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스킨
유닉스 기반인 macOS 에 최적화된 WINE 소프트웨어.
1. 매킨토시 기반 macOS용 유틸리티 프로그램
간단히 말하자면 윈도우용 .exe 확장자 파일을 매킨토시에서 실행, 구동하고 그후 설치한 파일을 응용 프로그램처럼 간단히 이용할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이다. [1]
다양한 버전 중에 사용하려는 프로그램에 최적화된 버전을 골라 쓸 수 있는 엔진 engine 과 끊임없이 업데이트되는 랩퍼 wrapper 로 이뤄진 시스템이 특징적이다. 엔진은 조건에 맞는 랩퍼를 쓰고 돌릴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랩퍼는 말그대로 윈도우즈 .exe파일이 들어가 있는 폴더를 통째로 싸서 (wrap) 맥 버전 응용 프로그램으로 변환시키는 도구다. 정확히 말하자면 와인 CLI에 GUI를 만들고 맥용 .app 패키지로 포장해서 사용하기 쉽게 만든게 와인스킨이다.
이게 왜 유용하냐면 윈도우즈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종종 나몰라라하기 쉬운 매킨토시[2] 에서 윈도우즈를 깔지 않고도 윈도우에서 쓰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게임, 프로그램 등 .exe파일을 구동할수 있기 때문이다. 출시된 지 오래된 프로그램이라면 특히 매킨토시 버전이 없는 경우도 허다하니 상황에 따라 와인스킨은 윈도우즈를 깔지 않고 맥에서 윈도우즈 게임을 돌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 수도 있다.
장점이라면 오픈소스기 때문에 무료라는 점, 비교적 사용법을 익히기 쉽다는 점, 윈도우즈용 실행파일을 돌리려고 부트캠프나 가상머신을 돌리지 않아도 된다는 점과 단점이라면 엔진 버전이 너무 많고 끊임없이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어떤 버전에서 작동이 굉장히 잘되었던 응용 프로그램이라도 다(다)음 버전으로 실행 시켜보면 버벅이거나 버그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3] 또한 와인스킨으로 만든 .app마다 와인 엔진과 필요한 패치, 파일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아무리 가벼운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싶어도 기본 랩퍼만 400MB를 넘고 패치도 상당한 디스크 용량을 차지한다. 그리고 아직 맥 유저가 한국에 많지 않기 때문에 그런지 몰라도 한글버전은 없다.[4]
오리지널 프로젝트는 2015년 이후 개발이 중단되었으며, 지금은 Gcenx라는 개발자가 포크한 Unofficial Update 프로젝트가 이어지고 있다.
1.1. 설치하는 방법
- 랩퍼를 생성하는 Wineskin Winery를 다운받아서 랩퍼를 만든다.
- 랩퍼를 실행한다.
- 설치 도우미를 사용해서 원하는 윈도우 프로그램 설치 .exe를 열거나 프로그램 폴더를 랩퍼 안으로 옮긴다.
- 버그가 생기거나 필요한 패키지가 없으면 (예를 들어 .Net Framework) Advanced 옵션에 있는 Winetricks라는 툴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 다른 옵션은 Options탭이나 winecfg로 설정할 수 있다.
- 아이콘, 메뉴바 이름 등등은 메인 탭에서 정할 수 있다.
- 테스트런을 실행한다. 잘 돌아가면 완성.
이후 와인 설정을 바꾸고 싶다면 앱 패키지를 우클릭하여 패키지 안에 있는 Wineskin.app을 실행하면 된다.
한글입력이 안되는 경우 새나루나 날개셋 입력기를 설치해야 되며 설치할때 터미널에서 예)wine installer.exe 로 입력해야 IME가 정상적으로 설치된다. 물론 IME파일과 dll은 winecfg에서 수동으로 등록해야 한다.
1.2. 사용의 예
[image]
와인스킨을 이용해 설치한 VOCALOID4 Editor. 모든 기능과 음원 라이브러리, VST 플러그인도 지원한다. 풀스크린 모드도 가능하다.
매킨토시 업데이트가 잘 이뤄지지 않는 스타크래프트 1[5] 이나 디아블로 2등 게임을 실행할 때 정말 유용하다
1.3. 버전별 요약과 버전에 최적화된 프로그램/게임
와인을 사용해서 리눅스로 포팅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WineHQ가 있다. WineHQ는 원래 리눅스 와인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라서 와인스킨은 직접 취급하지 않지만 리눅스와 맥 와인 설정은 대부분 같고 랩퍼 설정만 신경써주면 된다.
[1] Wine은 "'''W'''ine '''I'''s '''N'''ot an '''E'''mulator"의 약자다.[2] 이건 비단 게임 뿐만이 아니라 업무에 필수적인 프로그램도 마찬가지. MS Office for Mac을 일주일만 써보자. 안구에 습기가 저절로 찰 것이다.[3] 이 경우는 그냥 가동되는 버전을 계속 쓰면 그만이다.[4] CJK용 글꼴 패치는 있다.[5] 스타크래프트 Installer를 깔아서 실행시킬 때는 반드시 WS8Wine1.5.0 버전의 엔진을 쓰도록 하자. 대부분 다른 버전들은 게임 도중에 문제가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