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품

 


不良品
Defects
1. 개요
2. 생산자 입장에서
3. 소비자 입장에서


1. 개요


잘못 만들어진 제품을 뜻한다. 반대말은 '양품'.
기본적으로 특정 상품에서 양품은 단 한 가지 뿐이지만, 불량품은 정말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외형 파손, 기능 고장, 부속품 누락 등등 불량의 종류는 셀 수도 없다.

2. 생산자 입장에서


공장에서는 불량률을 줄이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과제인데, 불량품을 만들면 재료도 시간도 인건비도 낭비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여러가지 방법을 써서 불량품을 줄이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사람의 손이 닿는 작업은 물론, 기계 작업 역시 불량품이 완전히 없는 경우는 없다. 불량률을 줄이는 것 못지않게 불량 재고를 어떻게든 처리하는 것 역시 심각한 과제이다.

3. 소비자 입장에서


원칙적으로 공장 등에서 출하하기 전에 검사를 통해 소비자의 손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지만, 결국 인간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완벽하지 못한데다가 유통 과정이나 보관 중에 문제가 생겨서[1] 출하 시에는 멀쩡했던 제품이 도중에 불량품이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불량품을 손에 넣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불량품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해서 쓸모가 없기 때문에 외면을 받으며, 반품이나 환불을 시도하는 것이 보통. 불량이더라도 기능에 별 문제가 없으면 그냥 쓰는 경우도 있다. 가끔 사용에는 문제가 없으면서도 아주 특이한 불량품은[2] 레어 아이템 취급을 받기도 한다. 우표같은 수집의 세계에서는 불량품이 초특급 희귀품이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특정 메이커 제품이나 특정 매장에서 구입한 제품에 대해서 불량품을 여러번 접한 소비자의 경우 해당 메이커나 매장에 대해 불신감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많다.
현대 사회는 공장 생상을 배경으로 생활하고 있는 산업 혁명이후의 세상을 살고 있다. 그리고 4차 혁명이후로 소량. 오더 투 메이드의 환경이 형성되면서 점차적으로 이 불량품이 늘어나고 있다.[3]
대형 공장에서 대량만을 생산하는 시기에는 동일한 제품을 한번에 QC를 거침으로서 검사자의 실수와 배송중의 파손을 제외한 문제를 대부분 걸러내었지만 소비자가 원하는 특수한 제품을 소규모로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하나의 공장에서 여러가지 제품을 배출하기 시작하면 검사자는 여러가지 제품을 서로 다른 기준으로 검사해야 하며 점점 QC에 구멍이 생긴다.
또다른 문제로 일단 생산해서 QC를 기본치보다 느슨하게 한후 불만이 있는 소비자를 전부 교체해주는 방식을 채택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다. 소비자중에서는 기능성으로 정상이면 정상으로 판단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외형까지 완벽함을 원하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과거 보다 QC의 질을 떨어트리고 다신 불만을 가지는 소비자에게만 양품을 교체해주면 파기량을 줄일수 있다는 방식이다 미국에서 채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초정말 소규모 가공같은 부분에서 이런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전세계적으로 공산품의 불량률이 증가하는 추세다.
[1] 가령 도자기 제품이 충격을 받아서 모서리가 깨진다거나, 전자제품에 물이 닿아서 고장난다거나 하는 등.[2] 예를 들자면 로고나 문구가 각인이 되어있어야 하는 부분이 그냥 비어있다던가 하는 등의 기능에는 문제가 없으면서 보기드문 불량.[3] 인터넷 쇼핑만 해보아도 예전에 이렇게 불량을 받을일이 많았던가? 하는 의문을 누구나 가질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