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트아크/생활
1. 개요
메인스토리를 진행하다 레이크바의 메인퀘스트를 따라가다보면 처음으로 생활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생활 레벨은 낚시, 벌목, 채광, 채집 등으로 경험치를 얻을 수 있으며 일부 퀘스트 보상으로도 생활 레벨 경험치가 주어진다. 이 외에도 만렙을 찍은 후 플래티넘 필드라는 생활전용 필드로 이용권을 소모해 이동하여 생활만을 즐길 수도 있다.
채집기술은 채광/채집/벌목/낚시/수렵/고고학으로 나눠지며 스킬들은 1/10/20/30레벨 스킬로 간소화되었다. 시즌 2에서 개편 되면서 모든 스킬을 마스터 가능하게 되었고, 생활 스킬은 원정대 공유가 되며 시즌 1 생활 레벨 50이었으면 모든 생활 스킬 레벨이 22에서 시작하게 된다.
대부분의 생활 스킬 사용은 생명의 기운을 소모하며 특히 생활 재료를 얻을 수 있는 모든 스킬은 생명의 기운을 소모한다. 생명의 기운은 원정대 공유이며, 10분당 회복량이 30(베아트리스의 축복 적용 시 33)으로 매우 저조하다(10분마다 채집 1번이면 소모된다). 덕분에 생명의 기운을 소모하는 것이 숙제에서 없어졌고(며칠 동안 모아둔 것을 1시간이면 다 소모한다. 골든 핑거나 달빛 채광사 버프를 받는다면 더더욱 빠르게 소모되며, 마리샵이나 이벤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도약의 정수가 있다면 훨씬 더 빨라진다.) 생활기술을 모두 다 사용하기 위해 부캐를 여러개 종류별로 키울 이유도 없다. 다만 영지의 발전과 배틀아이템 제작, 융화 재료 등을 제작하기 위해서 하기는 해야 한다. 생활의 기운이 부족하면 플래티넘 필드를 이용하자. 플래티넘 필드 안에서는 생활의 기운 소모가 없다.
생활스킬 1레벨이 오를 때 마다 마스터리 스킬이 자동으로 1씩 번갈아가며 오른다.
2. 채집
아르테미스나 루테란 등 초원 지형의 나무 주위에 생성되는 각종 산열매나 약초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재료들로 생명력 회복 물약이나 각성약, 아드로핀 물약 등의 배틀 아이템을 만들 수 있다.
골든핑거는 활력의 정수 5중첩 시 생명의 기운 30을 추가적으로 소모하여 일반/희귀 재료를 더 얻을 수 있고 이동 속도와 채집 속도를 대폭 상승시켜 주는 버프를 제공하는데, 로나운 영지에서 골든핑거가 끊기지 않도록 유지하며 맵을 순회하는 것이 포인트.
2.1. 스킬 목록
2.1.1. 식물 고르기(1레벨)
식물을 채집하여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채집할 때마다 생명의 기운을 30 소모한다.
2.1.2. 식생 전문가(10레벨)
채집의 핵심재료인 버섯류를 채집 가능하게 해준다. 버섯을 채집 못하면 대부분의 배틀 아이템 제작이 불가능하니 빠르게 10레벨을 찍자.
2.1.3. 활력의 정수(20레벨)
채집 시 20초 동안 지속되는 '활력의 정수' 버프가 주위에 생기는데 이를 먹으면 이동속도가 3% 증가한다. 20초 내에 채집을 다시하면 중첩되며 지속시간이 20초로 초기화된다. 5중첩까지 가능. 15%까지 중첩하고 슈퍼아머 판정의 도구를 이용하여 채집하면 매우 빠르게 재료가 모인다. 골든핑거 사용에 5중첩이 필요하다.
2.1.4. 골든 핑거(30레벨)
활력의 정수 버프 5스택이 있어야만 발동이 가능하다. 채집의 속도가 무려 40% 빨라지며 일반/희귀 재료의 획득률과 획득량이 확연히 올라간다. 채집 속도가 매우 빨라져 남이 캐고 있던 버섯을 2회 채집해 완전 스틸이 가능할 정도. 플필에서 버프 유지만 잘하면 동굴 안을 도는 것보다 밖에서 더 많이 희귀 재료룰 얻을 수 있다.
