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전 증후군
'''Premenstrual Syndrome: PMS'''
여성이 월경 전 다양한 신체적 혹은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는 증후군.
증상으로 체액저류(fluid retention) 관련 소견인 부종(edema) 및 유방통증(breast tenderness) 외에도 불면증, 피곤함, 심장고동이 보여지게 된다. 또한 이 기간에 우울해지거나(월경전불쾌감장애,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불안감(anxiety) 및 조울증(mood swing)이 보여지기도 하며, 이때 두통, 근육통 및 관절통 관련 소견이 관찰될수 있다.
진단은 우선적으로 증상 일기(symptom diary)를 세번의 월경동안 환자 스스로 관찰해 진단할수 있다. 월경전 증후군으로 진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확실한 치료법으로, 항우울제인 SSRI를 투여해 증상을 완화시킬수 있다. 주로 Fluoxetine 이 사용된다. 그 외 불안증 치료제인 Alprazolam이나 GnRH 작용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Buspirone이나 Meclofenamate이 사용되기도 한다고.
혹은 Yaz라고 Drospirenone/Estradiol 약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확실하진 않으나, 아직 사용되기도 하는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1. 증상 및 진단
여성이 월경 전 다양한 신체적 혹은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는 증후군.
증상으로 체액저류(fluid retention) 관련 소견인 부종(edema) 및 유방통증(breast tenderness) 외에도 불면증, 피곤함, 심장고동이 보여지게 된다. 또한 이 기간에 우울해지거나(월경전불쾌감장애,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불안감(anxiety) 및 조울증(mood swing)이 보여지기도 하며, 이때 두통, 근육통 및 관절통 관련 소견이 관찰될수 있다.
진단은 우선적으로 증상 일기(symptom diary)를 세번의 월경동안 환자 스스로 관찰해 진단할수 있다. 월경전 증후군으로 진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세번의 월경 사이클 이상, 같은 증상이 보여져야 한다.
- 월경을 시작하기(ostovulatory weeks) 2주 전부터 증상이 보여져야 한다.
- 월경을 시작한 후, 증상이 사라져야 한다.
- 증상으로 인해 일반적인 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을 겪는다.
2. 치료
확실한 치료법으로, 항우울제인 SSRI를 투여해 증상을 완화시킬수 있다. 주로 Fluoxetine 이 사용된다. 그 외 불안증 치료제인 Alprazolam이나 GnRH 작용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Buspirone이나 Meclofenamate이 사용되기도 한다고.
혹은 Yaz라고 Drospirenone/Estradiol 약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확실하진 않으나, 아직 사용되기도 하는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 Progesterone 치료법. 사실 오래전 부터 월경전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사용된 방법이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플라시보와 별반 다른 차이점을 보이지 못하였다고 한다.
- 팽만감(bloating)을 치료하고자 이뇨제(diuretics)를 사용하기도 하나, 역시 플라시보와 다른 차이점을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 비타민 B6인 Pyridoxine을 통해 PMS를 치료하고자 하는 시도는 있었으나, 이 역시 입증된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과다중독으로 인한 합병증 위험에 노출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