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기계 및 업그레이드
1. 개요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에서 추가되는 기계 아이템에 대해 서술하는 항목. 여기서 기계란 전기(Energy Unit, EU), 열(Heat Unit, HU), 키네틱 유닛(Kinetic Unit, KU)[1] 등의 에너지 단위를 소모해서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을 말한다.
기계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각 기계에 맞는 종류(전기, 열, 키네틱 유닛 등)의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 에너지는 해당 종류의 에너지에 맞는 발전기를 통해 생산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의 경우 전선을 연결하거나 휴대용 전기 저장 장치[2] 를 이용해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지만, 열과 동력의 경우 그런 운송수단이 없어 해당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계는 에너지 공급장치에 바로 붙어있어야 한다.[3] 대부분의 기계 블럭은 채집에 렌치 아이템이 필요하며, 곡괭이로 부술 경우 그냥 기계 케이싱 블럭이 나오게 되니 주의.[4] 채굴기 등 일부 기계는 그대로 드랍되는 경우도 있다.
일부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의 기계에는 업그레이드를 장착하여 성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에 관한 내용도 이곳에서 서술한다.
2. 제련 공정
자연에서 직접 얻어진 자원 혹은 다른 기계를 통해 가공/생산된 물건들을 다른 형태의 아이템으로 가공하는 종류의 기계류.
2.1. 전기
사용하는 에너지 티어별로 구분한다.
2.1.1. 1 티어
32EU/t 까지의 전력을 사용 가능한 기계들. 초반부터 후반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사용된다.
'''전기로'''(Electric Furnace)
[image][image]
화로의 기계화 버전. 작동하는데 연료가 아닌 전기를 소모하게 되어 기존의 화로에서 있을 수 있는 연료 낭비가 사라진다. 제련 속도가 철 화로보다도 12.5% 빠르게 되어 한 작업당 6.5초(130틱)를 소모한다. 전기로를 사용 시 틱당 3 EU를 소모하므로 재료를 하나 구울 때마다 약 390 EU를 소모한다.[5] 그리고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 기계 모두에 해당하는 사항이지만, 결과물을 얻을 때 경험치를 얻을 수 없다. 다만, 오른쪽 아래의 경험치 병 버튼을 클릭해 쌓인 경험치를 획득 할 수 있다.
'''분쇄기'''(Macerator)
[image][image]
'''시작 후 맨 처음으로 반드시 만들어야 하는 기계.''' 광석을 비롯해 각종 재료를 분쇄하는 기계. 주 용도는 광석을 분쇄하는 것인데, 자연에서 캐낸 광석 하나를 분쇄기를 통해 가공하면 분쇄된 광석 두개가 나오고 이 분쇄된 광석을 구우면 각각 광물 주괴가 된다. 즉, 여기에 광석을 가는 것만으로도 광물 생산량이 2배가 되는 것! 워낙 성능이 좋다보니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를 하다가 다시 모드를 지우고 바닐라 마인크래프트를 하면 광석을 구울 때 뭔가 매우 잘못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이다. 그 외에도 탄소 섬유를 만들기 위해 석탄을 갈아 석탄 가루를 만드는 등 고급 작업을 위한 밑재료 생산에도 빠질 수 없는 기계이다.
해당 기계의 내장 에너지 저장소에는 총 1200 EU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기계를 사용 시 틱당 2 EU를 소모하여 한 작업 당 600 EU를 사용하고 15초의 시간이 걸린다.
여담으로 기술모드 시스템에 큰 영향을 준 블럭이다. 산업모드 이후 대부분의 기술모드에서는 광석 분쇄, 혹은 그에 준하는 초반 제련 기계에서는 자원이 2배로 나오는 것이 정석으로 정착되었다.
'''추출기'''(Extractor)
[image][image]
초반에는 주로 고무나무 수액을 고무로 가공할 때 쓰인다. 고무나무 수액을 화로에 구우면 수액 하나당 고무를 하나만 얻게 되지만, 추출기를 사용할 경우 수액 하나당 고무를 3개씩 얻게 되며, 고무나무 묘목이나 고무나무 원목을 추출기에 넣어도 고무를 하나씩 얻을 수 있다. 고무 생산량 증폭 효과가 엄청난 데다가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에서 고무의 수요가 적지 않기 때문에 분쇄기와 함께 극초반부터 만들게 되는 기계. 이 외에도 고급 RE-건전지의 재료인 황 가루를 만들기 위해 화약을 추출하거나 원래대로 되돌려지지 않는 조합 블록을 다시 재료로 바꿀 때도 쓰인다.[6]
해당 기계의 내장 에너지 저장소에는 총 800 EU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기계를 사용 시 틱당 2 EU를 소모하여 한 작업 당 800 EU를 사용하고 20초의 시간이 걸린다.
'''압축기'''(Compressor)
[image][image]
각종 압축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 주로 날 것의 재료를 1차 가공하는데 쓰이는 분쇄기나 추출기에 비해, 탄소판과 고급 합금, 고밀도 판 등 비교적 고급 재료를 가공하는 데 주로 쓰인다. 분쇄기와 함께 석탄 1세트, 부싯돌 8개, 흑요석 1개를 가공해 다이아몬드로 만들 수도 있다.[7] 또한 재생 처리기 조합 레시피에도 사용된다.