3. 벌목
벌목은 나무를 도끼나 톱으로 베어 아이템을 얻는데, 나무는 일정 시간마다 자라나며 큰 거목일 수록 얻을 수 있는 통나무의 수가 많아지고, 원목이 뜰 확률이 높다. 원정대 영지 연구, 원정대 임무에 필요한 선박을 수리하는 재료인 '통나무', 융화제 재료 중 하나인 '원목'을 얻을 수 있으며, 부가 재료인 테트라/타롤/카일즈/아르보/펠가든 목재들은 영지 장식물을 만드는 데 주로 쓰인다.
[image]
3.1. 스킬 목록
3.1.1. 나무 베기(1레벨)
[image]
기본스킬. 자동 습득되며, 생명의 기운을 45 소모한다.
3.1.2. 벌목꾼(10레벨)
'풍성한'이 붙은 나무를 벨 수 있게 된다.
3.1.3. 급속 성장(20레벨)
[image]
묘목을 벌목할 수 있는 나무로 성장시켜준다. 쿨타임은 5분.
3.1.4. 나무 차기(30레벨)
[image]
나무를 발로 차서 다양한 부산물을 추가로 얻을 수 있으며, 일반/희귀 재료를 획득할 확률이 크게 올라간다. 쿨타임은 5분이며, 생명의 기운 180이 소모된다. 시즌1과 달리 나무차기 쿨타임을 초기화할 수단이 사라져서 예전에 비해 메리트가 상당히 줄었다.
4. 채광
채광은 곡괭이를 쓰거나 채광 폭탄을 사용해 광석을 부수는 것으로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채광 폭탄을 광석에 사용하면 한 번만 곡괭이질을 하면 두 번 곡괭이질 한 보상이 나오는 '원석'으로 바뀐다. 광역기 판정[1] 이며, 광석들을 한 번만 캐면 되는 원석으로 바꿔준다. 또한 스피다 섬의 알을 깨거나, 5번 채광해야 깨지는 플래티넘 필드 1시쪽 암석지대 파괴에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곡괭이질이 아니라 도구에 붙어 있는 '곡괭이질 시 슈퍼 아머' 옵션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공격을 받으면 취소된다. 융화제의 재료인 '공작석'과 원정대 영지 연구, 원정대 임무에 필요한 선박을 수리하는 재료인 '산화철'을 얻을 수 있다.
4.1. 스킬 목록
4.1.1. 곡괭이질(1레벨)
기본 스킬. 광물을 캐서 채광물을 얻을 수 있으며, 한 번 재료를 획득할 때마다 35의 생명의 기운이 소모된다.
4.1.2. 퍼펙트 타이밍(10레벨)
채광시 일정확률로 QTE이 발생해서 이때 G키를 누르면 희귀 재료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채광 시 확률적으로 퍼펙트 타이밍이 발생한다.
해당 시점에 지정된 키(G)입력에 성공하면 희귀 재료를 획득할 수 있다.
"타이밍만 맞는다면 곡괭이 한자루로 산 하나쯤은 거뜬하다구!"
4.1.3. 달빛 채광사(20레벨)
채광할 때마다 내구도가 더 빠르게 닳고, 생명의 기운이 30씩 추가로 소모되는 대신 획득하는 재료의 양과 질이 올라간다.토글 스킬로 사용 할 때 마다 활성화/비활성화 된다. 활성화 시 생명의 기운 및 내구도 소모량이 증가하지만, 일반/희귀 재료의 획득 확률이 증가한다.
