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격포(클래시 오브 클랜)

 



1. 개요
2. 상세
3. 업데이트 내역


1. 개요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레벨
7레벨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레벨
13레벨
'''다중 박격포'''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레벨
13레벨

박격포는 광역 피해를 주는 포탄으로 적 무리를 쓸어버립니다. 너무 가까이 접근한 적은 공격할 수 없습니다!

공격 유형
원거리 스플래시 표적(지상)
공격 속도
5초
사거리
4~11칸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레벨
13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
8000
3.2만
12만
40만
80만
160만
320만
500만
700만
900만
1100만
1200만
1450만
업그레이드 시간
3시간
8시간
16시간
1일 12시간
2일 12시간
3일
4일
5일
6일
10일
12일
14일
16일
초당 공격력
4
5
6
7
9
11
15
20
25
30
35
38
42
공격 당 대미지
20
25
30
35
45
55
75
100
125
150
175
190
210
체력(HP)
400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80
1100
공격력/체력 증가량
-
1/50
1/50
1/50
2/50
2/50
4/50
5/50
5/50
5/50
5/50
3/80
4/120
요구 마을 회관 레벨
3
4
5
6
7
8
9
10
11
12
13
마을 회관 레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건설 가능 건물 개수
0
1
2
3
4

2. 상세


CoC판 공성 모드 공성 전차/캐논 타워. 사거리가 굉장히 길고 한 방이 꽤 강력한 대신 공격 속도가 5초로 매우 느리며 약간의 최소 사거리가 존재하는데 최소 사거리 안에 있는 유닛은 공격할 수 없다. 게다가 모든 방어 시설 중에서 체력도 매우 낮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배치 안쪽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게 된다.
4홀까지는 박격포의 업그레이드 우선순위가 높고 마법사 타워를 건설할 수 있게 되는 5홀에서도 여전히 위력을 과시한다. 10홀부터는 취급이 안 좋아지지만, 풀업 기준으로 데미지는 마법사 타워의 정확히 절반. '''7레벨 박격포'''는 모든 레벨의 아처를 한 방에 처치하며, 8레벨 박격포는 만렙 그랜드 워든의 효과도 무시하고 반드시 일격. 박격포를 업그레이드하면 '''마녀와 소환된 해골, 마법사, 볼러'''를 빨리 저격할 수 있다. 3레벨 볼러는 11레벨 박격포 2방에 폭사하게 된다.
이것도 대포와 마찬가지로 공중 유닛은 공격할 수 없다. 그리고 상술했듯이 만랩 기준 방어 시설 중 바람 방출기 다음으로 체력이 낮아 번개 마법 두 방에 파괴될 수 있다. 하지만 박격포가 남아있으면 다수의 병력, 특히 아처들이 순식간에 날아가기 때문에 공격 측에서는 위치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방어 측 입장에서는 괜찮은 사거리와 범위, 공격력으로 적절한 곳에 배치만 하면 다수의 적을 쉽게 처치할 수 있다. 특히 체력이 낮고 다른 유닛보다 고정된 위치에서 공격하는 아처에게는 그야말로 천적으로, 박격포 한 방에 뭉쳐있는 아처 수십 명이 한방에 몰살당하는 장면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표기된 공격력은 낮아 보이지만, 어디까지나 DPS로 계산되는지라 5초에 한 번 공격하는 박격포는 1타 공격력이 초당 공격력의 5배이므로 생각보다 높다. 그리고 바바리안, 아처, 고블린, 월브(해골 돌격병)를 타격하면 해당 유닛을 넉백시킨다. 따라서 아처를 포함한 조합으로 파밍할 때에는 박격포의 레벨에 따른 외형 변화를 미리 숙지하는 것이 좋다.[1]
6홀 이하에서는 그야말로 바쳐, 자바쳐 조합의 방어의 중추 시설이지만, 7~9홀에는 DPS가 높은 방어타워가 많아지면서 파밍용으로 바처 조합으로 자원을 터는 것을 막는 용도만 사용되고 클랜전에서는 조금 밀리기 시작한다. 또한 10홀 이후가 되면 석궁과 인페르노 타워, 독수리 포탑을 더 안쪽에 배치해야 하고, 무엇보다 후반에는 체력이 높은 유닛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병력들에게 피해를 쥐꼬리만하게 주는 박격포는 대포보다도 밖에 내버려져 '''다른 건물들을 위한 벽에 불과해지는''' 굴욕을 겪게 된다. 물론 그건 박격포 상향 이전의 이야기이며[2] 현재는 박격포가 지상 유닛에 꽤 큰 피해를 준다. 만렙 박격포는 DPS가 42로 7레벨 법사타워보다 강력하다.
물론 극후반에서도 아예 쓸모없는 방어타워는 아니고 한방 데미지가 꽤 쌔기 때문에 외각에서 길정리하고 있는 볼러나 마법사에게도 꽤 큰 피해를 주며 광역 범위가 은근 넓기 때문에 월브레이커도 몰살되는 경우가 잦다.
처음에는 작은 돌을 발사하지만, 업그레이드할수록 바위(2, 3레벨) → 포탄(4, 5레벨) → 빨갛게 달궈진 포탄(6, 7레벨) → 불덩이(8레벨) → 운석(9, 10레벨) 순으로 발사한다. 만렙 시 발사하는 포탄에서 붉은 빛이 난다. 8레벨부터는 포구 내부에서 붉은 빛이 난다.
낮은 레벨에서는 DPS 상승이 미미하지만, 7레벨부터 급격히 DPS가 상승하기 시작해 11레벨 박격포는 6레벨 박격포의 세 배를 넘는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12레벨부터 상승치가 약해진다.
건설 및 업그레이드 총 소요 시간은 75일 3시간이며 누적 비용은 6466만 골드.
기타로 다중 박격포모드상태에서 운이 좋으면 첫번째 탄에 넉백이 풀릴때 세번째탄을 맞아 다시 넉백돼서 2~3초동안 아무것도 못하는 유닛들의 모습을 볼수도 있다.(바바리안, 아처, 해골돌격병, 도둑 고블린, 해골만 해당)[3]

