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스크린/오류코드
출처
출처2
1. 개요
윈도우 NT 기반의 운영체제(윈도우 2000~윈도우 10)에서 발생하는 블루스크린의 오류코드를 정리한 문서. 블루스크린의 메세지는 윈도우 XP~윈도우 7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해결 방법의 경우, '''무조건 확신하지 말자.''' 자신의 컴퓨터에 뜬 블루스크린 오류코드가 대부분 메모리 문제여도 정작 진짜 원인은 심각하거나 생각하지도 못한 것 일수도 있기때문에 전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윈도우 8 이상의 경우 부팅 중 오류가 아니라면 '''어떤 오류코드든 전부 같은 메세지로 통일되어 있다.''' 또한 "해결 방법을 온라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라고 표출하기 때문에 굳이 블루스크린에서 해결방법을 찾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윈도우 10 부터는 QR코드도 함께 표시해준다.
2. 일반 오류코드
보편적으로 나오는 블루스크린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하지만 블루스크린 중간에 있는 해결법이 다른 오류코드가 일부 존재한다. 몇몇 블루스크린은 대개'''문제가 발견되어 컴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Windows가 종료되었습니다. '''
'''인터럽트 요청 레벨 허용 한도 초과(IRQL_NOT_LESS_OR_EQUAL)'''
이 오류 화면을 처음 보셨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르십시오:
새로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새로 설치한 경우, 필요한 Windows 업데이트가 있는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제조사에 문의하십시오.
문제가 계속되면, 새로 설치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비활성화 또는 제거하거나, 캐싱이나 섀도잉 등의 바이오스 메모리 옵션을 비활성화하십시오. 구성 요소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는 데 안전 모드 환경에서만 동작이 보장될 경우, 컴퓨터를 수동으로 다시 시작하여 F8 키를 눌러 고급 시작 옵션을 선택한 후, 안전 모드를 선택하십시오.
기술적 정보:
*** STOP: 0x0000000A (0x0227001D, 0x00000002, 0x00000000, 0x804EBA3A)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중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되었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과 연락하십시오.(윈도우 XP)
크래시 덤프 데이터 수집 중...
크래시 덤프를 위한 디스크 초기화 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중:100% 완료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되었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에 연락하십시오.(윈도우 Vista, 윈도우 7)
'''0x0000000A(IRQL_NOT_LESS_OR_EQUAL)의 블루스크린'''
이런 형식으로 해결법이 나온다. 물론 몇몇 오류코드는 이것도 아닌 독자적인 형태의 해결방법을 주기도 한다.디스크 공간이 충분한 지 확인하십시오. 드라이버가 중지 메시지에서 식별되면 드라이버를 비활성화하거나 제조업체에 업데이트 된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비디오 어댑터를 변경해보십시오.
하드웨어 공급 업체에 BIOS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캐싱이나 섀도잉 등의 바이오스 메모리 옵션을 비활성화하십시오. 구성 요소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는 데 안전 모드 환경에서만 동작이 보장될 경우, 컴퓨터를 수동으로 다시 시작하여 F8 키를 눌러 고급 시작 옵션을 선택한 후, 안전 모드를 선택하십시오.
☆: 위에 언급된 형식으로 나오는 오류코드
★: 독자적인 형식으로 나오는 오류코드
※: 블루스크린으로 매우 흔한 유형의 오류코드(기본 형식만)
⑧: 윈도우 8부터 블루스크린으로 나오는 오류코드
2.1. 0x01~0x0F
2.1.1. 0x00000001(APC_INDEX_MISMATCH)
2.1.2. 0x00000002(DEVICE_QUEUE_NOT_BUSY)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3. 0x00000003(INVALID_AFFINITY_SE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4. 0x00000004(INVALID_DATA_ACCESS_TRAP)
0x00000080 과 같이, 일반 오류코드에 일반적인 오류코드가 뜨지만, '''심각하다고 볼수 있는 오류이다.'''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5. 0x00000005(INVALID_PROCESS_ATTACH_ATTEMP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6. 0x00000006(INVALID_PROCESS_DETACH_ATTEMP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7. 0x00000007(INVALID_SOFTWARE_INTERRUP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8. 0x00000008(IRQL_NOT_DISPATCH_LEVEL)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9. 0x00000009(IRQL_NOT_GREATER_OR_EQUAL)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10. 0x0000000A(IRQL_NOT_LESS_OR_EQUAL)※
0x0000001A, 0x00000050, 0x000000D1, 0x0000008E 등과 함께 블루스크린의 양대산맥을 이루는 매우 흔한 코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관리하거나 데이터 입출력, 하드웨어 제어 등의 IRQL 인터럽트 요청 레벨이 너무 높을때 발생하는 오류코드이다. 문제가 되는 드라이버를 재설치 해보거나 메모리(RAM)을 점검해 보자.