해당 기계의 내장 에너지 저장소에는 총 800 EU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기계를 사용 시 틱당 2 EU를 소모하여 한 작업 당 800 EU를 사용하고 20초의 시간이 걸린다.
'''유동체/고체 주입기'''(Fluid/Solid Canning Machine[8] )
[image][image]
기본적으로 고체 재료를 통조림이나 셀에 채우는 작업과 각종 유동체에 관련된 작업[9] 을 하는 기계. 단순히 통조림[10] 에 음식을 채우는 수준에서부터 연료봉에 핵연료를 집어넣는 일까지 정말 다양한 작업에 사용된다.
해당 기계의 내장 에너지 저장소에는 총 1600 EU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기계를 사용 시 틱당 4 EU를 소모하여 한 작업 당 800 EU를 사용하고 10초의 시간이 걸린다.
내부용량은 탱크 하나당 8버킷이며 가운데 화살표 버튼으로 좌우 탱크를 바꿀 수 있다.
'''고체 주입기'''(Solid Canning Machine)
[image][image]
유동체/고체 주입기에서 고체를 셀에 채우는 작업 기능(예: 핵연료, 통조림) 만을 가져온 기계이다.
해당 기계의 내장 에너지 저장소는 총 800 EU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기계를 사용 시 틱당 2 EU를 소모하여 한 작업 당 400 EU를 사용하고 10초의 시간이 걸린다.
'''유체 주입기'''(Bottling Plant)
[image][image]
고체 주입기와 마찬가지로 유동체/고체 주입기에서 유동체의 주입과 관련된 기능만을 가져온 기계. 윗칸에는 유동체가 들어있는 셀을 놓고, 아랫칸에는 비어있는 셀을 놓는다. 유동체가 들어있는 셀은 탱크로 유동체를 이동시키고 비어있는 셀은 탱크에서 셀로 유동체를 이동시킨다.
해당 기계의 유체 저장소는 총 8000 mB의 유체를 저장할 수 있고, 에너지 저장소는 총 400 EU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기계를 사용 시 틱당 2 EU를 소모하여 한 작업 당 200 EU를 사용하고 5초의 시간이 걸린다.
'''금속 변형기'''(Metal Former)
[image][image]
기본적으로 커터와 대장간 망치의 기능을 자동화+α한 기계. 압연(Rolling, [image]), 절삭(Cutting, [image]), 압출(Extruding, [image])의 세가지 모드가 있다. 압연 모드는 대장간 망치의 역할을, 절삭 모드는 커터의 역할을 이어받는다. 압출 모드는 주괴를 바로 전선으로 바꾸거나 금속 판에서 셀을 만들거나 하는 등 압연과 절삭 이외의 기능을 한다. 전기 소모가 분쇄기나 압축기 같은 다른 티어 1기계보다 꽤 높은 편으로, 전력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은 극초반에는 대장간 망치나 커터를 사용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보통 압출을 하면 주괴 하나를 전선 3개로 바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절삭은 잘 쓰이지 않는다.[11]
해당 기계의 에너지 저장소는 총 8000 EU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기계를 사용할 시 전력 소모는 10EU/t로 한 작업 당 2000 EU를 사용하고 10초의 시간이 걸린다.
'''광석 정제기'''(Ore Washing Plant)
[image][image]
분쇄된 광석을 분쇄·정제된 광석으로 만들어 주는 기계. 정제시 부산물로 돌가루와 2개의 미량의 가루가 나온다. 내부에 8000mB(양동이나 셀 8개 분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한번 정제할 때마다 1000mB의 물을 소모한다. 양동이나 셀을 통해 넣을 수도 있지만, 꽤 번거로워지므로 무한물과 펌프(+유동체 이젝터 업그레이드)를 설치해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는 게 좋다.
납의 경우 정제시 미량의 황 가루가 나오는데, 이는 화약이나 분쇄한 네더락을 추출기에 넣는 것과 함께 IC2에서 황을 얻는 몇 안되는 방법이다. 우라늄 광석은 사용하기 위해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정제 유무의 차이가 적지 않아서[12] 광석 정제기를 거치는 것이 사실상 필수. 이외의 광석은 전기 소모를 고려할 때 초반이라면 정제하지 않아도 그렇게 크게 손해보지는 않는다. 분쇄기+광석정제기 테크를 이용하여 광석을 정제할 시 광석:주괴 = 18:22 비율로 주괴를 얻을 수 있다.[13]
해당 기계의 에너지 저장소는 총 16000 EU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기계를 사용할 시 틱당 16 EU를 소모하여 한 작업 당 8000 EU를 사용하고 25초의 시간이 걸린다.
'''재생 처리기'''(Recycler)
[image][image]
일명 재활용기. 몇몇 아이템을 제외하고[14] 12.5% 확률로 폐기물(Scrap)로 만들어준다. 이 폐기물은 물질 제조기에서 효율을 높이는데 쓰이거나 폐기물 상자를 만들어서 여러가지 랜덤 아이템을 지급해준다.[15] 채굴하면 대량으로 남는 조약돌을 처리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다른 모드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처리하기도 한다. 혹은 타 모드의 나무 공장과 연동해서 아예 폐기물 생산 플랜트를 만들수도 있다.
