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
1. 개요
유수(Residue[1] )란 복소해석학에서 통용되는 수학적 용어이다.
2. 설명
2.1. 고립 특이점
$$z = z_0$$가 함수 $$w = f(z)$$의 고립특이점이면 $$0< \mid z - z_0 \mid< R$$인 모든 $$z$$에 대하여 해석적이면 로랑의 정리에 의하여 $$f(z) =\displaystyle \sum^{\infty}_{n = -\infty}a_n(z - z_0)^n$$, $$0< \mid z - z_0 \mid< R$$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곡선 $$C$$가 $$z_0$$의 근방에 포함되면서 양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순닫힌곡선이면 계수 $$a_n$$은 $$a_n =\displaystyle \frac{1}{2\pi i}\int_{C}\frac{f(z)}{\left(z - z_0\right)^{n + 1}}dz$$이다.
특히 $$a_n$$에서 $$n = -1$$일 때 계수 $$b_1 = a_{-1} =\displaystyle \frac{1}{2\pi i}\int_{C}f(z)dz$$를 고립특이점 $$z = z_0$$에서 $$f(z)$$의 '''유수'''라 하고 이것을 보통 '''$$b_1 = Res[f, z_0]$$'''와 같이 표시한다. 만약 $$z = z_0$$가 $$f(z)$$의 없앨 수 있는 특이점이면 $$Res[f, z_0] = 0$$이다. 그런데 $$z_0$$이 진성특이점이라면, 유수는 경우마다 각각 계산을 따로 해야 한다.
2.2. 무한대
3. 유수 정리
증명함수 $$f(z)$$가 단일 닫힌곡선 $$C$$의 내부에 있는 유한개의 고립특이점 $$ z_1, z_2, z_3, \centerdot\centerdot\centerdot, z_n$$을 제외하고 $$C$$의 내부와 위에서 해석적이라 하자. 그러면 $$ z_k, k = 1, 2, \centerdot\centerdot\centerdot, n$$에서 유수가 $$Res[f(z), z_k]$$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displaystyle \int_{C}f(z)dz = 2\pi i\sum^{n}_{k = 1}Res[f(z), z_k]$$
무한대에서는 $$\displaystyle \sum^{n}_{k = 1}Res[f(z), z_k] + Res(f(z), \infty)$$로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
[1] '레지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