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앗간

 



1. 개요
2. 중세 유럽에서
3. 매체에서


1. 개요


'''방앗간'''은 방아를 이용해 곡식을 짓빻아 가루로 내는 시설이다.
오늘날에는 인력·우마력·수력·풍력 등으로 돌리는 재래 방식의 방아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전기로 가동하는 현대식 분쇄기가 더 많이 쓰인다. 곡식뿐만 아니라 고춧가루를 빻고 각종 기름류를 짜내기도 하며[1] 그 자리에서 떡을 뽑아주기도 한다. 아예 방앗간에서 떡집을 겸업하기도 한다.
토속적인 느낌을 가져오기 위해 이 단어를 상호를 짓는 데 활용하는 음식점도 가끔 볼 수 있다.

2. 중세 유럽에서


중세 유럽의 방앗간은 영주의 직속 시설이었다. 모든 영민들은 의무적으로 방앗간에 이용료를 내고 곡물을 빻아야 했으며, 이 이용료는 고스란히 영주의 수입이 되었다. 반면 방앗간지기는 별도의 수입이 없었기 때문에 영민들이 맡긴 곡물을 빼돌려 먹고 사는 것이 관행이었다.
영민들은 이 이용료에 방앗간지기의 횡령까지 더해지자 손실을 덜기 위해 멧돌 같은 대체재를 이용했지만, 방앗간지기는 이런 '''불법 기구'''들을 적발해 영주에게 신고하는 역할도 담당해야 했다.
그래서 중세 유럽에서 방앗간은 지탄의 대상이었다.

3. 매체에서


킹덤 컴: 딜리버런스에서는 방앗간지기들을 통해 장물을 처분할 수 있다. 이외에도 화폐위조 등 다양한 불법적 돈벌이에 손을 대는 것으로 묘사된다.
[1] 과거에는 기름만 짜내는 기름집들이 따로 있었지만 최근 방앗간과 기름집 모두 수요가 줄어들면서 한곳에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