해당 기계의 에너지 저장소는 총 45 EU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기계를 이용할 시 틱당 1 EU를 소모하여 한 작업 당 45 EU를 사용하고 2.5초의 시간이 걸린다.
'''블록 절삭기'''(Block Cutting Machine)
[image][image]
블록을 절단하는 작업을 하는 기계. 원목을 블록 절삭기에 넣으면 통상의 4개 대신 6개의 목재가 나오고, 목재 2개를 넣으면 막대기도 6개가 나온다. 또한 금속 블록을 블록 절삭기에 넣어주는 것으로 한번에 판 9개를 얻을 수 있다. 작동을 위해서는 내부에 절삭용 날(Block Cutting Blades) 아이템을 넣어주어야 하며, 각 사용법에는 필요한 최소 절삭날 강도가 있어서 무른 절삭날로 단단한 블록을 자를 수는 없다. 철, 제련철, 다이아몬드 절삭날이 있으며, 후자로 갈수록 절단할 수 있는 재료의 범주가 넓어진다. 블록을 한번에 자를 수 있어 금속 변형기의 압연 공정을 대신할 수 있지만 케이싱, 전선 제작은 불가능하다.
- 철 절삭날: 금, 구리, 주석, 납, 청동 블록
- 제련철 절삭날: 금, 구리, 주석, 납, 청동, 철, 청금석 블록
- 다이아몬드 절삭날: 금, 구리, 주석, 납, 청동, 철, 청금석, 제련철, 흑요석 블록
2.1.2. 2 티어 이상
128EU/t의 전력을 소모하는 기계이다.
'''열 원심분리기'''[16] (Thermal Centrifuge)
[image][image]
2티어. 각종 고급 분해 공정을 수행하는 기계. 재료를 넣으면 가열을 시작하고, 각 재료에 설정되어있는 열에 도달하면 작업이 시작된다. 레드스톤 신호를 보내거나 레드스톤 신호 역전 업그레이드를 달아주면 예열이 되기 때문에 시간 지체 없이 사용할 수 있다.[17] 분쇄된(혹은 분쇄정제된) 광석을 원심분리하여 해당 광물의 가루 및 파트너 광물의 미량의 가루[18] 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금광석을 원심분리하면 미량의 은가루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 자체에서 은을 얻는 유일한 방법이다[19] 우라늄 광석은 우라늄 238, 우라늄 235를 얻기 위해 반드시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쓴 핵연료인 열화우라늄, 열화 MOX를 원심분리로 처리하면 미량의 플루토늄을 얻을 수 있고, 이는 핵연료[20] 로 쓰이거나 강한 위력의 핵폭탄 제조에 쓰인다. 철을 용광로에서 제련할 때 나오는 슬래그를 원심분리하면 다량의 석탄 가루를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자.
내부 전력 용량은 48000EU이며 48EU/t의 전력을 소모해 1회 작업에 25초가 걸리고 총 24000EU를 소모한다.
'''유도 전기로'''(Induction Furnace)
[image] [image]
2티어. 철 화로-전기로로 이어지는 화로 업그레이드 아이템의 최종 형태. 기본적으로 아이템 두 개를 동시에 구울 수 있고, 열 축적 시스템으로 작업 속도와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도 전기로를 사용하게 되면 열이 쌓이게 되며, 이 열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작업 속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1회 작업시 들어가는 총 전력이 감소하게 된다. 열 100% 기준으로 아이템 1스텍(정확히는 동시에 2스텍)을 41.6초에 처리하는 경이적인 작업 속도를 보여주며, 에너지 사용량도 열 100%에서 1회 작업에 208EU로 일반 전기로(390EU)의 절반 수준(동시에 2개를 처리함을 생각하면 실질적으로 거기에서 또 절반)까지 내려간다. 쌓인 열은 사용하지 않으면 줄어들지만, 레드스톤 신호를 보내거나 레드스톤 신호 역전 업그레이드를 달아주면 사용하지 않아도 열을 올려준다. 이렇게 레드스톤 신호를 보내는 경우 1EU/t의 전력을 추가로 소모하게 된다. 전기로와 다르게 경험치 획득 버튼이 없어 작업 경험치를 얻지는 못한다.
전력 소모는 고정 16EU/t.
전압조절을 못한다...
여담으로 기계의 소리가 다른 기계의 소음에 비해 심한 편이다. 작동되면 진공 청소기가 작동되는 것 같은 소리가 나온다. 때문에 소리에 민감한 유저라면 20블럭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2.2. 열
'''용광로'''(Blast Furnace)
[image]
Hu를 이용하는 기계로, 철[21] 을 연철(강철)로 만든다. 철과 함께 압축기로 빈 셀을 압축한 압축 공기 셀을 넣어주어야 하는데, 압축 공기셀은 연철 하나에 6개씩을 순차적으로 소모하며, 소모된 공기셀은 사라지는 게 아니라 일반 빈 셀이 된다. 작업 시작 전에 열이 축적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작업 속도 자체도 개당 300초(5분)로 상당히 느린 편. 전기를 소모하는 게 아니라 오버클록 업그레이드도 적용시킬 수 없으므로 어느정도 자동화가 필요하다. 덤으로 연철 제작시 슬래그라는 찌꺼기가 함께 나오는데, 직접 쓰이는 곳은 없지만 열 원심분리기로 석탄 가루 5개(!)와 미량의 금 가루를 얻을 수 있다. 석탄이 은근히 쓸 곳이 많으므로 충당하는데 도움이 된다.
