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전 크롤/아이템
1. 개요
'''아이템(Item)'''은 던전에서 찾을 수 있는 각종 물건을 말한다. 아이템은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고, 쓸모없을 수도 있고, 유용할 수 있다. 몇몇 아이템은 감정하거나 한 번 사용해봐야 용도를 파악할 수 있기도 하다.
아이템 종류는 크게 장비 아이템, 소모성 아이템, 발동 아이템, 책으로 나뉜다. 장비 아이템에는 무기, 갑옷, 반지, 목걸이가 있다. 소모성 아이템에는 음식, 물약, 두루마리, 탄환, 금화가 있다. 발동 아이템에는 마법봉, 지팡이, 잡동사니가 있다. 책은 마법서와 설명서로 나뉜다.
종종 무기나 방어구, 장신구 등의 아이템엔 저주가 걸려있을 수 있다. 저주받은 아이템을 착용하는 경우, 저주를 해제하기 전에는 해당 장비를 착용 해제할 수 없다. 저주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저주 해제의 두루마리로 아이템의 저주를 해제해야 한다.
던전 크롤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이 존재하며, 게임의 장르가 로그라이크인만큼 감정 전에는 아이템의 성질이나 종류를 구별할 수 없다. 단, 예외로 고정 아티팩트는 등장하자마자 자동으로 감정된다. 이 문서에서는 기본적인 상태의 아이템, 그리고 아이템에 부여될 수 있는 마법 옵션(Brand, ego)들에 대해 서술한다.
1.1. 아이템 클래스
이러한 아이템의 등급 별 색깔은 menu_colour 옵션에서 바꿀 수 있다.
1.2. 아티팩트 (Artefact)
'''아티팩트(Artefact)'''는 게임 내에서 빛나는 하얀색으로 표시되는 아이템이다. 아티팩트는 일반 아이템에 비해 희귀한 확률로 생성된다. 그 대신, 아티팩트에는 일반적인 아이템에는 붙지 않는, 각종 유용하거나 유해한 옵션이 부여될 수 있다.
일반적인 마법 아이템은 미감정된 상태에서는 '빛나는(Glowing)', '룬이 새겨진(Runed)', '반짝거리는(Shiny)', '염색된(Dyed)', '수놓은(Embroidered)' 같은 수식어만 붙는다. 그러나 아티팩트 아이템은 이것과는 다른 수식어를 달고 나타난다. 감정되지 않은 아티팩트는 항상 특이한 이름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희미하게 빛나는 미늘 갑옷(Shimmering scale mail)", “반투명한 대리석 반지(Translucent marble ring)”, “연기가 피어오르는 창(steaming spear)” 같은 식으로. 또한 아티팩트는 대체로 일반 아이템과 아이콘 스프라이트가 다르기 때문에, 게임에 조금만 익숙해지면 아이콘만 보고도 아티팩트인지 일반 아이템인지 마법 아이템인지 구별할 수 있다.
아티팩트는 크게 랜덤 아티팩트(랜다트, Randart)와 고정 아티팩트(픽다트, Unrandart, Fixedart)로 나뉜다. 랜덤 아티팩트는 매 게임마다 '''(기반 아이템)+(랜다트 옵션)'''의 스펙으로 랜덤하게 생성되는 아티팩트고, 고정 아티팩트는 매 게임마다 고정된 옵션을 가진 채 출현하는 아티팩트다. 랜다트와 달리, 픽다트는 발견한 즉시 감정된다. 이러한 픽다트에 대한 정보는 고정 아티팩트 문서 참조.
또한 아티팩트가 신기하고 다채로운 여러 가지 옵션이 붙을 수 있어도, 기반이 되는 아이템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가령 랜다트 브로드 액스가 있다고 할 때, 아티팩트가 되어 어떤 옵션이 붙더라도 브로드 액스 자체의 ‘도끼 광역 공격, 기본 대미지 13, 명중률 -2, 기본 공속 1.6, 최소 공속 0.7’ 같은 성질은 불변이다. 갑옷 역시도 마찬가지다.
