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질병)
1. 개요
한국어: 옴
영어: scabies
한문: 疥癬症(개선증)
일본어: かいせん
[image]
옴은 피부 기생충(Sarcoptes scabiei var hominis)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며, 임상 증상 및 전염성은 기원전 약 1,000년경부터 알려져 있다. 옴은 집단 생활에서 생기기 쉬운 질환으로 옻과 혼동하기 쉽다. 옴벌레는 사람의 피부에다 알을 낳아 번식하고 배설물(feces;scybala)이 쌓이게 된다. 이때, 충과 알 및 배설물에 대한 제4형 과민성 반응(type 4 hypersensitivity)이 발생해 심각한 가려움증(pruritus)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기생충이 피부 밑을 타고 다니면서 "굴"(burrow)을 만들고 다니게 되는데, 이 흔적이 아래의 사진과 같이 보여지게 된다.[1]
[image]
가려움 때문에 긁을 경우 찰과상(excoriation)이 발생하기도 하며, 나중엔 구진(papule) 등의 상처가 남거나 이곳에 2차 박테리아 감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진단은 임상적인 증상을 확인해 옴을 의심하게 되며, 확진은 이 "굴"에서 샘플을 채취해 현미경으로 충과 알 및 배설물을 확인할 수 있다.
2. 감염
성관계, 잠자리를 같이 하는 지속적인 접촉으로 감염이 될 수 있으며 그외 단순 접촉으로도 감염이 될 수 있다. 개인의 위생 상태와는 크게 연관이 없다고 한다. 옴에 걸렸다고 판단되면 치료가 될 때까지 누군가와 성관계를 갖거나 잠자리를 같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약은 몸에 바르는 크림 타입으로 목 아래 전신에 바르게 된다. 성관계나 잠자리를 같이 하는 파트너에게도 알려주어 증상이 없다고 해도 마찬가지로 약을 바르는게 좋다. 가족이 있다면 가족 전체가 약을 바르는 것이 권장된다. 침구류와 수건은 뜨거운 물로 씻어 남아 있는 옴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엔 거의 발병하지 않는 병이나 '''자주 발생하는 곳이 있다.''' 바로 요양병원과 요양원. 환자 관리만 제대로 하면 발병하지 않아야 정상이나 일부 관리 상태가 엉망인 곳에서 자주 보인다. 옴이 발생했을 때 제대로 치료만 하면 금방 완치되는 병인데도 불구하고 환자 관리가 안 좋으면 발견 및 처치가 늦는다. 다만 환자를 방치하는 관리 인력 문제인 경우도 있지만 간병인이나 간호사 입장에서 옴이 생기면 자기들도 옮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어떻게든 노력을 하는 편이다. 관리가 안되는것도 문제지만 전염성이 끝내주고, 요양원과 요양병원의 환자는 자주 오고가기에 한번 잘못 옮겨질경우 순식간에 전염된다.
3. 증상
손가락 발가락 사이, 팔목 양쪽, 아랫배, 둔부, 사타구니 등에 좁쌀 같은 발진이 생기며, 머리나 목, 손바닥 및 발바닥엔 잘 보이지 않는다. 병변이 발생하면서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밤에 증상이 더 심해지게 된다. 낮에는 살이 접히는 부분에 작은 굴을 파고 숨어있다가, 어두워지면 나와서 이동하는 데 이때 가려움증이 극에 달한다.
4. 치료
전체적으로 치료는 Permethrin 5% 크림을 사용해 충을 마비시키게 된다. 온몸에 이 크림을 바른 후 8-10시간 동안 씻어내지 않고 두게 된다. 이 치료법에 차도가 없을 경우, Lindane(y-benezene-hexachloride) 로션을 사용하게 되는데, 2살 이하의 어린아이나 임산부 등에선 발작을 일으키기도 해, 이 약의 투여를 금지하게 된다. 그 외 가려움증은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를 사용해 증상을 완화시키게 된다. 예전엔 치료하기가 쉽지 않지만, 요즘엔 약만 3일정도 바르면 충분히 치료된다.
5. 여담
사면발니와 비슷하게 군생활 중에 조우할 수 있는 피부병 중 하나이다. 다만 증상이나 치료의 용이성 등을 보면 옴이 훨씬 악질이다. 사면발니와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은 옴은 귀두 부분에도 증상이 생길 수 있다는 것. 귀두 부분에 발진이 있으면 사면발니가 아닌 옴이라고 보면 거의 틀림없다.
옴나무라고 해서 그 나무에 접촉하면 옴이 오를 수도 있다.
재수 옴 붙었다에 나오는 옴이 여기 나오는 옴이다. 그만큼 성가시고 감내하기 힘든 질병이라는 말.
[1] 끝 부분에 검은색 반점이 보일 경우 암컷충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