참고로 오어 딕셔너리를 보면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의 연철은 레일크래프트와 이머시브 엔지니어링의 강철과 호환된다. 다른 모드의 강철과도 호환 가능. 물론 레일크래프트의 강철도 제련하는 데 오래 걸리기는 하지만 충분한 코크스만 넣어주고 잊어도 되며 오래 걸린다 해도 일단 3배 이상은 빠른 편이다. 하지만 레일크래프트는 코크스를 제작하는데 석탄이 필요하지만, IC2 ex의 용광로는 기반만 다지면 철 외에는 추가로 필요한 자원이 없다는 장점도 있으니 취향에 따라 선택할 것.[22] 물론 레일크래프트보다 느리다는 거지 애드온인 GregTech의 청동용광로보다는 빠르다.
12.2 버전에서 압축 공기셀 자체가 아니라 압축 공기셀로 유체인 공기(Air)를 넣어주는 식으로 바뀌었다. 다만 용광로의 자체 유체 용량은 8000mB 밖에 안되므로 압축 공기셀을 다량 넣어야 하는 점은 이전과 마찬가지다.
'''발효기'''(Fermenter)
[image]
바이오매스를 일반적인 연료나 제트팩에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로 만드는 기계.
'''증기 발생 장치'''(Steam Generator)
[image]
열을 소모해 물이나 증류수를 증기로 바꾸는 기계. 증기를 받을 수 있는 기계를 붙여서 설치하지 않으면 폭발을 일으킨다. 폭발은 지형 파괴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주변에 대미지를 준다. 증류수가 아닌 물로 증기를 만들 경우 점점 석회화가 진행되어 석회화가 100%가 되면 증기를 생산할 수 없다. 해결 방법은 그냥 기계를 렌치로 해체하고 다시 설치하면 된다. 물 또는 증류수 1mb당 100Hu를 요구하며 100mb의 증기를 생산한다. 과열증기[23] 는 생성에 1mb당 200Hu를 요구하지만, 과열증기가 증기 키네틱 발전기를 통과할 때 2배의 키네틱 에너지를 생산하며, 이후 과열증기가 증류수가 아닌 일반증기가 되면서 다른 증기 키네틱 발전기를 돌릴 수 있으므로 전체 효율은 1.5배 증가한다.
영문판으로 플레이 하는 경우 이름때문에 증기 키네틱 발전기(Kinetic Steam Generator)랑 헛갈릴 수 있으니 주의.
1.12.2 버전에서 명칭이 증기 보일러(Steam Boiler)로 바뀌었다.
2.3. 키네틱 유닛
키네틱 유닛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선삭용 선반이 1.11.2로 올라오면서 삭제되어 현재 키네틱 발전기 외에 KU를 소모하는 기계는 없다. 1.7.10이라면 아래 설명 참고.
'''선삭용 선반'''(Turning Table)
목재나 철제 터닝 블랭크를 깎아 각종 부품으로 가공하는 기계. 가동하기 위해서 내부에 절삭 공구(Lathing Tool)을 넣어주어야 한다.
여러모로 애매한 기계로 쓰는 곳이 드릴, 채굴레이저 제작 외엔 전혀 없고, 둘 다 도구라서 한번 만들면 당분간은 다시 만들 필요도 없는데, 후반테크에 채굴레이저가 조합으로 들어가서 함부로 버리기도 뭣한 기계다. KU를 만드는 것도 번거롭다는게 흠.
3. 특수 용도
자원 가공 과정 이외의 다른 특수한 기능을 하는 종류의 기계.
3.1. 전기
3.1.1. 1 티어
'''채굴기'''(Miner)
[image]
이름대로 자동으로 광물을 채굴하는 기계. 드릴(채광 드릴이나 다이아몬드 드릴)과 파내려갈 깊이만큼의 채굴 파이프(Mining Pipe)를 넣어주면 기계 아래쪽으로 드릴비트가 내려가면서 경로상의 광물을 채굴한다. 광물 탐지기(OD Scanner, OV Scanner)를 추가로 달아주면, 단순히 아래로만 파내려가는 게 아니라 일정 범위(OD는 7×7, OV는 13×13) 내에 있는 유용한 광석류를 탐지해[24] 그것도 채굴해준다. 흑요석을 캐내기 위해서는 다이아몬드 드릴을 달아줘야 하고, 물이나 용암같은 액체층을 만날 경우 작동을 중단한다.(이 경우 후술할 펌프를 옆에 달아주는 것으로 액체를 퍼낼 수 있다.) 내부에는 15칸의 인벤토리가 있어서 이렇게 채굴한 아이템을 저장하며, 이젝터 업그레이드를 달아 자동으로 상자 등으로 아이템을 옮길 수도 있다.