2.1.11. 0x0000000B(NO_EXCEPTION_HANDLING_SUPPOR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12. 0x0000000C(MAXIMUM_WAIT_OBJECTS_EXCEEDED)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13. 0x0000000D(MUTEX_LEVEL_NUMBER_VIOLATION)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14. 0x0000000E(NO_USER_MODE_CONTEX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1.15. 0x0000000F(SPIN_LOCK_ALREADY_OWNED)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2. 0x10~0x1F
2.2.1. 0x00000010(SPIN_LOCK_NOT_OWNED)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2.2. 0x00000011(THREAD_NOT_MUTEX_OWNER)
2.2.3. 0x00000012(TRAP_CAUSE_UNKNOWN)
말 그대로 원인을 알 수 없는 오류. 이 오류코드는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도 특별한 원인을 제시하지 못했다.'''
2.2.4. 0x00000013(EMPTY_THREAD_REAPER_LIS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2.5. 0x00000014(CREATE_DELETE_LOCK_NOT_LOCKED)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2.6. 0x00000015(LAST_CHANCE_CALLED_FROM_KMODE)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2.7. 0x00000016(CID_HANDLE_CREATION)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2.8. 0x00000017(CID_HANDLE_DELETION)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2.9. 0x00000018(REFERENCE_BY_POINTER)
2.2.10. 0x00000019(BAD_POOL_HEADER)
2.2.11. 0x0000001A(MEMORY_MANAGEMENT)※
매우 흔한 오류코드이며 주로 메모리 문제이다. 하드디스크의 여유공간을 확보하거나 RAM을 점검하거나 문제가 되는 드라이버를 재설치 해주자.
2.2.12. 0x0000001B(PFN_SHARE_COUNT)
2.2.13. 0x0000001C(PFN_REFERENCE_COUN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2.14. 0x0000001D(NO_SPIN_LOCK_AVAILABLE)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2.15. 0x0000001E(KMODE_EXCEPTION_NOT_HANDLED)☆
커널 모드에서의 예외 발생을 처리하지 못해 발생한 블루스크린이다. 드라이버는 작은 오류만 발견돼도 즉시 블루스크린으로 직행하기에 예외 처리를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게 매우 중요하다.
2.2.16. 0x0000001F(SHARED_RESOURCE_CONV_ERROR)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 0x20~0x2F
2.3.1. 0x00000020(KERNEL_APC_PENDING_DURING_EXI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2. 0x00000021(QUOTA_UNDERFLOW)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3. 0x00000022(FILE_SYSTEM)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생김으로써 뜨지만, 의외로 0x00000024에 비해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4. 0x00000023(FAT_FILE_SYSTEM)★
이러한 해결문구가 뜬다. 윈도우 XP까지만, 그것도 제한적으로 FAT를 시스템 파티션으로 지원해서 비스타 이후로는 안뜰거같지만, 의외로 윈도우 7에서도 뜬다.안티바이러스, 조각모음 유틸리티, 백업 유틸리티를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하십시오. 하드디스크 구성을 확인하고 업데이트된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CHKDSK /F 명령어를 실행하여 하드 디스크 손상을 확인한 다음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2.3.5. 0x00000024(NTFS_FILE_SYSTEM)★
이러한 해결문구가 마찬가지로 뜬다. 다른 파일시스템 관련 오류코드는 그리 흔하지 않게 뜨지만, 얜 매우 흔하다. NT계열 윈도우 99%가 시스템 파티션으로 NTFS를 사용하기 때문.안티바이러스, 조각모음 유틸리티, 백업 유틸리티를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하십시오. 하드디스크 구성을 확인하고 업데이트된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CHKDSK /F 명령어를 실행하여 하드 디스크 손상을 확인한 다음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2.3.6. 0x00000025(NPFS_FILE_SYSTEM)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7. 0x00000026(CDFS_FILE_SYSTEM)
2.3.8. 0x00000027(RDR_FILE_SYSTEM)
2.3.9. 0x00000028(CORRUPT_ACCESS_TOKEN)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10. 0x00000029(SECURITY_SYSTEM)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11. 0x0000002A(INCONSISTENT_IRP)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12. 0x0000002B(PANIC_STACK_SWITCH)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13. 0x0000002C(PORT_DRIVER_INTERNAL)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14. 0x0000002D(SCSI_DISK_DRIVER_INTERNAL)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3.15. 0x0000002E(DATA_BUS_ERROR)☆
