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3rd/애니메이션

 




1. 개요
1.1. 1주년 기념 PV 「Reburn」
1.2. 단편 애니메이션
1.2.1. Chapter 8 「여왕강림」
1.2.2. Chapter 9 「마지막 수업」
1.2.3. Chapter 11 「Cyber Angel: ZERO Exception」
1.2.4. Chapter 12
1.2.5. Chapter 14 「천궁의 유성」
1.2.6. Chapter 17 「죄인의 만가」
1.2.7. Chapter 19 「귀환」
1.2.8. Chapter 22 「도진」
1.3. 스핀오프 발키리's 키친


1. 개요


모바일 게임 붕괴3rd의 제작사 미호요가 만든 공식 애니메이션과 주요 감상 포인트들을 모아놓은 문서. 인게임에서도 메인 챕터 진행에 따라 감상이 가능하다.

1.1. 1주년 기념 PV 「Reburn」



삽입곡은 Reburn
'''미호요 최초의 3D 단편애니'''[1] 미호요가 붕괴3rd를 내며 기반을 다진 3D기술의 결정체라고 할만하다. 이때는 왜 백기사에 공간의 율자의 심볼이 달려있나 다들 의아해했는데...'''이것이 사실 매우 중대한 스포일러라곤 아무도 생각못했다. '''
하지만 스포일러와는 별개로 해당 애니메이션의 내용은 본편과는 무관하다.

1.2. 단편 애니메이션



1.2.1. Chapter 8 「여왕강림」



중국어 버전
삽입곡은 Befall
삽입곡 한국어 버전 링크
'''붕괴 유저를 제일 많이 끌어들인 걸작 중의 걸작'''으로 평가 받는다. 이 영상은 붕괴를 몰랐던 유저까지도 끌어들이며 붕괴 유저 증가에 톡톡히 한 몫을 했다. 율자 키아나의 외모와 엄청난 퀄리티로 인해 지금 애니가 많이 나온 상황에서도 넘사벽이라 불린다.

1.2.2. Chapter 9 「마지막 수업」



삽입곡은 Nightglow
'''히메코의 인기떡상의 계기''' 캐릭터 컨셉과 매타가 맞물린 비운의 캐릭터였으나 이 애니 한방에 인기가 떡상했다.

1.2.3. Chapter 11 「Cyber Angel: ZERO Exception」



중국어 버전
삽입곡은 Cyber Angel: ZERO Exception
해당곡은 붕괴학원2의 브로냐 테마곡인 죄의 천사(罪之天使)를 편곡한 것이다.
일어 버전의 중장토끼 목소리는 평가가 좋지 않다.[2]

1.2.4. Chapter 12


'''「제레」'''
'''「브로냐」'''


제레 편 삽입곡은 Dual-Ego
제레편의 경우엔 퀄리티도 좋고 중국 제레성우의 연기력으로 걸작중 하나로 평가 받지만...일본어 번역판 만큼은 평가가 좋지 못하다. 일본 제레성우의 연기도 나름 괜찮았지만 목소리의 갭이 너무 컸던모양...그리고 중국판에선 중국어의 특징덕에 말이 적어서 속도가 그저그랬지만 일본어 판에선 컷이 너무빨라서 대사가 너무빠르기도 했다.
브로냐편은 평가가 그저 그런 편이다. 이번처럼 떡밥이 있던것도 아니었기때문에 그런 듯.

1.2.5. Chapter 14 「천궁의 유성」



삽입곡은 Starfall
'''전세계가 코로나로 휘청일때 작가를 갈아넣은듯한 혼신의 힘을 담은 미호요의 또다른 걸작'''이다 애니메이션의 예고편이 나온후 코로나가 완전히 유행하기 시작하자, 제작진이 코로나땜에 쉬는가 보다하고 그저 받아넘겼지만 이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듼 모양. 여왕강림이 공간의 율자(시린)에 조명을 맞췄다면 이 애니는 키아나, 그러니까 K-423에 집중하는 애니라 보면 된다.

1.2.6. Chapter 17 「죄인의 만가」



중국어 버전
삽입곡은 붕괴세계의 가희
브로냐와 마찬가지로 해당곡은 원래 붕괴2의 라이덴 메이 테마곡이다.
차이점이라면 메이의 경우 원곡 그대로 가져왔다는 점.[3]
번개의 율자 프로모션 용 단편 애니메이션. 일본어 버전은 코로나 때문에 일정 지연이 생겨서 중국어 버전이 나오고 2주 뒤에 올라왔다.

1.2.7. Chapter 19 「귀환」



삽입곡은 불명.
인게임 내에서는 '''챕터 19가 종료된 후''' 마지막에 진행된다. 다른 애니메이션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온전하게 연결되어 있지않고 여러 장면들이 예고편마냥 나뉘어저 나온다는 점이다. 스토리 시점에서 '''앞으로 전개될 사건'''을 보여주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공통적으로 타락한 후카를 상징하는 애니메이션. 일본어 판은 듀란달의 개그더빙으로 인해 유명해졌다.

1.2.8. Chapter 22 「도진」



삽입곡은 Rubia. 가수는 '''남성'''인 주심이다.
예고 영상이나 노래의 분위기로 보아 후카가 완전히 소멸하는 듯 했으나, 더는 누군가가 희생하는 걸 막겠다는 키아나가 후카를 끝끝내 살리는 데 성공한다. 키아나가 후카를 구하러 가는 장면은 에반게리온: 파에서 이카리 신지아야나미 레이를 구할 때의 오마주.
Bilibili에 숙소버전으로도 올라왔다.

1.3. 스핀오프 발키리's 키친



[1] 사실 3D로 애니를 만든건 처음이 아니다. 게임 파일을 다운로드 할때 나오는 3D가 그것, 그러나 그건 그냥 PV에 가깝고 Reburn이 진정한 3D단편 애니로 보는게 맞다. 물론 Reburn도 PV긴 하지만[2] 일어 버전이 나쁜 퀄리티인건 아니지만 중국어 버전은 여성이 말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고 고급지게 들리는대 반해 일어 버전은 80년대 애니메이션애나 나올법한 구닥다리(?) 기계 인공지능 느낌이 물씬 나와서 그런걸로 보인다. 그리고 2020년 7월 현시점에서 중장 토끼 일판 보이스는 게임 상에서 없어졌다.[3] 원래 붕괴 단편 애니 OST들은 단편 애니메이션 주인공들의 심정을 담아서 작곡한다. 때문에 브로냐 때도 죄의 천사를 그대로 쓴 게 아니라 사이버 엔젤로 편곡한 것. 이렇게 된 주된 사태는 아무래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개발에 차질이 빗어져 어쩔 수 없이 타협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단순히 메이 테마이기 때문에 그대로 썼다기 보다는 메이의 심정과 어느정도 일치했기 때문에 쓴 것일 수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