단순히 전력을 공급하고 끝이 아니라, 드릴과 파이프를 적절히 넣어줘야 하고, 상황에 따라서 업그레이드나 광물 탐지기 등도 장착해 주어야 하는 등 다른 모드의 자동채굴 기계에 비하면 손이 많이 가는 편이다. 드릴이나 탐지기가 전력을 상당히 많이 먹는 편인데, 1티어 기계라서 고급 휴대용 전력저장장치를 쓸 수 없는 것도 꽤 불편한 점.(채굴기는 전압 업그레이드를 적용할 수 없다.) 참고로 곡괭이로 부숴도 기계블록이 되지 않는 기계류 중 하나다.
UI에서 드릴을 빼낼 시 작동을 중지하고 채굴 파이프를 회수하는데, 이 때 UI의 파이프가 들어가는 위치에 블록을 넣으면 파이프가 회수될 때 해당 블록이 설치된다.
'''펌프'''(Pump)
[image]
자동으로 물이나 용암 같은 액체를 퍼올리는 기계. 내부에 8000mB 용량의 탱크가 있으며, 셀이나 양동이 등에 액체를 담을 수도 있다. 처음 설치할 때 플레이어가 마주보는 방향으로[25] 해당 액체가 접촉해 있어야 채취가 가능하며, 이 방향은 렌치를 이용해 돌릴 수 있다. 굳이 액체 블록에 붙여놓을 필요 없이 흘러나오는 부분에만 닿아도 탐색해서 액체 블록을 자동으로 퍼올린다. 채굴기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 설치 방향은 상관없이 채굴기 옆에만 붙어있으면 된다.
액체를 퍼올리는 속도는 50mB/t, 즉 초당 1 양동이 분량으로 무한 물이 재생되는 속도보다는 느려 호수 등에서 물을 완전히 퍼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옥 등에서 용암을 고속으로 뽑아낼 때 쓸 수도 있어 원자로를 만들기 전에 지열 발전기 연료 셔틀로 요긴하게 쓸 수 있다.
'''자화기'''(Magnetizer)
[image]
주변의 철 울타리를 자화시킨다. 자화시킨 철 울타리는 금속 신발[26] 을 신고 올라서면 자동으로 타고 올라갈 수 있다. 최대 높이는 위아래로 15칸이며, 그 옆으로 뻗어나간 철 울타리는 자화가 되지 않는다..
'''작물 수확기'''(Crop Harvester)
[image]
'''작물 관리기'''(Crop-Matron)
[image]
'''형광등'''(Luminator)
0.25EU/t(초당 5EU)의 전력을 사용하여 밝기 15의 밝은 빛을 발생시킨다. 전선이나 저장장치에 직접 붙여도 전력이 공급되지만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충전된 배터리를 들고 우클릭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우클릭으로 켜고 끌 수 있으며, 레드스톤 신호를 주는 것으로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적대적인 몹이 접촉할 경우 불에 붙는다.
원래 한 번 설치하면 회수가 불가능했지만 1.12 버전 들어서 곡괭이로 회수가 가능해졌다.
'''대량 제작대'''(Batch Crafter)
다른 모드의 자동 제작대와 같은 기능을 하며, 조합창에 레시피를 지정하고 재료와 전력을 공급하면 자동으로 해당 아이템을 제조한다. 이 기계가 추가되면서 비로소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만으로 완전 전자동 생산시설을 만드는 게 가능해졌다. 내부에 18칸(2×9)칸의 재료 아이템 저장 공간이 있다. 자체 전력 용량은 20080 EU. 틱당 2 EU/t의 전력을 요구하며 1회 작동(아이템 제작)에 2초(40틱)의 시간을 소요하여 1회 작동에 총 80 EU의 전력을 소모한다.
3.1.2. 2 티어 이상
'''테슬라 코일'''(Tesla Coil)
[image]
전력 수준은 2티어(128Eu/t). 전력이 일정량 이상 충전된 상태에서 레드스톤 신호를 주면 주변에 대미지를 준다. 충전량마다 단계가 있으며, 단계별로 대미지가 다르다. 최대 충전인 경우, 주변에 아머가 없는 상태의 플레이어가 '''즉사'''할 정도의 대미지를 준다.
'''전동 분류기'''(Electric Sorting Machine)
[image]
이젝터 업그레이드나 바닐라 깔대기 등으로 들어온 아이템을 설정한 방향으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내부 GUI에서 분류기의 동, 서, 남, 북, 상, 하 6방향(이 중 한쪽은 전선이 들어가기에 실질적으로 5방향)으로 보내는 아이템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고 리스트에 없는 아이템을 보내는 디폴트 방향도 설정할 수 있다.
상자 등 인벤토리에서 아이템을 자체적으로 끌어오는 기능은 없지만(풀링 업그레이드도 불가) 아이템이 분류기로 들어오는 방향은 상관이 없다. 설정만 잘해 놓으면 여러 단계 가공이 필요한 공정을 다른 모드의 파이프나 상자를 하나도 안쓰고 자동화할 수도 있다. 내부전력 용량은 10만 EU이고 1회 동작(아이템 하나를 다른 곳으로 보냄)에 20EU를 소모한다.