상술했듯이 랜다트는 '''(기반 아이템)+(랜다트 옵션)'''의 스펙을 가지고 나오는데, 이게 부위마다 조금씩 다르다. 랜다트 무기는 속성 붙은 기반 무기+랜다트 옵션, 방어구는 속성이 붙지 않은 상태의 기반 방어구[5] +랜다트 옵션, 목걸이 및 반지[6] 는 기반 장신구+랜다트 옵션의 스펙으로 나온다. 무기의 경우, 신속, 신성, 반마법처럼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얻기 힘든 속성이 나올 수도 있다.
이러한 랜다트 옵션들은 다음과 같다. 상충되는 옵션들은 한 장비에 동시에 부여되지 않으며, 어떤 옵션들은 특정 부위에만 붙거나, 붙지 않는다.
무기는 일단 카테고리가 다르거나 티어가 낮으면, 저항이 좋지 않은 이상 버려진다. 만약 마법 사용자라면 지능이 높게 달린 무기를 스위칭 용도로 쓸 수도 있다.
아티팩트 아이템을 획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몇몇 신은 신심이 깊은 신도에게 선물을 하사하기도 한다. 이 때 몇몇 신들은 때때로 아티팩트 아이템을 주기도 한다.
- 상점에서도 종종 아티팩트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다. "골동품(Antique)" 상점은 높은 확률로 아티팩트 아이템을 한두가지 이상 판매한다.
- 획득의 두루마리로 아이템을 빌면 종종 아티팩트가 나오기도 한다. 이 때 확률은 현재 플레이어의 아이템 발견 상태, 그리고 원하는 아이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 그냥 던전 바닥에서 랜덤한 확률로 생성되는 아이템을 주울 수도 있다.
- 몇몇 서브던전이나 미니던전에서는 특정한 아티팩트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법사의 연구소(WizLab) 중 우카드 무의 수도원에서는 항상 고정 아티팩트 "우카드 무의 지팡이"를 얻을 수 있다. 납골당(Crypt) 3층에서는 종종 음에너지 저항이 한 단계 이상 붙은 랜다트 반지가 3개씩 생성되기도 한다.
- 0.25 버전에서 랜덤 아티팩트 갑옷에 상해(Harm) 옵션이 붙을 수 있게 되었다.
- 0.26 버전에서 Drain이 스킬을 흡수하는 것에서 최대 체력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3. 아이템 생성 확률
일반적인 던전에서 각 아이템이 생성되는 확률은 아래와 같다:
던전 7층 이전에는 마법서, 지팡이, 마법봉의 획득 확률이 1/7로 감소하여 적용된다. 마법서는 0.214%, 지팡이는 0.06%, 마법봉은 0.5%. 감산된 확률은 물약과 두루마리 쪽으로 간다.
잡동사니(Miscs) 아이템은 오직 8층 이후에서만 생성된다. 8층에서 0.6%로 시작하여 한 층마다 생성 확률이 0.03%씩 증가한다. 이 때 감산된 확률은 다른 아이템의 출현확률에 더해진다.
7레벨 이상의 마법서, 지팡이, 마법봉은 1.5%가 아니라 0.214% 확률로 생성된다(1/7). 8레벨 이상의 마법서는 0.03%, 9레벨 마법서는 0.004% 확률이다.
예외로 오크 광산(Orcish Mine)에서는 항상 금화만 생성된다. 지옥, 슬라임 굴, 만신전에서는 아무 아이템도 생성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던전에는 층마다 6~36개의 아이템이 떨어져 있다. 5층 이후 던전에서는 0.2% 확률로 11~100개의 아이템이 떨어져 있는 층이 생성될 수 있다. 각 서브던전 마지막 층이나 몇몇 특수한 지형에서는 더 많은 아이템이 생성되기도 한다.
- 특수한 보물창고 지형이 아닌 이상, 아티팩트 아이템은 오직 3층 이후에서만 생성된다.
- 살육 반지(Ring of Slaying)는 일반 반지에 비해 생성확률이 1/3로 낮은 편이다. 즉 더 희귀하다.
2. 장비 아이템
2.1. 무기 (Weapon)
'''무기(Weapon)'''는 적을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게 해주는 아이템이다. 대부분 무기는 비-원소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어떤 몬스터가 상대든 안정적으로 딜을 넣을 수 있다 (설령 AC가 높은 몬스터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속성(Brand)이 부여된 무기는 일반 무기보다 더 큰 대미지를 줄 수 있다. 무기는 크게 '''근접 무기'''와 '''원거리 무기'''로 나뉜다.