2.3.16. 0x0000002F(INSTRUCTION_BUS_ERROR)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 0x30~0x3F
2.4.1. 0x00000030(SET_OF_INVALID_CONTEXT)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2. 0x00000031(PHASE0_INITIALIZATION_FAILED)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3. 0x00000032(PHASE1_INITIALIZATION_FAILED)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4. 0x00000033(UNEXPECTED_INITIALIZATION_CALL)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5. 0x00000034(CACHE_MANAGER)
2.4.6. 0x00000035(NO_MORE_IRP_STACK_LOCATIONS)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7. 0x00000036(DEVICE_REFERENCE_COUNT_NOT_ZERO)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8. 0x00000037(FLOPPY_INTERNAL_ERROR)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9. 0x00000038(SERIAL_DRIVER_INTERNAL)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10. 0x00000039(SYSTEM_EXIT_OWNED_MUTEX)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11. 0x0000003A(SYSTEM_UNWIND_PREVIOUS_USER)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12. 0x0000003B(SYSTEM_SERVICE_EXCEPTION)※
시스템 서비스에서 예외사항이 발생함으로써 뜨는 오류코드로, 매우 흔한 편에 속한다.
2.4.13. 0x0000003C(INTERRUPT_UNWIND_ATTEMPTED)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2.4.14. 0x0000003D(INTERRUPT_EXCEPTION_NOT_HANDLED)
2.4.15. 0x0000003E(MULTIPROCESSOR_CONFIGURATION_NOT_SUPPORTED)
2.4.16. 0x0000003F(NO_MORE_SYSTEM_PTES)★
백업 유틸리티, 디스크 활성화 유틸리티를 비롯한 최근에 설치한 소프트웨어를 제거하세요.
구성 요소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는 데 안전 모드 환경에서만 동작이 보장될 경우, 컴퓨터를 수동으로 다시 시작하여 F8 키를 눌러 고급 시작 옵션을 선택한 후, 안전 모드를 선택하십시오.
2.5. 0x40~0x4F
2.5.1. 0x00000044(MULTIPLE_IRP_COMPLETE_REQUESTS)
2.5.2. 0x0000004E(PFN_LIST_CORRUPT)
'''메모리 오류 4E의 그 4E이다.''' 메모리 고장 혹은 메인보드 메모리 소켓 문제일 수 도 있다.
2.6. 0x50~0x5F
2.6.1. 0x00000050(PAGE_FAULT_IN_NONPAGED_AREA)
요청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상주되어있지 않을때 발생하는 오류다.
2.6.2. 0x00000051(REGISTRY_ERROR)
2.6.3. 0x00000058(FTDISK_INTERNAL_ERROR)
2.6.4. 0x0000005A(CRITICAL_SERVICE_FAILED)
2.7. 0x60~0x6F
2.7.1. 0x0000006F(SESSION3_INITIALIZATION_FAILED)
2.8. 0x70~0x7F
2.8.1. 0x00000076(PROCESS_HAS_LOCKED_PAGES)
2.8.2. 0x00000077(KERNEL_STACK_INPAGE_ERROR)
2.8.3. 0x00000079(MISMATCHED_HAL)
2.8.4. 0x0000007A(KERNEL_DATA_INPAGE_ERROR)
2.8.5. 0x0000007B(INACCESSIBLE_BOOT_DEVICE)★
'''문제가 발견되어 컴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Windows가 종료되었습니다. '''
이 오류 화면을 처음 보셨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르십시오: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 확인하거나, 새로 설치된 하드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 컨트롤러를 제거하거나, 하드 디스크가 올바르게 구성되고 종료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CHKDSK /F 명령어를 실행하여 하드 디스크 손상을 확인한 다음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기술적 정보:
*** STOP: 0x0000007B (0xFFFFF880009A97E8, 0xFFFFFFFFC0000034, 0x0000000000000000, 0x0000000000000000)
2.8.6. 0x0000007E(SYSTEM_THREAD_EXCEPTION_NOT_HANDLED)☆
NVIDIA Geforce GT 520MX를 탑재한 노트북에서 윈도우 10 1607 업데이트 도중에 뜨던 블루스크린이다. 2016년 8월 당시 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에 대한 호환성이 없어서 저런 오류가 발생했던 것. 엔비디아에서 업데이트를 배포한 이후에 실시된 윈도우 10 1703 업데이트부터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있다.
