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안산중학교

 




[image]
'''여수안산중학교
YEOSU ANSAN MIDDLE SCHOOL
'''

'''교훈'''
'''지혜로운 사람이 되자'''
'''개교'''
2004년 4월 6일
'''유형'''
일반계 중학교
'''성별'''
남녀공학
'''운영 형태'''
공립
'''교장'''
박종영
'''교감'''
박미아
'''학생 수'''
549명
(2019년 기준)
'''교직원 수'''
47명
(2019년 기준)
'''상징'''
소나무, 철쭉, 청색
'''관할 교육청'''
전라남도교육청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장성4길)
홈페이지
1. 개요
2. 시설
3. 학교 운영 방식
4. 교가
5. 교복/체육복
5.1. 교복
5.1.1. 하복
5.1.2. 춘추복
5.1.3. 동복
5.1.4. 명찰
5.2. 체육복
5.2.1. 하복
5.2.2. 동복
5.2.3. 춘추복?


1. 개요


여수안산중학교는 전라남도 여수시 안산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이다.


2. 시설


건물은 두개로, 본관 후관으로 이루어진다.
  • 본관에는
1층에는 Wee클래스, 통합지원실, 보건실, 행정실, 인쇄실, 교무실, 교장실, 방송실, 밴드부실이 있으며
사회, 역사, 도덕, 보건 수업실이 있다.
2층에는 1학년 협의실과 휴게실, 다울 도서관, 남자 목욕실, 스마트 교실이 있으며
국어, 사회, 역사 수업실이 있다.
3층에는 2학년 협의실과 휴게실이 있으며 수학, 기술가정, 한문, 진로, 체육 수업실이 있다.
4층에는 3학년 협의실과 휴게실이 있으며 수학, 과학, 영어 수업실이 있다.
그리고 1층을 뺀 나머지 층마다 '''다울방'''이라 불리는 다목적실이 있고, 홈베이스와 남자 탈의실이 있다.
2017년도 1학년 신입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사물함 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졌다.[1]
  • 후관에는
1층에는 시청각실, 급식실이 있으며 체육 수업실과 운동기구가 있는 곳[2]이 있다.
2층에는 체육관, 컴퓨터실이 있으며 음악, 체육 수업실[3]이 있다.
3층에는 음악, 미술 수업실이 있다. 미술 수업실은 두 개 이다.
4층에는 과학실만 세 개이다.
'''교실 위치는 년도가 바뀔 때 마다 조금씩 바뀐다.'''
본관과 후관은 다리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다리는 2, 3, 4층 만 지나갈 수 있고 1층엔 다리 밑으로 지나갈 수 있도록 공간이 있다.
[image]
이렇게 이어져 있다.

3. 학교 운영 방식


여수안산중학교는 교과교실제자유학기제가 실시 중이다.

3.1. 교과교실제


교과교실제는 말 그대로 교과목의 교실이 있다.
국어 교실이라면 국어 반에 국어 선생님이 계시고,
수학 교실이라면 수학 반에 수학 선생님이 계신다.
이동수업은 모든 과목 다 한다.
[4]
과학 선생님 반의 학생이라면 아침 자습 시간, 과학 수업 시간, 종례 시간 빼고는 담임과 학생이 볼 시간이 거의 없다.
이때문에 반에 물건을 놓고 다니면 물건이 잘 없어지기도 한다. 책상 서랍엔 쓰레기가 가득히 있다.[5]
사물함은 반에 없고 홈베이스 라는 곳에 학년 별로 모여있다.
2층엔 3학년 사물함, 3층엔 2학년 사물함, 4층엔 1학년 사물함 이렇게 말이다.

3.2. 자유학기제


2015년부터 1학년만 2학기 때부터 시험을 안 보고 진로를 탐색하는 제도 이다.

3.3. 수준별교실제


교과교실제에 포함되는 제도인데, 말 그대로 시험 성적으로 수준을 매겨 반을 나누는 제도이다.
수학과 영어에만 시행되고 있다.
A반, B반, C반으로 나뉘는데 A반은 평균 이상인 반, B반은 점수가 평균대인 반, C반은 점수가 평균 이하인 반이다.

4. 교가


[image]
작사가는 학교 설립 당시 초대 학교장이었던 허기선 교장선생님이고, 작곡가는 당시 음악교사로 재직중이었던 최혜량 선생님이다.
'학문의 요람' 이란 가사가 있는데 자음동화로 인해 '항문의 요람' 으로 발음 된다.
1학년 때 교가를 배우며 웃는 학생이 대다수다.