"전설적인 광부였던 달빛채광사의 비기 입니다. 그의 이야기를 언급하자면 50일 밤낮으로도 부족하지요."[2]
4.1.4. 채광 폭탄(30레벨)
곡괭이질은 2번 채광을 해야 하지만, 채광 폭탄은 광석을 원석으로 만들어 한 번에 채광할 수 있게 해준다. 필요횟수에 상관없이 무조건 한번에 부숴버리므로 플래티넘 필드 1시에 있는 암석지대를 한번에 부숴버리는데에는 매우 유용한 스킬이다. 스피다 섬에서도 알을 깨는 데 유용하기 때문에, 이 스킬이 있는 채광 30레벨 이상 유저들을 모으는 팟도 있다.채광 폭탄을 설치해 범위 내 광물을 순식간에 터트린다.
착용중인 채광 도구를 1개 소모한다.
"한번에 최대한 많은 광물을 터트리는게 노하우라고."
참고로 채광폭탄으로 아무것도 터뜨리지 못할 경우 달성되는 업적 '폭탄은 왜 쓴거지'가 있다.
5. 수렵
습득 후 수색이라는 스킬을 활성화하면 주변에 흔적이 남고, 이 자리에 마체테를 던져 조그마한 수렵동물들을 잡아 가죽 등의 아이템을 얻는 스킬이다[3] .
수렵 20레벨이 되면 덫을 깔아 시간이 지난 후 아이템을 획득할 수도 있고, 30레벨이면 거대한 동물의 자취를 발견해 특수 던전에서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덫을 회수하려면 생명의 기운이 무려 1000씩이나 소모된다.
추적 스킬은 가끔 얻게 되는 동물의 흔적을 추적하다 짙은 흔적과 상호작용하면 특정 맵으로 진입할 수 있는데, 이 곳에서 만나는 황금 토끼를 잡으면 모든 종류의 살코기를 약간씩 준다.
5.1. 스킬 목록
5.1.1. 투척(1레벨)
기본 스킬. 갈무리 시 생명의 기운 84를 소모한다. 땅에 꽂힌 모양을 보면 영락없이 커틀라스인데 마체테를 투척한다고 설명이 나와있는 스킬. 거기에 분명히 맞으면 이동속도가 느려진다고 나와있지만 토끼들은 모두 1방이라 체감이 안되며 케투스들은 체력이 2방에다 한 방 맞으면 오히려 이동속도가 빨라진다(...). 수렵러들을 매우 빡치게 만드는 스킬인데, 이동하던 중에 사거리의 끝자락에 스킬을 시전시 캐릭터가 멈칫하며 아무 행동도 안하는 경우가 '''매우매우''' 잦다. 익숙해지기 전까지, 아니 익숙해지는 것이 도무지 불가능한 판정으로 보인다.
5.1.2. 수색(1레벨)
기본 스킬. 토글 스킬이며, 활성화하면 사냥감에게 징표가 표시되어, 보다 쉽게 대상을 찾을 수 있다.
5.1.3. 사냥꾼의 눈(10레벨)
'''필수 스킬이자 수렵의 생명줄'''
기본 스킬. 수렵을 조금만 해보면 알겠지만 맵에 표시가 되는 광석이나 약초들과 달리 토끼들은 표시가 되지 않아 찾기 쉽지 않을 때가 적지 않다. 이 스킬을 찍고 추적을 켜면 채광, 식물채집의 채집물 위에 표적마크가 뜨면서 그 채집물을 채집하려 시도하면[4] 수렵 대상이 튀어나와서 도망가기 시작한다. 요리 재료에 필요한 고기들을 확정적으로 주는 고양이 모습을 한 캐투스는 무조건 추적에서만 뜨고 필드에서 자연 스폰이 되지 않는다.
5.1.4. 덫 사냥(20레벨)
필드 곳곳에 덫 문양이 있는 곳에 설치할 수 있다. 5분이 지나면 수확이 가능하다. 생활의 기운을 무려 1000씩 소모하므로 시간 여유가 되면 그냥 그만큼 토끼를 사냥하는 것이 이득이다.