2.8.7. 0x0000007F(UNEXPECTED_KERNEL_MODE_TRAPED)★
2.9. 0x80~0x8F
2.9.1. 0x00000080(NMI_HARDWARE_FAILURE)
일반 오류코드에 일반적인 메세지가 뜨지만, '''대단히 심각한 오류이다.''' 영문코드 자리에 아예 대놓고 '''Hardware Malfunction.(하드웨어 오작동)'''라는 메세지가 뜬다. 즉, 맨 아래에 있는 하드웨어 오작동 블루스크린이랑 동급이다.
2.9.2. 0x0000008E(KERNEL_MODE_EXCEPTION_NOT_HANDLED)☆※
이 오류코드는 매우 흔하다. 드라이버를 재설치 해보거나 BIOS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해 보자.디스크 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하세요. 이 중지 메시지에서 드라이버가 확인되면 드라이버를 비활성화 하거나 제조업체에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확인하세요. 비디오 어댑터를 바꿔보세요.
2.10. 0x90~0x9F
2.10.1. 0x0000009C(MACHINE_CHECK_EXCEPTION)
2.10.2. 0x0000009F(DRIVER_POWER_STATE_FAILURE)
2.11. 0xA0~0xAF
2.11.1. 0x000000A5(ACPI_BIOS_ERROR)★
'''문제가 발견되어 컴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Windows가 종료되었습니다.'''
이 오류 화면을 처음 보셨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르십시오:
이 시스템의 BIOS는 ACPI와 완벽히 호환되지 않습니다. 업데이트된 BIOS에 대해서는 해당 시스템 공급 업체에 문의하십시오.[1]
업데이트된 BIOS를 설치할 수 없거나, 공급 업체에서 제공한 최신 BIOS가 ACPI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BIOS 설정에서 ACPI 모드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저장소 드라이버를 설치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때 F7 키를 누릅니다. 시스템은 F7 키를 눌렀음을 알리지 않으며, ACPI를 자동으로 비활성화하고 설치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기술적 정보:
*** STOP: 0x000000A5 (0x0000003, 0x8BB4A814, 0xC0140001, 0x494E495F)
'''드물게 BIOS가 약간 손상될 정도로 먹통이 되었다면 오류 코드 딱 한줄만 화면 가운데에 뜨기도 한다.'''
2.12. 0xB0~0xBF
2.12.1. 0x000000B4(VIDEO_DRIVER_INIT_FAILURE)
영문코드 대신 '''The video driver failed to initialize(비디오 드라이버를 초기화하는데 실패했습니다)'''라고 뜬다.
2.12.2. 0x000000BE(ATTEMPTED_WRITE_TO_READONLY_MEMORY)
영문코드 대신 '''An attempt was made to write to read-only memory.(읽기전용으로 지정된 메모리에 쓰기를 시도했습니다.)'''라고 뜬다.
2.13. 0xC0~0xCF
2.13.1. 0x000000C1(SPECIAL_POOL_DETECTED_MEMORY_CORRUPTION)
2.13.2. 0x000000C2(BAD_POOL_CALLER)
2.13.3. 0x000000C4(DRIVER_VERIFIER_DETECTED_VIOLATION)
영문코드 대신 이러한 메세지가 추가로 뜬다. 드물게 오류코드 한줄만 가운데에 뜨기도 한다.장치 드라이버가 시스템을 손상시키려는 시도를 발견했습니다. 현재 커널 스택에 있는 문제의 드라이버를 정상작동하는 버전으로 대체해야 합니다.[2]
윈도우 7이 깔린 일부 컴퓨터에서 KB4056894 업데이트 설치 후 이 오류코드가 표시된 블루스크린이 뜨기도 했다.
2.13.4. 0x000000C5(DRIVER_CORRUPTED_EXPOOL)
이 오류코드가 표시된 블루스크린은 컴퓨터 화면에 전부 표시할 수 없을정도로 매우 길다. 이게 표준 메세지 위에 달려있는데
드라이버가 충돌했습니다.