3. 업데이트 내역


2014년 10월 23일 패치로 최대 건설 가능 개수가 3에서 4로 늘어남으로써 8홀에서 박격포를 총 4개까지 지을 수 있게 되었다.
건설 및 업그레이드 총 소요 시간은 49일 20시간, 누적 비용은 2716만 골드. 5레벨 정도까지는 시간 대비 비용이 조금 낮은 편이다. 능력치는 6레벨 까지는 5씩, 7레벨은 10, 8레벨 이후는 15씩 일정하게 오른다.
2016년 3월 21일 업데이트로 9레벨 박격포가 추가되었다. 11홀에서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2016년 10월 13일 업데이트로 10레벨 박격포가 추가되었다. 8, 9레벨 박격포의 공격력이 상향되고, 업그레이드 비용과 시간이 줄었다.
2018년 3월 업데이트로 장인 기지 레벨 8이 추가되면서 장인기지의 8레벨 이상 다중 박격포를 보유 시 기본마을의 8레벨 이상의 박격포를 개조할 수 있게 되었다.[4] 800만골드에 '''14일(!!!)'''이 소요된다. 무려 2주 동안 마스터 장인을 쓰지 못하게 되니 건물의 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중 박격포가 되면 포탄 3발을 연사할 수 있게 된다.
2018년 6월 패치로 11레벨 박격포가 추가되었다.
2019년 2월 패치로 박격포의 DPS가 상향되었다. 11레벨 박격포의 DPS는 이전의 150% 수준.
2019년 6월 패치로 12레벨 박격포가 추가되며 11레벨 박격포 업그레이드 시간이 14일에서 12일로 짧아진다.
2020년 3월 패치로 13레벨 박격포가 추가되며 11레벨 숨겨진 뇌전탑과 체력이 동일해진다.

[1] 1~6레벨의 구별법을 말하자면 금띠가 없고 양옆에 1개의 톱니 모양이 나온 것은 1레벨, 황금색 띠 하나가 둘러져 있고 양옆에 3개의 톱니 모양이 나온 것은 2레벨, 2레벨의 외형에서 3개의 톱니가 1개의 톱니가 된 것은 3레벨, 2개의 금띠가 둘러져있는 것은 4레벨, 두 개의 금띠가 합쳐져 완장처럼 두꺼워진 것은 5레벨, 금칠이 완전히 끝난 것은 6레벨이다.[2] DPS가 8레벨이 13, 9레벨이 15였을때의 이야기이다.[3] 아처와 고블린, 해골돌격병, 해골은 체력이 낮아 무적상태가 아니면 넉백되기전에 죽기 때문에 사실상 바바리안과 도둑 고블린만 해당된다.[4] 원래는 대포, 아처 타워처럼 장인 기지 추가 당시부터 업그레이드 칸이 있었고 데이터 상으로 개조된 박격포가 존재했으나, 업그레이드가 가능해진 때가 장인기지 8홀 추가 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