5.1.5. 추적(30레벨)
토끼 사냥 시 간혹 나오는 아이템을 사용하면 사냥감의 흔적을 찾을 수 있고, 짙은 흔적과 상호작용하면 특정 맵으로 이동하여(비밀지도 취급을 받는다.) 황금 토끼를 잡아 요리 제작에 필요한 모든 종류의 살코기를 조금씩 얻을 수 있다. 신월의 섬이나 메르시아에서 가끔 뜨는 추적용 단서를 활용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6. 낚시
낚시는 지정된 낚시터(지도에 보면 낚싯바늘 아이콘이 있는 곳)에서 가능하다. 간단한 미니게임을 거쳐 물고기를 낚을 수 있으며, 생활스킬 중 미끼 뿌리기를 배우면 물에 미끼를 뿌려 생명의 기운 44를 추가 소모하는 대신 황금 물고기가 낚일 확률을 증가시켜주는 '대물 출현' 버프를 얻는다. 낚시가 성공할 때마다 낚시 속도를 약간 높이는 버프를 받을 수 있는데, 이 버프가 다섯 번 중첩되면 그물을 던질 수 있다. 그물낚시에 성공하면 대량의 물고기를 획득 가능하다. 또한 다른 스킬들과 달리 채집물을 찾아 이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활레벨을 가장 빨리 올릴 수 있는 생활스킬이기도 하다.
시즌2가 열리며 생활이 개편된 이후로도 한곳에서 파밍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어디간 게 아니라서 여전히 인기가 많다. 물고기는 요리 제작에 필요한 재료이며, 융화제 제작에 꼭 필요한 진주 시리즈를 얻을 수 있다는 점도 좋다.
6.1. 스킬 목록
6.1.1. 찌낚시(1레벨)
기본 스킬. 물고기가 있는 물 위에 커서를 올려 스킬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한 번 더 사용하면 낚싯대가 회수된다. 느낌표가 뜬 뒤 낚싯대를 회수하면 물고기와 진주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느낌표가 뜬 뒤 일정 시간 이상 회수하지 않으면, 캐릭터가 발을 구르는 모션과 함께 자동적으로 낚싯대가 회수되며 보상을 얻을 수 없다. 보상을 한 번 획득할 때마다 생활의 기운을 44 소모한다.
6.1.2. 미끼뿌리기(10레벨)
미끼를 뿌려 '대물 출현' 버프를 얻으며, 찌낚시 때마다 생명의 기운 44를 추가 소모하는 대신 황금 물고기가 등장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100% 황금 물고기만 나오는 것이 아니며 생기를 추가 소모하면서 일반 물고기를 낚게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시즌1처럼 발동 시 추가 재료를 요구하진 않지만 사용하기 껄끄럽다.
6.1.3. 통발낚시(20레벨)
수렵기술의 덫처럼 5분 동안 설치 후 회수 시에 530의 생명의 기운이 소모되며 다량의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시간이 촉박해 설치하고 다른 일을 하는 것이 아니면 차라리 낚시를 530 기운만큼 하는 것이 더 많은 재료를 얻을 수 있다.
6.1.4. 투망낚시(30레벨)
[짜릿한 손맛] 버프 5중첩이 쌓였을 시 이 스킬을 발동해 투망낚시를 할 수 있다. 스페이스 바를 누르며 Perfect나 Great 자리에 최종적으로 바가 위치할 수 있게 조절하여 더 많은 재료를 얻을 수 있는 리듬게임을 할 수 있다. Perfect(주황색)이나 Great(노랑) 위치 바깥은 Good 위치며, 이 둘에 비해 보상이 적은 편이다. Good이 뜰 거 같으면 ESC를 눌러 취소하고 다시 시도하여 Perfect 혹은 Great이 오게끔 조정할 수 있다.
7. 고고학
음파 탐지 액티브 스킬을 사용한 뒤 음파가 나오는 쪽으로 이동하여 탐색하면 유물이 묻힌 장소가 발견되고, 이를 파내면 아이템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있다.[5]
시즌 1에는 어빌리티 스톤을 얻을 경로도 많아지고, 배틀 아이템이나 생활장비 연마재료도 여타 직업과 비교해서 나을 게 없어서 채집 난이도만 높고 실용성은 없는 스킬로 평가받았다. 찬란한 재료의 수급이 제일 잘 된다는 점[6] 과, 상급 특화 물약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긴 했다.