새로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새로 설치한 경우, 필요한 Windows 업데이트가 있는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제조사에 문의하십시오.
새로운 드라이버(또는 수상한 드라이버)를 찾기 위해 드라이버 확인 프로그램을 실행하십시오. 만약 손상된 드라이버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special pool을 사용해보세요.
문제가 계속되면, 새로 설치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비활성화 또는 제거하거나, 캐싱이나 섀도잉 등의 바이오스 메모리 옵션을 비활성화하십시오. 구성 요소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는 데 안전 모드 환경에서만 동작이 보장될 경우, 컴퓨터를 수동으로 다시 시작하여 F8 키를 눌러 고급 시작 옵션을 선택한 후, 안전 모드를 선택하십시오.
2.13.5. 0x000000CE(DRIVER_UNLOADED_WITHOUT_CANCELLING_PENDING_OPERATIONS)
2.14. 0xD0~0xDF
2.15. 0xE0~0xEF
2.15.1. 0x000000E2(MANUALLY_INITIATED_CRASH)
2.15.2. 0x000000EF(CRITICAL_PROCESS_DIED)⑧
시스템에 중요한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가 갑자기 종료된 경우 뜨는 블루스크린이다. Windows API인
NtSetInformationProcess
함수를 쓰면 프로세스를 시스템 프로세스로 지정할 수 있다. 블루스크린을 띄우는 방법 중 하나인 csrss.exe 종료나 svchost.exe 종료 등의 시스템 프로세스 종료는 이런 프로세스들이 시스템 프로세스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시스템 프로세스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고 디버깅 권한인 SeDebugPrivilege를 부여해야 한다.2.16. 0xF0~0xFF
2.16.1. 0x000000F4(CRITICAL_OBJECT_TERMINATION)
영문코드 대신 '''"A process or thread crucial to system operation has unexpectedly exited or been terminated." (시스템 작동에 중요한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가 예기치 않게 종료되었거나 종료되었습니다.)로 나온다.'''
2.17. 0x100번대
2.17.1. 0x00000116(VIDEO_TDR_FAILURE)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나 그래픽카드 고장이며, 이 블루스크린이 뜰때 화면이 깨져서 나올때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그래픽카드 고장이다.'''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재설정을 시도하고 시간 초과에서 복구하지 못했습니다.
2.17.2. 0x00000119(VIDEO_SCHEDULER_INTERNAL_ERROR)
2.17.3. 0x00000124(WHEA_UNCORRECTABLE_ERROR)
CPU 오버클럭을 시도했을때 실패했다면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CPU 오버클러커들에겐 친근한 오류코드다. 만약 이 오류코드가 CPU 오버클럭을 하지 않을 때 뜬다면, CPU 과열, ssd 고장이 아니면 '''정말로 상황이 좋지 않다.''' 이 오류코드가 노트북에 떳을 때 CPU 과열, 팬 고장, ssd 고장이 아니면 '''메인보드 상태가 정말로 불량할 수 도 있다는''' 생각을 해야된다.'''시스템에서 복구할 수 없는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3. 치명적인 오류코드
타 오류코드 보다 '''다소 심각하다고 볼 수 있는''' 특수 오류코드들이다. 이런 오류코드들은 해결 방안을 제시해 준다 해도 딱 한줄밖에 안 되고, 어떠한 이유로 이 오류코드가 발생했는지 알려준다.
3.1. c0000022(ACCESS DENIED)
MEMZ 바이러스를 강제 종료하면 뜬다.STOP: c0000022 {접근 거부됨}
프로세스가 개체에 대한 접근을 요청했지만 해당 접근 권한이 부여되지 않았습니다.
크래시 덤프 데이터 수집 중...
크래시 덤프를 위한 디스크 초기화 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중:100% 완료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되었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에 연락하십시오.
3.2. c0000135(UNABLE TO LOCATE DLL)
STOP: c0000135 컴퓨터에 %hs가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 보십시오.
3.3. c0000139(ENTRY POINT NOT FOUND)
STOP: c0000139 {진입점을 찾을 수 없음}
절차 진입점 GdiGetBitmapBitsSize를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GD132.dll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크래시 덤프 데이터 수집 중...