단순히 크고 무거운 무기를 장비하는 것만이 정답은 아니다. 초보자가 곧잘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가 대낫(Scythe)이 공격력이 높답시고 덥썩 집어드는 것인데, 이 대낫은 대미지가 할버드보다 고작 1 높은 주제에 공격하는 데는 기본 2턴이 걸리고 최소공속을 찍는 데는 스킬 레벨이 26이나 필요한 완벽한 함정 아이템이다. 공속이 뭔지 알지 못하는 초보자는 강한 무기를 장비했는데 어째서 몬스터가 아까보다 더 세게 느껴지는 건지 어리둥절해하다 횡사하곤 한다.
무기 대미지 공식에는 많은 요소가 작용한다. 그 중에서도 무기 '''대미지'''와 '''공격 속도'''는 대미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무기에 해당하는 스킬 레벨이 올라가면 대미지와 공격 속도가 향상된다(다만 공격 속도는 무기마다 하한선이 있다). 대체로 전사 캐릭터는 주력 무기 스킬은 최소 공속을 찍는 레벨까지만 올려두고 이후 방패술/갑옷술/회피술/전투 기술 등에 집중 투자하는 식으로 육성한다. 최소 공속 레벨을 초과해 무기 스킬을 올리면 공속은 더 이상 빨라지지 않고 대미지만이 증가하는데, 이 효율이 줄어들기 때문에 중반부엔 방어 스킬 쪽의 투자 비중을 늘리는게 전투력 증강에 보다 도움이 된다. 무기의 '''강화 수치 (enchantment)''' 역시 대미지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사용할 무기가 한손 무기냐, 쌍수 무기냐도 중요한 점이다. 한 손 무기는 대미지가 낮은 대신 남은 한 손으로 방패를 장비해 생존력을 도모할 수 있다. 양손 무기는 대미지가 높지만 방패를 장비할 수 없어 딜은 세지만 몸빵이 불안하다 (예외로 포미시드는 팔이 4개라서 양손무기와 방패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다).
무기 종류에는 단검, 장검, 도끼, 둔기, 창, 봉, 활, 석궁, 슬링, 투척무기가 있다. 이러한 무기들은 종류별로 특징이 다 다르다. 단검은 공속이 빠르지만 대미지가 낮고 암습 보너스 대미지가 무지막지하며, 도끼는 자체 대미지는 낮지만 범위 공격을 펼칠 수 있고, 창은 사정거리가 2칸이며, 봉은 얻기 힘들고 종류도 적지만 단검을 제외하고 모든 근접무기 중에서 유일하게 신속 브랜드를 달 수 있다. 소형 종족은 양손무기 착용이 불가능하지만, 봉류 무기만은 예외기도 하다. 슬링은 대미지가 낮지만 전부 한손무기라 방패와 함께 사용할 수 있고 방패 패널티를 받지 않는다. 활은 대미지와 공속이 괜찮지만 전부 양손 무기라 방패와 함께 사용할 수 없고[16] , 석궁은 대미지가 흉악하지만 공속이 막장이다.
하지만 적을 쓰러트리는 데 무기가 반드시 필요하진 않다. 맨손 격투 스킬을 수련하면 주먹, 이빨, 발톱, 꼬리 등 맨몸으로도 효과적으로 적을 사살할 수 있다. 마법사들은 주문을 시전하여 불덩이와 얼음덩이를 만들어내 몬스터를 말살시킨다. 로드, 마법 지팡이는 무기와 같은 슬롯에 장비되지만 크롤에서는 무기가 아니라 다른 분류로 구분된다.
무기 간에는 교차훈련 효과가 존재한다. 주 무기 경험치의 40%[17] 가 해당 무기에 추가로 제공된다. 교차훈련 가능한 무기를 즉시전력으로 쓸 수 있다는 것은 상당한 메리트.