시즌 2에선 도구 제작에 필요한 제작 키트를 얻을 수 있는 핵심 수단이 되었다. 고고학 재료들을 모아 고고학 보물 지도를 만들고, 이 고고학 보물 지도를 통해 제작 키트를 획득하는 식이다. 그러나 제작 키트로 만들 수 있는 숙련가, 전문가, 달인용 도구들은 수리 시 골드를 소모하며 복구 비용도 엄청나기 때문에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만들기엔 효용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전히 어빌리티 스톤도 만들 수 있지만, 3티어 어빌리티 스톤 제작은 영웅이 한계이며 영웅 어빌리티 스톤은 다른 컨텐츠들을 통해서도 많이 얻을 수 있다. 때문에 실용성이 애매한 점은 시즌1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래도 고고학 사용 중에만 얻을 수 있는 세계수의 잎 포인트들이 있으므로, 세계수의 잎 수집을 원한다면 울며 겨자먹기로 할 수밖에 없다.
7.1. 스킬 목록
고고학은 1레벨에 쓸 수 있는 스킬이 2개이다.
7.1.1. 유물탐색(1레벨)
재사용 대기 시간 7초. 주변에 있는 유물을 발견한다. 그냥 쓴다고 유물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밑에 항목에 음파탐지로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한 다음에 써야 유물을 발견할 수 있다. 발견 대상자에게 7초간 접근 권한이 부여되며, 이 접근 권한 유지 시간 내에 땅파기를 하면 62의 생명의 기운을 소모하며 보상을 얻을 수 있다.
7.1.2. 음파탐지(1레벨)
재사용 대기 시간 7초. 유물을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를 띄운다. 소리를 통해 현재 위치에서 유물이 있는 쪽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유물에 가까워질수록 레이더가 자주 반응하며 색깔도 파란색으로 짙어진다.
7.1.3. 트레져 헌터(10레벨)
유물 조사 시 보물 상자를 획득할 확률이 증가한다.
7.1.4. 발굴(20레벨)
숨겨진 유물을 붓으로 조심스레 발굴해낸다. 해당 스킬 획득 시 얻을 수 있는 [고고학자의 감] 버프 5중첩 시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하면 추가 보상을 얻는 미니 게임을 할 수 있다. 생명의 기운 62를 소모한다.
7.1.5. 탐지견(30레벨)
탐지견을 소환해 유물이 있을 만한 장소를 찾아낼 수 있게 된다. 탐지견 소환 중 희귀 재료 획득 확률이 모두 증가한다. 탐지견이 소환된 상태에서 땅파기 시 생명의 기운 62를 추가 소모하며, 탐지견은 스킬 사용 후 120초 동안 유지된 후 사라진다. 소환 시간은 2분인데, 쿨타임이 무려 15분이나 된다.
[1] 채광용 폭탄을 사용할 때 나오는 하얀색 원 범위에 있는 모든 광석을 부숴버린다.[2] 달빛조각사는 50권을 넘긴지 오래다.[3] 주위 광석이나 식물 등에 표적마크가 떠있으며, 이것들을 채집하려는 활동을 하면(채집을 완료하지 않아도 된다) 동물이 거기서 튀어나와서 도망간다. 통상 토끼이며 가끔 고양이같이 생긴 케투스라는 생물이 도망갈 때가 있다. 케투스는 마체테 2번을 던져야 하는데 1번 맞으면 이동속도가 빨라져서 쉽지 않다.[4] 굳이 채집을 완료하지 않아도 된다. 0.1초 동안이라도 채집을 시도하면 바로 수렵 대상이 튀어나온다.[5] 다른 채집기술과 다르게 고고학은 채집 오브젝트가 음파 탐지 스킬을 이용하지 않으면 찾을 수 없다.[6] 당시 찬란한 재료는 교환이 되지 않아 본인이 직접 얻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