'''냉각기'''(Condenser)
[image]
증기를 이용하여 증류수를 만든다. 증기 발생장치 옆에 설치하면 증기가 자동으로 들어간다. 증류수는 오버클럭 업그레이드나 원자력 발전소를 만지게 될 때 반필수인데, 냉각수를 만들 때 증류수를 쓰면 청금석 가루가 하나만 필요로 하지만 그냥 물을 쓰게 되면 청금석 가루가 8개가 필요하기 때문. 작동 자체에는 전력을 소모하지 않으나, Heat Vent 아이템을 넣어주는 것으로 증류수 생성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 때 아이템 하나당 2eu/t씩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한편 증기발생장치는 열을 필요로 하기에 기계들의 위치가 상당히 꼬인다.(...)
'''테라포머'''(Terraformer)
[image]
TFBP-테라포머 청사진(Terraformer Blueprint) 아이템을 넣고 전력을 공급하면, 테라포머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이내의 환경을 해당 TFBP에 맞게 테라포밍하는 기계. 전력 수준은 3티어(512EU/t)이며, 다른 기계들과 달리 별도 UI가 없다. TFBP 종류에 따른 테라포밍 효과는 다음과 같다.
- TFBP - 경작(Cultivation): 주위의 모래 블록을 흙 블록으로 치환한다. 일반 흙 블록은 잔디 블록으로 만들며 이 과정에서 랜덤하게 꽃이나 풀을 생성한다.
- TFBP - 관개(Irrigation): 기본적으로 Cultivation과 동일하나 랜덤하게 물 근원이 생성된다. 가동되는 중 밀과 사탕수수의 성장을 촉진하는 기능도 있다.
- TFBP - 냉각(Chilling): 주변 지역의 표면에 눈을 생성하고 표면에 노출된 물을 얼음으로 만든다. 표면에 쌓인 눈은 눈 블록으로 만들며, 이 눈 블록 위에 또 눈이 쌓이고 이게 또 눈블록이 되는 과정이 반복되기 때문에 장시간 방치시 눈 블록이 몇겹씩 쌓여있는 상태가 된다.
- TFBP - 사막화(Desertification): 주위의 흙 블록을 모래 블록으로 치환하며 눈과 얼음 블록은 녹여서 물로 만든다.
- TFBP - 평지화(Flatification): 테라포머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블록(돌 제외)을 모두 제거하고, 테라포머의 높이 이하의 빈 공간을 흙블록으로 채운다.
- TFBP - 균화(Mushroom): 주위의 흙/잔디 블록을 균사체 블록으로 만들며, 랜덤하게 버섯을 생성시킨다. 심어진 버섯은 랜덤하게 대형 버섯으로 성장한다. 이 때 대형 버섯의 일부는 또 균사체 블록으로 대체되고 여기에 또 버섯이 자라고 거대화 되는 것이 반복되므로 장시간 방치시 대형 버섯이 몇겹으로 쌓여있는 기묘한 모습이 된다.
'''고급 채굴기'''(Advanced Miner)
[image]
채굴기의 상위 버전. 드릴과 채굴 파이프를 별도로 넣을 필요없이 OD/OV 스캐너를 장착하고 전력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광범위 채굴이 가능하다. 채굴 범위는 기계를 중심으로 OD 스캐너 장착 시 33X33, OV 스캐너 장착시 65X65. 기계가 설치된 위치 바로 아래의 Y좌표에서부터 시작해 Y=0에 이르기까지의 범위를 쭉 스캔하다가 조건에 맞는 블럭을 감지시 이를 채굴하는 방식이며, 스캔 속도는 초당 5블록, 채굴 속도는 초당 1블록이다. 3티어(512EU/t)까지의 전력을 받을 수 있고, 동작에 초당 512EU를 소모하며 내부 전력 용량은 400만 EU이다. 렌치로 제거시 기계 내부에 남아있는 전력의 80%가 보존된다.
블랙 리스트/화이트 리스트(UI에서 변경 가능)를 설정해 특정 아이템을 채굴하지 않거나 반대로 특정 아이템만을 채굴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27] , 에너지를 더 소모하는 대신 실크터치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블랙/화이트 리스트와 별개로 상자나 디스펜서처럼 내부에 별도의 인벤토리를 가진 블록이나 아이템 액자, 주크박스처럼 다른 아이템을 넣을 수 있는 블록, 노트 블럭이나 간판처럼 별개의 설정값을 가지는 블록은 채굴하지 않으며, 몬스터 스포너처럼 채집할 수 없는 블록은 파괴하지 않고 그냥 지나간다.
내부 인벤토리는 없지만[28] 별도의 업그레이드 없이도 근처의 상자나 파이프로 자동적으로 아이템이 옮겨진다. 일반 채굴기와 달리 액체층에도 작동을 멈추지 않고 그냥 무시하고 지나가는 대신 일반 채굴기처럼 펌프를 달아 액체를 퍼낼 수는 없다.
레드스톤 신호를 주어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모드 변경이나 실크터치 토글 설정은 작동이 정지된 상황에서만 가능하니 참고하자.
'''텔레포터'''(Teleporter)
[image]
'''유체 조절 장치(Fluid Regulator)'''
[image]
들어온 유체를 다른 기계나 탱크로 유출 속도를 조절하여 내보낼 수 있는 기계. 유출 속도를 0~1000mB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고, 시간 단위도 틱과 초 단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내부에 8000mB 용량의 자체 탱크가 있으며 별도의 업그레이드 없이 접촉한 기계/탱크 등으로 자동적으로 유체가 공급된다. 전력 티어는 4티어이며 전력 소모량은 유출이 틱 단위일시 10EU/t, 초 단위일 시 초당 10 EU이다.
