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DS 2/군사 및 전투
1. 개요
삼국지 DS 2의 군사와 전투에 대해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
2. 병종
병과로는 보병, 기병, 노병, 강노, 연노가 있고 병기로는 발석기와 충차가 있다.
2.1. 병과
2.1.1. 보병
보병은 기본 병과이다. 그렇지만 가면 갈수록 존재감에 떨어지는데, 다른 병과들은 보병의 전기를 그냥 사용할 수 있다. 기병처럼 기동성이 뛰어나며 근거리 공격이 강한 것도 아니고 노병들처럼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것도 아니라 초반에만 사용되고 후반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공성전에서는 성벽 위에서 AI가 도망다니면 골치아프므로 사용하기도 한다.
2.1.2. 기병
기병은 리메이크전의 그 잉여로운 모습과 다르고 삼국지 DS 2에서도 매우 강력한 병과이다. 예시로 기장 특기를 지닌 무장이 돌진에 연쇄를 발동시켜 강습을 사용하면 한 턴에 3000에 가까운 병사를 혼자서 깎을 수 있다. 돌진의 기력이 20인데 보병의 강습 기력이 20이므로 원거리 공격이 필요해서 연노를 사용할 것이 아니라면 보병보다는 기병을 쓰도록 하자. 군마는 상인에게 구입하는 방법으로만 입수할 수 있으며 필당 10 ~ 30금 사이에서 구입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기병은 성벽을 오를 수가 없다. 이 점을 간과하고 기병으로만 편성했다면 AI가 공성전에서 모든 병력을 성벽 위에 집결시키고 성문에 접근하면 화살과 낙석을 퍼붓는다. 특히 플레이어의 병력이 우월할 경우 AI는 십중팔구 요격을 나가지 않고 처음부터 공성전으로 이끄는데, 이때 병기 분배를 제외하고는 재편성도 불가능하여 상당히 귀찮을 수 있다. 꼭 보병이나 노병계열을 같이 편성하거나 기병 분대는 발석거로 변경하자. 혹은 또 다른 발석거 부대를 준비하자. 또 수비할 때는 요격을 해야만 기병을 사용할 수 있다. 바로 공성전으로 들어가면 수비측은 기병을 사용할 수 없다.
공성전에서는 발석거가 있으면 상대는 한 두부대를 제외하고 모두 평지에 배치하기 때문에 발석거는 성벽 위 분대를 요격하거나 성문을 공략하면 된다. 이 때 접근하는 적 분대는 아군의 기병으로 학살하면 된다.
2.1.3. 노병
가장 기본적인 원거리 병과. 상인에게서 개당 10 ~ 30 사이의 금으로 구입 할 수도 있고, 제조도 가능하다. 초반 공격이나 방어에 사용하면 유용하지만 게임이 진행 될 수록 사거리 4인 강노와 노보다 더욱 강력한 공격력과 연사를 사용할 수 있는 연노로 인해 노에서 점점 대체된다.
2.1.4. 강노병
상인에게서 시세에 따라 개당 20 ~ 30의 금으로 구입 할 수도 있고, 제조도 가능하다. 사거리가 가장 길다는 이점을 이용해 초중반 대군을 방어할 때 유용하다. 사거리가 4인데 후반에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아쉽지만 연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2.1.5. 연노병
연노는 중후반부터 유용하게 사용되는 병과이다. 연노는 노와 강노처럼 상인에게 살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내정치 중 기술을 80까지 올려야 그 때 부터 제조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삼국지 DS 2에서는 성을 점령하면 남은 물자를 AI가 흘리고 가는데 이때 버려진 연노를 사용하는 것이 낫지 무리하게 기술 내정치를 쌓아 제조하는 것은 좋지 않다. 물론 여유가 된다면 제조해도 상관 없다.
2.2. 병기
2.2.1. 충차
충차는 기술 내정치를 80까지 올려야 제조 가능한 병기이다. 충차는 주로 성문을 부수는 데에 사용된다. 특수 전기로 파격이 있고 이 파격을 사용하면 성문 외에도 병사를 직접 공격 할 수 있지만 파격을 보유한 무장이 손에 꼽을 정도로 적기 때문에 파격을 사용할 일은 별로 없다. 충차를 쓸거라면 차라리 발석기를 사용하는 것이 낫다. 성벽에 가하는 데미지는 발석기보다는 확실히 높지만 느린 이동속도로 성문까지 접근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2.2.2. 발석거
발석거는 기술 내정치를 100까지 올려야 제조 가능한 병기이다. 발석기는 사거리가 길어 성문에서 꽤나 떨어진 곳에서도 성문 위를 공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플레이어가 발석기를 사용할 경우 AI는 성벽 위에만 병사를 배치하지 않는다. 그래서 기병과 함께 운용하면 아주 강력한 병기가 된다. 주로 멀리서 성문을 깨는 용도로 사용한다. 단점으로는 느린 이동속도로 화계를 피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특수 전기로 화구를 사용할 수 있다.
3. 징병
매달 한명의 무장을 이용하여 도시별로 1번씩 징병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능력은 매력인데, 징병되는 병사수가 무장의 매력이 높을수록 늘어나기 때문이다. 징병할 때에는 민충이 줄어들므로 주의하자.
4. 훈련
매달 1번씩 훈련이 가능하다. 훈련을 하면 사기와 기력이 올라가는데, 특히 기력은 전투 중 계략이나 전기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요하므로 틈틈이 해놓아야 한다.
5. 전투
전투의 종류로는 야전, 공성전, 수전이 있다.
5.1. 야전
야전은 수비측이 요격을 선택했을 때 발생하는 전투이다. 일부 맵에는 관문이 있는데, 수비측은 처음부터 드나들 수 있고, 공격측은 관문을 공격해 뚫은 뒤부터 드나들 수 있다. 참고로 관문이 뚫리게 되면 수비측의 사기가 절반으로 감소하니, 이 점을 유의하는 게 좋다.
5.2. 공성전
공성전은 수비측이 요격을 하지 않거나 야전이나 수전 등에서 퇴각하면 발생하는 전투이다. 공격측은 발석거나 충차와 같은 공성무기를 가지고 올 경우 사용할 수 있다.
5.3. 수전
수전은 시상, 건업, 강릉의 도시에서수비측이 요격해 왔을 때 발생하는 전투이다. 다른 전투와는 달리 연환과 같은 특수한 특기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연환+화계(혹은 화시) 콤보를 잘 이용하면 적벽대전 못지않은 불바다가 된다. 상대방의 15만 군사가 순식간에 삭제당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