄환 수급이 쉽다. 야크타우어(Yaktaur)가 떼거지로 볼트를 들고 나오기 때문.
◎ 삼중석궁을 제외하면, 무기를 구하기 쉬운 편이다. 이유는 상동. 야크타우어 뿐만이 아니라 오크나 코볼드도 자주 석궁을 들고 나온다.
◎ 손쇠뇌는 방패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서 대미지도 푸스티발루스보다 높다.
◎ 초소형 종족인 스프리건도 아발레스트까진 착용할 수 있으며, 소형 종족은 삼중석궁까지 착용이 가능하다.
''' 단점'''
◎ 모든 석궁은 최소 공속이 '''1.0턴'''이다.
◎ 야크타우어가 나오기 전까진 석궁이나 볼트를 구하기가 힘들다.
◎ 적성이 좋은 종족이 얼마 안 된다.
◎ 최고 무기인 삼중석궁을 구하기가 심각하게 어렵다.
'''종족별 석궁 적성'''
'''Hu'''
'''Ce'''
'''Dg'''
'''Ds'''
'''Dr'''
'''DD'''
'''DE'''
'''HE'''
'''Fe'''
'''Fo'''
'''Gr'''
'''Gh'''
'''Ha'''
0
+1
-1
-1
-1
+1
-1
0
.
0
0
-1
+1
'''Ko'''
'''Mf'''
'''Mi'''
'''Mu'''
'''Na'''
'''Op'''
'''Og'''
'''HO'''
'''Sp'''
'''Te'''
'''Tr'''
'''Vp'''
'''VS'''
+2
-2
+1
-2
-1
0
'''-3'''
-1
0
+1
'''-4'''
-2
-1
.
'''이름'''
'''공격'''
'''명중'''
'''기본
공속
'''
'''최소
공속
'''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
'''크기'''
'''탄환'''
'''공격
타입
'''
'''희귀도'''
<colbgcolor=#2b4c7e> [image]
<colbgcolor=#567ebb> '''손쇠뇌'''
Hand crossbow
12
'''+5'''
1.5
'''1.0'''
'''10'''
한손
초소형
볼트
비근접
10
[image]
'''아발레스트'''
Arbalest
18
+2
'''1.9'''
'''1.0'''
'''18'''
양손
소형
볼트
비근접
10
[image]
'''삼중석궁'''
Triple Crossbow
'''22'''
0
'''2.3'''
'''1.0'''
'''26'''
양손
소형
볼트
비근접
2

5.1. 손쇠뇌


'''손쇠뇌'''
Hand Crossbow
[image]
[image]
[image]
'''일반'''
'''마법'''
'''아티팩트'''
'''공격'''
12
'''명중'''
'''+5'''
<colbgcolor=#567ebb> '''기본 공속'''
1.5
'''최소 공속'''
'''1.0'''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10'''
''''''
한손
'''크기'''
소형
 

정밀한 공학의 산물. 석궁 탄환을 발사한다. 장전하고 쏘는 데 시간을 상당히 소요한다.

손쇠뇌는 석궁류 중에서 가장 작은 무기다. 아발레스트, 삼중석궁은 양손으로 장비해야 하나 손쇠뇌만은 예외다. 즉 방패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석궁 분류에 속하는만큼 단점이 까다롭다. 대미지도 명중률도 괜찮지만, 스킬 레벨을 얼마나 올리든 공속은 1.0턴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다. 방패 패널티까지 더하면 이 속도는 더 느려진다. 그러나 비록 공속이 느리다 해도 게임 초반부엔 단궁이나 사냥용 투석구보다 훨씬 높은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쓸만하다.
석궁 스킬을 10 이상 올릴 생각이라면 아발레스트로 갈아타는 편이 좋다. 그 편이 대미지가 비약적으로 잘 나온다. 물론 이 경우 포미시드가 아닌 이상 방패는 못 쓰게 되겠지만.
의외로 아발레스트에 비하면 좋은 아티팩트나 속성이 발린 물건을 구하기 힘들다. 아발은 야크타우어가 떼거지로 들고 나와 발에 채일 정도지만, 손쇠뇌를 들고 나타나는 몬스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아주 옛 버전의 손쇠뇌는 다트를 발사하는 한손 무기였다.

5.2. 아발레스트


'''아발레스트'''
Arbalest
[image]
[image]
[image]
'''일반'''
'''마법'''
'''아티팩트'''
'''공격'''
18
'''명중'''
+2
<colbgcolor=#567ebb> '''기본 공속'''
'''1.9'''
'''최소 공속'''
'''1.0'''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18'''
''''''
양손
'''크기'''
소형
 

정밀공학의 거대한 산물. 강철로 보강하여 윈들라스#를 크랭크로 썼다. 장전하고 쏘는 데 시간을 상당히 소요한다.