- 강화 수치
무기는 무기 강화의 두루마리(Enchant weapon)로 강화할 수 있다. 무기 강화 두루마리를 쓰면 한 무기를 최대 +9까지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 강화무기는 대미지+9, 정확도+9 효과를 받는다. 아티팩트는 +9를 초과한 강화수치를 달고 나올 수도 있다. 여기에 해당하는 픽다트드른 플루토늄검(+11), 흑요석 도끼(+14), 에오스(+10), 어둠의 망치(+10), 저주의 대낫(+13), 자두 글레이브(+12).
2.1.1. 크기
무기의 ‘크기’란 해당 무기가 얼마나 작고 큰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가령 스프리건, 코볼드, 하플링처럼 몸집이 조그마한 종족은 ‘대형’ 무기를 장비할 수 없다. 혹은 데몬스폰이나 인간 같은 중형 종족은 한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기가 소형 종족에겐 양손 무기 판정을 받기도 한다. 거대 종족은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종류엔 제약이 없다(다만 다른 부분에서 제약을 받는다).
같은 무기라도 한 손으로 장비했을 때와, 양손으로 장비했을 때 크기를 달리 판정한다.
한손 무기를 양손으로 장비했다면 크기를 한 단계 낮춰 취급한다. 양손무기는 한손으로 쥐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이런 판정이 무의미하다. '''무기 문서에서 이르는 ‘크기’는 한손 무기는 한손 장비 시를 기준으로, 양손 무기는 양손 장비 시를 기준으로 표기한다.'''
몸 크기가 작은 스프리건, 하플링, 코볼드는 대부분의 대형 무기를 장비할 수 없다[종류] (봉류 무기는 예외다. 전부 대형 크기지만 장비할 수 있다). 스프리건, 하플링, 코볼드에게 이중검, 브로드 액스, 삼지창, 악마의 삼지창, 트리슐라, 마법 지팡이는 양손무기 판정을 받는다.
중형 종족은 모든 무기를 착용할 수 있지만, 거대 몽둥이(Giant club)와 가시박힌 거대 몽둥이(Giant spiked club) 만은 예외다. 이 두 초대형 무기는 대형 종족인 오우거, 트롤만이 장비할 수 있다.
2.1.2. 무기 속성 (Brand)
무기 속성(Brand)은 무기에 부여되는 특수한 부가효과를 일컫는 말이다. 무기 속성은 대개 대미지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무기 속성은 강화 수치(enchantment, -X 내지 +X 등)와는 별개의 개념이다. 어떤 무기의 강화 수치를 증가시키려면 무기 강화의 두루마리(Scroll of enchant weapon)를 사용하면 되지만, 어떤 무기에 속성을 부여하려면 무기 속성 부여의 두루마리(Scroll of brand weapon)를 사용해야 한다. 대개 무기를 강화하는 것보다는 무기에 속성을 부여하는 쪽이 더 어렵다.
한 무기는 한 번에 하나의 속성만을 가질 수 있다(다만 몇몇 몬스터들의 공격은 예외다). 모든 아티팩트 무기는 랜다트와 픽다트를 불문하고 반드시 속성이 부여된 채 생성된다. 무기를 장비하면 무기 속성은 자동으로 감정된다.
맨손 격투가는 무기 속성으로 인한 이득을 볼 수는 없으나, 대신 각종 돌연변이로 인한 보너스 대미지를 누릴 수 있다.
특정 무기에 속성을 부여하는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무기 속성 부여의 두루마리(Scroll of brand weapon)를 특정 무기에 사용한다.
- 고통스러운 상처(Excruciating Wounds) 마법을 쓰면 고통 속성을 일시적으로 무기에 부여할 수 있다. 다만 그 무기는 아티팩트가 아니어야 한다.
- 샤이닝 원, 키쿠바쿠드하, 루고누 신도는 일정 신앙을 충족하면 무기에 축복이나 저주를 내려달라고 신에게 부탁할 수 있다. 샤이닝 원은 신성한 분노, 키쿠바쿠드하는 고통, 루고누는 왜곡 속성을 부여해준다. 원거리 무기에도 부여할 수 있으며, 활이나 석궁 등에 신성·고통·왜곡을 붙이려면 이 방법밖에는 없다.
- 좀은 때때로 무기에 혼돈 속성을 부여한다. 물론 꼭 플레이어의 무기에 부여해준다는 건 아니다.