5. 교복/체육복


'''2019년도 기준 학년 색'''
체육복 색
1학년
2학년
3학년
'''하늘색'''
'''초록색'''
'''보라색'''
넥타이 색
1학년
2학년
3학년
'''고동색'''
'''초록색'''
'''자주색'''

5.1. 교복



5.1.1. 하복


남녀 둘 다 별 차이는 없는 교복이다.
회색바탕에 빨강, 파랑, 검정색의 줄이 체크무늬를 이루고 있다.

5.1.2. 춘추복


'''동복에서 마이[6]만 벗으면 ☆완★성☆'''
자세한 설명은 동복 문단을 보도록 한다.

5.1.3. 동복


남자의 경우, 흰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메고, 갈색의 바지를 입고, 베이지색의 조끼를 입는다.
마이는 고동색이다. 그냥 거의 나무같은 느낌..? [7]
여자의 경우, 흰 와이셔츠에 남자보다 조금 짧은 넥타이를 메고, 고동색의 치마나 바지를 입고, 상아색의 조끼를 입는다. 여자 조끼에는 넥라인을 따라 자주색의 선이 하나 있다
마이는 살구색이다. 좀 특이하게 다른 학교와는 다르게 흰색 스타킹을 신는다. [8]
교복을 보고싶다면 이곳에 가면 된다.
아쉽지만 남자 교복은 하복만 나온다.

5.1.4. 명찰


명찰은 두개로 나누어서 달 수 있는데 하나는 셔츠나 교복에 달려있는 천 명찰이고, 하나는 뺐다가 꼈다가 할 수 있는 플라스틱 명찰이다.
명찰의 디자인은 천 명찰의 경우, 흰 바탕에 검은색으로 이름을 쓰며 이름의 왼쪽엔 학교 마크가 있다.
그리고 위에는 학년별로 색[9]을 넣어준다. 이름의 글씨체는 궁서체와 비슷하다.
아크릴 명찰의 경우, 연한 회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이름을 쓰고 이름의 왼쪽엔 학교 마크가 있다.
그리고 위에는 학년별로 색을 넣어준다. 이름의 글씨체는 굴림체와 비슷하다.

5.2. 체육복


체육복은 학년마다 색이 다 다르다.
2019년도를 기준으로 1학년은 하늘색 파란색이고, 2학년은 연두색 초록색이며, 3학년은 연보라색 보라색이다.

5.2.1. 하복


하복의 경우, 윗옷은 연한 색으로 이루어지고, 바지는 진한 색으로 이루어진다.
바지의 양쪽 옆에는 흰 색으로 두 줄이 박혀있다.
2016년 1학년의 하복부터 이전과 다르게 윗옷 가슴쪽이 진한색으로 덮여있다.

5.2.2. 동복


동복의 경우, 윗옷의 몸쪽은 연한색으로 이루어지고 팔은 진한색. 바지는 진한색으로만 이루어져있다.
하복과 같이 양 옆에 흰 줄이 두 개씩 박혀있다.

5.2.3. 춘추복?


딱히 춘추 체육복은 존재하지 않으나, 학생 들의 패션 감각으로 입는다.
뭐 하복 바지에 동복 상의라던지 동복 바지에 춘추 교복의 셔츠 위에 하복 상의를 입는다던지...
여러가지로 입고 다닌다.

[1] 그로인해 2학년 6반과 3학년 5반의 사물함은 후관으로 밀려났고, 1학년 6반의 사물함은 본관과 후관이 이어지는 복도 사이에 놓여졌다.[2] 쓰이지 않음.[3] 2017년부터 여자 탈의실로 바뀜.[4] 2018년부터는 2층에 3학년 교실, 3층에 2학년 교실, 4층에 1학년 교실이 모이게 되었다. 그대신 과목 별로 복잡하게 되었다.[5] 학년 별로 과목을 막 다니기 때문에 수업시간에 먹고 책상 서랍에 쓰레기를 막 넣어놓는다.[6] 일본식 표기로,올바르지 못 한 표현이다. 윗옷이나 자켓이 더 올바르다.[7] 하지만 막상 입으면 괜찮다.[8] 전국의 모든 중학교, 고등학교 등을 통틀어 유일하게 흰색 스타킹을 착용하는 학교이다. 고등학교는 7~8년 전까지만 해도 2곳이 있었으나 그 쪽은 고3 졸업생 배출 후 사실상 전멸. 2018년 막바지부터 검정색 스타킹도 허용되어 검정색 스타킹을 신게 되었다.[9] 학년별 체육복과 같은 색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