'''고정 아티팩트'''
[image]
+6 아발레스트 "업화"
아발레스트는 강력한 원거리 무기다. 비약적인 대미지에 명중률도 높다. 하지만 태생적으로 공격속도가 느리다. 기본 공속이 1.9, 즉 거의 '''2턴'''이라 스킬 레벨이 낮은 상태에서 이 무기를 쓰기는 힘들다. 스킬 레벨을 18까지 올려도 공속은 1.0턴이 한계다. 활 최소공속은 0.6~0.7턴이다.
상위 무기인 삼중석궁 드랍률이 매우 낮은 편이라, 종종 스킬 레벨이 높은데도 갈아타지 못하고 아발레스트를 계속 사용하는 불상사가 꽤 자주 일어난다. 그래도 삼중석궁에 밀릴 뿐이지 대미지 장궁 이상이라 상위 무기를 중후반까지 못 구해도 활처럼 불편하진 않다.

5.3. 삼중석궁


'''삼중석궁'''
Triple Crossbow
[image]
[image]
'''일반'''
'''마법 & 아티팩트'''
'''공격'''
'''22'''
'''명중'''
'''0'''
<colbgcolor=#567ebb> '''기본 공속'''
'''2.3'''
'''최소 공속'''
'''1.0'''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26'''
''''''
양손
'''크기'''
소형
 

처음엔 공성무기로 개발되었으나 크기를 축소하였다. 세 줄로 이루어진 석궁 시위는 막강한 위력을 내뿜는다. 장전하고 쏘는 데 어마어마한 시간을 소요한다.

'''고정 아티팩트'''
[image]
+9 삼중석궁 "저격수"
석궁 계열 최종병기다. 원거리 무기, 아니 일반 무기 중에서도 대미지가 원톱급이다. 22라는 기본 대미지는 가시박힌 거대 몽둥이(Giant Spiked Club)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양손 근접 무기도 대미지는 20 선에 그친다. 하지만 공속도 반대 의미로 원톱이다. 기본 공속 '''2.3'''턴에 최저 공속 스킬 레벨 '''26'''은 실로 악질적이다. 최저공속은 다른 석궁 무기도 그렇듯 1턴. 즉 스킬 레벨이 낮다면 아발레스트나 손쇠뇌를 사용하는 편이 낫다. 물론 스킬 레벨이 높다면 (방패 사용자가 아닌 이상은) 무조건 삼중석궁이다.

6. 삭제된 무기



6.1. 블로우건


'''블로우건'''
Blowgun
[image]
[image]
'''일반'''
'''마법&아티팩트'''
'''공격'''
0
'''명중'''
+2
<colbgcolor=#567ebb> '''기본 공속'''
'''1.0'''
'''최소 공속'''
'''0.5'''
'''최소 공속
스킬 레벨
'''
'''7'''
''''''
한손
'''크기'''
초소형
 

길고 가벼운 튜브. 빨대처럼 양쪽이 뚫려 있는데, 숨을 불어넣어 다양한 종류의 바늘을 적의 목에 쏠 수 있다. 소음이 아주 작게 일어난다.

대미지는 없다. 대신 적에게 각종 상태이상을 유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명중률/공속은 투척 스킬에 좌우된다. 탄환은 바늘이다. 마법/아티팩트 블로우건은 무조건 '신속' 브랜드가 붙어 나온다.

7. 패치 내역


* 0.15 버전
- 원거리 공격의 매커니즘이 근접 공격을 기반으로 다시 만들어졌다. AC와 EV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공격 속도의 변화는 예측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 활의 이름이 짧은 활(Shortbow)로 변경되었다.
- 원래는 쇠뇌류는 쇠뇌 한 종류만 있었으나, 손쇠뇌, 아발레스트, 삼중석궁 세 단계로 세분화되었다.
- 투석구의 이름이 사냥용 투석구로 변경되었다. 푸스티발루스라는 상위 티어의 투석구가 추가되었다.
* 0.18 버전에서 투척 속도 메커니즘이 변경되었다. 이 이전에는 모든 투척 아이템의 공격속도는 0.5까지 떨어질 수 있었다.
* 0.23 버전에서 블로우건을 사용해 상태이상 바늘로 적을 공격할 경우, 상태이상을 걸 확률이 표시되도록 변경되었다.


[1] -2인 종족도 있지만 미라는 원래 적성 전부가 낮은 편이고, 뱀파이어는 전사용 종족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