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개성단/분류

 


고전적인 산개성단의 분류 방법을 설명하는 문서.
눈으로 직접 보고 분류하는 방식이라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고 않다.

1. 할로 섀플리의 산개성단 분류표


1930년 할로 섀플리가 산개성단을 7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는 표를 작성하였다.
'''할로 섀플리의 산개성단 분류표'''
등급
의미
예시
'''a'''
불규칙적

'''b'''
별들의 군집

'''c'''
매우 느슨하고 불규칙적인 형태
[image]
NGC 2244
'''d'''
매우 느슨한 형태
[image]
M18
'''e'''
별들이 중간 정도로 풍부하고 촘촘한 형태
[image]
M7
'''f'''
별들이 꽤 풍부하고 촘촘한 형태
[image]
M26
'''g'''
별들이 매우 풍부하고 응집된 촘촘한 형태
[image]
NGC 2477

2. 로버트 트럼플러의 산개성단 분류법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로버트 트럼플러에 의해 개발된 분류법이다.
분류 방법은 로마숫자 I~IV로 밀집도의 차이를 표기하고 숫자 1~3으로 성단을 구성하는 항성들의 밝기를, p,m,r로 항성의 갯수를, n으로 성운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표기하였다.
절대적인 기준이 없다보니 같은 산개성단도 학자마다, 또는 성도를 제작하는 회사마다 분류가 다르므로 적당히 넘어가자.
'''로버트 트럼플러의 산개성단 분류법'''
I
II
III
IV
중심을 향한 강한 밀집
중심을 향한 약한 밀집
중심을 향하지 않고 느슨한 밀집
주변과 분리되지 않음
1
2
3
어두움
중간 정도로 밝음
매우 밝음
p
m
r
별이 적음(50개 미만)
중간 정도(50~100개)
별이 많음(100개 이상)
n
성단내에 성운이 존재함
'''예시'''
II,3,r,n
성단이 성운 내에 존재하며 별들이 중심을 향해 약하게 밀집되어 있고 항성들이 매우 밝으며 100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는 성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