2.2. 방어구 (Armour)
2.3. 반지 (Ring)
2.4. 목걸이 (Amulet)
2.5. 고정 아티팩트 (Fixedart/Unrandart)
3. 소모 아이템
3.1. 물약 (Potion)
3.2. 두루마리 (Scroll)
3.3. 음식 (Food)
3.4. 탄환 (Ammunition)
3.5. 금화 (Gold)
4. 발동 아이템
4.1. 마법봉 (Wand)
4.2. 지팡이 (Staff)
4.3. 잡동사니 (Miscellaneous)
5. 기타
5.1. 마법서 (Book)
5.2. 설명서 (Manual)
설명서(Manual)는 특정 스킬에 대한 적성에 +4 보너스를 주는 아이템이다. 설명서를 인벤토리에 가지고 있기만 하면 효과는 자동으로 적용된다. 각각의 설명서는 경험치 제한이 있다. 설명서를 소지한 상태에서 일정 경험치를 얻으면, 그 설명서는 파괴된다. 설명서는 대개 2000~3000 스킬 포인트를 가지고 나온다.가지고 있으면 특정한 기술(스킬)을 효과적으로 수련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값진 책이다.
다른 종류의 설명서를 가지고 있다면 그 효과는 중복되어 나타난다. 가령 전투 기술의 설명서와 장검술의 설명서를 가지고 있다면, 전투 기술 +4 보너스와 장검술 +4 보너스는 동시에 적용된다.
가끔 책 상점에서 팔지만 대개 가격이 1500 골드 전후로 비싼 편이다. 비밀 보물창고에서 가끔 설명서 테마가 나온다.
획득의 두루마리에서 책을 빌면 때때로 설명서가 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마법사나 마전사라면 설명서보다는 마법책이 더 자주 나올 것이다.
팁으로 Init.txt[18] 에서
를 입력하면, 어떤 설명서를 전부 사용했을 때 알림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스킬 수련을 보다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 0.9 버전 이전에서 설명서의 스킬 보너스 시스템은 지금과는 상당히 달랐다.
- 0.13 버전 이전에서는 한 번에 한 개의 설명서 효과만 적용되었다. 설명서를 읽음으로써 효과를 활성화할 설명서를 정할 수 있었다.
- 0.27 버전에서 마법서처럼 먹는 즉시 효과를 적용받고 아이템이 사라지도록 변경되어 편의성이 강화되었다.
6. 룬 & 조트의 오브 (Rune & Orb of Zot)
이 게임을 클리어하기 위해 필수적인 아이템. 다른 아이템과 달리 습득해도 인벤토리 창을 차지하지 않는다. 자세한 사항은 룬 문서 참조. 조트의 오브 역시 이 문서 참조.
[1] 예시: 치료/탈출 계열[2] 육식성 종족 - 고기식량 등[3] 획득의 주문서 등[4] 돌연변이의 물약 등[5] 반사, 대마법사, 질주 등이 랜다트에 방어구에 절대 붙지 않는 이유다.[6] 반지는 랜다트 옵션 상당수가 기반 아이템과 겹치기 때문에, fire/ice/wiz가 아니면 기반 아이템 확인이 불가능하다.[7] 1~3단계[8] 나가 꼬리갑옷 제외[9] 부식과 양립 불가[10] 나가 꼬리갑옷 제외[11] 무기 제외[12] 반마법 무기 제외[13] 방어구 전용. 기반 목걸이가 재생 목걸이인 랜다트 재생 목걸이와는 다르다.[14] 순간이동-과 양립불가[15] 원거리 무기 제외[16] 한 손으로 활을 쥐고 한 손으로 시위를 당겨야 하니까.[17] 주무기 기술 27레벨 기준 교차훈련으로 제공되는 기술 레벨이 18.7레벨이다. 27레벨까지 누적이 29750이고 18.73까지의 누적이 11900이기 때문에 정확히 40%.[종류] 대검, 삼중검, 다이어 플레일, 대형 메이스, 배틀액스, 처형자의 도끼, 할버드, 글레이브, 바르디슈[18] 돌죽 게임 폴더 내의 Settings 폴더에 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