3.1.3. UU-물질 관련
'''패턴 저장소(Pattern Storage)'''
[image]
후술할 스캐너 옆에 저장소를 두면 이곳으로 패턴이 저장된다. 저장소 옆에 복제기를 두고 복제할 수 있다. 전기를 안먹는 블럭이라 전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
'''스캐너(Scanner)'''
[image]
이산화규소로 만드는 크리스탈 메모리를 넣고 스캔할 물질을 넣으면 그 물질을 스캔하고, 100%가 되면 해당 물질을 만드는데 필요한 EU와 필요한 UU 물질의 양을 크리스탈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크리스탈 메모리에 저장한 물질의 데이터는 복제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물질 제조기(Matter Fabricator)'''
[image]
전기를 이용해 UU 물질을 만든다. 100만 EU를 소모해 1mb(1000분의 1 양동이)의 UU 물질을 생성하며, 스크랩이나 스크랩 상자를 이용해 소모되는 전기의 양을 6분의 1(1mb당 16만 6666EU)로 줄이고 제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EU/t은 동일)
보다시피 전기를 엄청나게 잡아먹으므로, 어지간한 발전량으로는 지속적으로 굴리기 힘들며 굴리려고 한다면 거의 원전 1개 출력을 몽땅 투자해야 하는 수준. 하지만 mox를 투입해 열 50% 이상으로 땡겨놓고 유동체 냉각방식을 사용한다면 원전 하나에 물질제조기 3~4개도 가능하다.
레드스톤 신호를 주는 것으로 작동을 잠시 중지시킬 수 있다. 레드스톤 역전 업그레이드도 적용된다.
512 EU/P 를 초과하는 과전압을 받을 경우 다른 기계들[29] 보다 '''큰 폭발을 발생하므로'''[30] 공급 전압에 유의해야 한다.
'''복제기(Replicator)'''
[image]
스캐너 옆에 복제기를 설치하고[31] 물질 제조기에서 만든 UU 물질을 이용해 물질을 복제한다. 복제하려는 물질에 따라 정해진 UU 물질과 EU를 소비해 해당 물질을 만들어낼수 있다.
이리듐같은 고가치 아이템을 복제하는 경우 UU 물질 외에 전력 소모도 상당한 편이다. 때문에 UU 물질 생산 플랜트를 만들면 전기가 남아나질 않는다.
3.2. 열
'''전해조(Electrolyzer)'''
[image]
물을 투입하면 이를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계. 현 시점에 IC2의 산소와 수소는 별다른 기능이 없는 아이템이라 전해조 역시 딱히 쓸모는 없다. 추후 업데이트를 기대해야 할 듯.
4. 업그레이드
[image][image]
각 업그레이드는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업그레이드를 여러개 놓으면 효과는 중첩된다. 동일한 업그레이드의 경우 한 칸에 몰아서 넣어도 적용된다. 각 기계마다 모든 업그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적용 가능한 업그레이드가 정해져 있으며, 이렇게 사용 가능한 업그레이드는 좌상단의 i자 아이콘에 마우스 포인터를 대면 알 수 있다. 업그레이드는 우측에 배치 가능하다.
[1] 한글패치 기준. 직역하자면 '동력'이 되고, 게임 내의 모습을 보자면 모터나 터빈 등으로 생성되는 회전 에너지에 가깝다.[2] 레드스톤, RE-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 크리스털 등.[3] 다른 매개체를 이용하면 열은 운송이 가능하다. RPV방식의 원전에서 나온 고온 냉각수를 그대로 운송하거나, 통합 유동체 셀에 담아서 운송이 가능하다.[4] 섬세한 손길 마법 부여도 IC2 기계에는 통하지 않으며 반드시 렌치를 사용해야 한다. 다만 2.3.222 버전(마인크래프트 1.8.9용) 이전의 일반 렌치에는 실패(기계가 파괴되고 기계 케이싱이 드랍) 확률이 있기에, 확실히 기계를 해체하고 싶다면 전기 렌치의 무손실 모드를 써야 한다.[5] 석탄/목탄 하나를 발전기에 태울 때 나오는 전력이 4000EU 정도니 석탄 하나로 10개를 굽는 철 화로보다 아주 약간 에너지 효율이 높다. 레드스톤을 동력원으로 쓸 경우 500 EU를 제공하므로 급할 때 참고하자.[6] 눈 블록을 눈덩이로, 벽돌 블록을 벽돌로, 점토 블록을 점토로 바꿀 수 있다.[7] 다만 산업모드에서는 석탄이 중반 티어 이후로 (주로 탄소 섬유의 형태로) 꽤 요구되는 편이고, 어느정도만 티어가 올라가도 채굴 효율이 크게 올라가기에(OD/OV 스캐너, 채굴 레이저, 채굴기 등등)와 초반에 진짜 급한게 아니라면 인조 다이아몬드를 만들어 쓰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8] 버전에 따라 이름이 몇 번 바뀌었다. 저 이름은 마인크래프트1.12.2버전의 산업모드2 2.8.111버전 최신판 기준. 참고로 클래식 버전 시절에는 그냥 '통조림 기계'였다.