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갑

 

1. 중국 갑옷의 일종
1.1. 실증 논란


1. 중국 갑옷의 일종


[image]
[image]
[image]
절의 사천왕상이나 불화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가지가 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습을 한 찰을 엮어 만든 갑주로 갑찰의 형태가 산(山)자를 닮아 산문갑(山文甲.Shan Wen Kia)라고 부르는 것이다. 문헌이나 그림 자료에는 자주 보이지만 실제 유물이 발굴된 적이 없어 정체를 파악하기 힘들지만 이 역시 찰갑의 한 종류로 추측하는 사람들이 있다. 사실 산문갑이라는 명칭도 당, 송나라 문헌에서 Shan Wen Jia(山文甲), Shan Zi Tie Jia(山字鐵甲)같은 단어로 확인할 수 있으나 이것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나온 자료나 그림이 없이 글로만 언급되는 터라 이 양식의 갑옷을 지칭하는 이름인지 확실하지 않다.
[image]
[image]
[image]
[image]
위 도식화는 Daniel Slone이라는 인물이 제시한 제작법으로 리벳을 통해 갑찰을 고정시키는 방식이며. 마치 대중에는 이것이 정설인 것처럼 알려져 있으나 실제 역사적으로 검증된 내용은 아니다.

1.1. 실증 논란


링크
Daniel Slone 이 제시한 이론대로 갑옷을 제작한 결과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는데 먼저 방어력 면에서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중국 역사 흥미 커뮤니티에서 직접 화살을 쏘아 실험한 결과 (다만 다니엘 슬론이 제시한 방법과는 달리 두정이 아닌 사슬로 엮인 형태) 철찰 사이에 생긴 작은 틈새에 화살이 빨려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비록 갑옷의 재질이 찰갑에서 주로 쓰이는 철재가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실험 결과는 갑찰 자체가 뚫린 것이 아니라 찰 사이의 갭으로 화살이 박힌 것이므로 실험 자체를 부정할 만한 사항은 아니다.
방어력 테스트와 별개로 해당 스타일의 갑옷이 중국은 물론, 다른 인접 국가에서도 볼 수 없다는 것 역시 산문갑의 연구를 더디게 만들고 있다.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의 중국 이웃 국가에서는 산문갑을 불화, 민속화나 사천왕상 등 중국의 영향을 받은 미술품에서만 볼 수 있다.
게다가 이런 식으로 山자 갑찰을 이어놓으면 찰갑의 장점인 유연성이 확보되지 않는데[1] 사천왕상을 위시한 불교상이나 명나라 기록화에 묘사된 산문갑은 상당히 유연한 모습이다.(참조, 이미지)
이에 중국쪽 커뮤니티와 영미권 쪽(참조)에서 새로 대두된 설이 사슬갑옷이라는 설인데 종래의 사슬갑옷이 원형의 고리를 엮어놓은 반면 산문갑은 육각형 도형의 고리를 엮어 제작했다는 설이다. 이는 역사적으로 검증된 사슬갑옷의 유연성과 방어력 그리고 비단 산문갑 형태의 갑옷 말고도 기하학적인 패턴으로 묘사된 다른 불상의 갑옷들까지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과 게다가 청나라 시기 산문갑 무늬를 그려놓은 갑옷, 그리고 동일한 패턴의 그림을 쇄자(사슬갑옷을 한자문화권에서는 쇄자갑이라 부른다) 라 서술한 서적이 있어 참조 여러 사람의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이 가설 역시 역사적인 유물로 검증된 사항이 아니고 또한 사슬갑옷이 맞다면 왜 쇄자갑(사슬갑옷) 과는 별도로 구분되어 묘사되어있는지 설명하지 못한다는 맹점이 있다.
특이한 외형 때문에 한국 사극에서 중국 장수를 묘사할때 꼭 입히는 갑옷이기도 하다.


[1] 영미권 포럼에서 다니엘이 제시한 山자 갑찰을 연결해 만든 유저의 사진을 보면 살짝 구부러질 뿐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휘어지지 않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