크래시 덤프를 위한 디스크 초기화 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중:100% 완료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되었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에 연락하십시오.
3.4. c0000142(DLL INITIALIZATION FAILURE)
이 오류코드를 구글에 검색해도 하나도 안나오고, 네이버에서 이 오류코드를 검색해서 딱 한개 나온거 보니 흔하지 않다.STOP: c0000142 {DLL 초기화 실패}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winsrv를 초기화 하는데 실패했습니다. 프로세스가 비정상적으로 중지되었습니다.
3.5. c0000145(APPLICATION ERROR)
STOP: c0000145 {응용프로그램 오류} 응용 프로그램을 올바르게 시작할 수 없습니다(0xc000000d). 응용 프로그램을 닫으려면 확인을 클릭하세요.
3.6. c0000218(REGISTRY FILE ERROR)
STOP: c0000218 {레지스트리 오류}
레지스트리가 파일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systemroot/system32/config/SOFTWARE
에 해당하는 로그가 손상되거나, 없거나, 쓸 수 없습니다.
3.7. c000021a(STATUS SYSTEM PROCESS TERMINATED)
이 계열의 오류코드 중에 가장 흔한 오류코드이다. 0xf4와 원인이 겹친다.STOP: c000021a {'''치명적인 시스템 오류'''}
초기 세션 프로세스 또는 시스템 프로세스가 0x00000000 (0xc0000001 0x00100448) 상태로 예기치 않게 종료되었습니다.
'''시스템이 종료되었습니다.'''
크래시 덤프 데이터 수집 중...
크래시 덤프를 위한 디스크 초기화 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중:100% 완료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되었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에 연락하십시오.
3.8. c0000221(STATUS IMAGE CHECKSUM MISMATCH)
STOP: c0000221 {올바르지 않은 이미지 체크섬}
이미지 shlwapi.dll이 손상되었을 수 있습니다. 헤더 체크섬이 계산된 체크섬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3.9. c0000244(AUDIT FAILED)
STOP: c0000244 {감사 실패}
보안 감사를 생성하지 못했습니다.
3.10. c0000269(ILLEGAL SYSTEM DLL RELOCATION)
STOP: c0000269 {잘못된 시스템 DLL 재배치}
시스템 DLL인 kernal32.dll이 메모리에서 재배치되었습니다. 응용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재배치가 일어난 이유는 C:\\WINDOWS\\System32\\GDI32.dll이 윈도우 시스템 DLL에 예약된 주소 범위를 차지했기 때문입니다. 해당 DLL의 공급업체는 shou %s %s입니다.
STOP: c0000269 {잘못된 시스템 DLL 재배치}
예외 처리 메시지 c0000269 파라미터 96b9600 96b71f58 0 0
3.11. c000026c(UNABLE TO LOAD DEVICE DRIVER)
STOP: c000026c {장치 드라이버에 로드할 수 없음}
\systemroot\system32\drivers\TDSSrfdc.sys
장치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오류상태는
0xc0000018입니다.
3.12. c00002e2(DIRECTORY SERVICES COULD NOT START)
윈도우 서버에만 뜨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STOP: c00002e2 다음 오류 때문에 디렉터리 서비스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
시스템에 연결된 장치가 작동하지 않습니다.[3]
오류 상태: 0xc0000001입니다.
이 시스템을 종료 해 주시고 디렉터리 서비스 복원모드로 재시작 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세요.
3.13. c00002e3(SECURITY ACCOUNTS MANAGER INITIALIZATION FAILED)
0xc2e2 오류와 같이, 윈도우 서버에만 뜨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STOP: c00002e3 다음 오류 때문에 보안 계정 매니저를 초기화 하지 못했습니다:
미디어가 쓰기 보호되어 있습니다.[4]
오류 상태: 0xc0000189 입니다.
시스템을 종료 해 주시고 안전모드로 다시 부팅할려면 확인을 클릭하세요. 자세한 내용은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세요.
3.14. c0000350
페트야 랜섬웨어 실행시 나오는 블루스크린이다.
4. 기타
4.1. Unknown Hard Error
대부분 c0000218 오류코드와 같이 뜨지만, c000021a 나 c0000139나 c0000221등등으로도 뜬다.STOP: c0000218 알 수 없는 저장장치 오류
알 수 없는 저장장치 오류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중:100% 완료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되었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에 연락하십시오.
[image]
심지어 c0000221에러코드는 내용이 살짝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