[9] 냉각수나 바이오매스 등을 만드는 농축 작업, 셀에서 유동체를 빼내거나 셀에 유동체를 넣는 등의 주입 작업이 있다.[10] 여기서 통조림은 여러 음식 아이템을 통조림 하나로 통합할 수 있고, 섭취 속도도 빠른데다 퀀텀수트 헬멧과 쓰이면 자동으로 배고픔이 채워지기 때문에 여유가 된다면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11] 전선 외에 절삭 모드를 쓰는 아이템이 딱 하나 있는데, 철 케이싱을 가공해 만드는 동전(Industrial Coin)이다. 아마 아이템 판매기에 쓰라고 만든 것으로 보이며, 멀티플레이에서나 의미가 있는 물건.[12] 분쇄 광석을 넣을 경우 우라늄 235 1개와 우라늄 238 4개가 나오는데, 분쇄 정제 광석을 넣으면 우라늄 235 2개와 우라늄 238 5개가 나온다. 1.12 버전 들어서 분쇄 정제 우라늄에서도 우라늄 235는 1개씩만 나오도록(235 1개, 238 6개)너프당했다.[13] 아무런 업그레이드를 안했을 때 기준으로 분쇄기와 광석 정제기를 각각 1개씩 이용할 시, 광석 9개를 소모하여 분쇄기 9번(5400 EU 소모, 2분 15초 소모), 광석 정제기 18번(144000 EU 소모, 7분 30초 소모), 총 145400 EU와 9분 45초의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14] 적은 대가로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는 것들이다. 기본 설정은 유리창, 막대기, 눈,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 아이템인 건설용 비계(목재로 된 것) 이다. 설정(Config)에서 변경할 수 있다.[15] 여러가지 목재 도구들, 식품 , 흙(...) 등등이 나온다. 가끔 일회용 건전지나 빈 연료봉(!!) 등의 산업 용품이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정말 가끔 다이아몬드도 나온다..[16] 이름 때문에 헛갈릴 수 있는데 HU가 아닌 EU를 소비한다.[17] 대신 열을 유지하기 위해 전기를 조금씩 소모한다. 또한 열이 조금만 필요한 경우, 필요 이상의 열은 바로 버려진다.[18] 철→금, 구리→주석, 주석→철, 납→구리, 금→은. 타 모드로 은광석을 얻을 수 있을 시 은→납도 추가된다.[19] 은은 유리 섬유 전선에 쓰이고, 텔레포터 같은 최고위 티어 기계 제작에 필요하다.[20] MOX-혼합산화물 핵연료나 무한 에너지인 RTG 원자력 전지 제작에 쓰인다.[21] 이미 제련된 철 뿐 아니라 철광석, 분쇄된 철광석, 철가루 등도 가능하다.[22] IC2에서 석탄은 탄소섬유는 물론이고, 급할 때 다이아몬드 제작에도 쓰이는 등(MFE 등 고티어 기계는 다이아를 꽤 잡아먹는다.) 연료 외에도 쓰임새가 많은 자원이다. 오히려 연료로 쓸 일이 더 드물 지경.[23] 압력 221bar이상, 온도 375℃이상에서 생산가능하다.[24] 참고로 드릴 비트에서 탐지된 광석까지 경로를 따라가며 하나씩 채굴하는 방식이라 경로 중간의 광석이 아닌 블록들도 채굴되며, 이 경로가 기반암 등 파괴할 수 없는 블록으로 막힌 경우 해당 광석은 범위 내에 있어도 채굴되지 않는다.[25] 위 이미지에서 보이는 둥근 철망 같은 부분.[26] 퀀텀 신발, 철 신발, 나노 신발 , 청동 신발, 금 신발.[27] 스캔 대상이 되는 블럭 자체가 아니라 블럭을 채굴해서 나오는 결과물을 기준으로 한다. 가령 일반 모드에서 돌을 캐지 않으려고 한다면 설정용 공간에 구운돌이 아니라 조약돌을 넣어야 돌을 그냥 무시하고 지나간다. 실크터치 모드라면 구운돌을 넣어야 하고.[28] UI에는 일반 채굴기처럼 15칸의 공간이 있으나, 이건 내부 인벤이 아니라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설정용 공간이다.[29] 다른 기계들의 과전압 폭발은 흙, 모래와 같이 폭발 저항이 낮은 블록만 파괴 가능한 정도이다.[30] 이때의 폭발력은 TNT(4의 폭발력을 가진다)의 3.75배인 15이다.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내에서 핵폭발을 제외하면 가장 강력하다.[31] 스캐너에서 등록한 물질을 복제할때 쓰인다.[32] 즉, 2개일 때 작업시간 49%, 전력소모: 256%, 3개일 때 작업시간 34%, 전력소모 409%, 4개일 때 작업시간 24%, 전력소모 655%...같은 식으로 변화한다.[33] 보통 6개 정도 넣어주면 어지간한 기계는 2~3초에 1회 수준까지 작업 속도가 빨라진다. 대신 이 경우 전력 소모가 16배로 늘어나 1티어 기계도 거의 원심분리기급의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34] 상자 등 들어갈 칸이 있는 곳. 업그레이드를 들고 블록의 면에 오른 클릭하면 방향을 고정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