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족자살

 


1. 개요
2. 목록
2.1. 한국
2.1.1. 2019년
2.1.2. 2020년
3. 기타


1. 개요


타 문화권 대비 동양 유교문화권 특히 한국일본에서 빈도가 높은 자살의 형태. 동양에서는 자녀를 부모의 소유 개념으로 생각하기에 부모에게 주로 동정적인 시선을 향하지만 서구에서는 독립된 개체로 보기에 일가족 자살이 아닌 자녀 살해 후 자살로 사건의 성격을 다르게 본다. 자살시도 후 부모만 살아남았을 경우 문화권간 형량의 차이는 대단히 크다. 한국 일가족 자살의 원인은 주로 빈곤에 의한 생활고다.

2. 목록



2.1. 한국



2.1.1. 2019년


  • 서울 화곡동 일가족 4명 자살(1.24)
  • 전남 여수 리조트 한 가족 4명(2.25)
  • 충남 공주 일가족 4명(3.6)
  • 부산 한 가족 3명(3.13)
  • 경기 양주 한 가족(3.18)
  • 경기 화성 일가족4명(3.26)
  • 경기 시흥 일가족 4명(5.5)
  • 경기 김포 구래 한 가족(5.7)
  • 경기 의정부 한 가족 3명(5.20)
  • 경기 시흥 한 가족 4명(6.9)
  • 울산 모자 자살(7.10)
  • 경기 의왕 한 가족 4명(8.17)
  • 대전 한 가족 4명(9.4)
  • 인천 아라뱃길 자매 2명(9.21)
  • 제주 연동 한 가족 4명(10.1)
  • 경남 김해빌라 한 가족 3명(10.2)
  • 경기 시흥 한 가족 4명(10.8)
  • 경남 거제 한 가족 4명(10.15)
  • 경기 의정부 모자 2명(10.23)
  • 서울 성북동 한 가족 4명(11.3)
  • 경기 양주 한 가족 3명(11.6)
  • 인천 계양구 한 가족 4명(11.20)
  • 충남 천안 쌍둥이형제(12.4)
  • 대구 북구 한가족 4명(12.24)

2.1.2. 2020년


  • 1월 6일 김포, 생활고로 일가족 자살 별거중인 37세 여성으로 생활고로 유서를 남기고 62세 모친과 8세 자녀와 함께 자살했다. #
  • 1월 29일 원주, 일가족 4명이 자살한 채로 발견되었다. #
  • 2월 13일 서울 양천구, 30대 한의사, 가족 3명 살해후 투신 #
  • 4월 4일 강원도 강릉, 4인가족 차안에서 숨진채 발견 #
  • 4월 6일 대구, 가족 4명중 3명은 사망, 한명은 중환자실 치료를 받고있다. #
  • 4월 18일 부산, 일가족 3명 숨진 채 발견 #

  • 5월 28일 서울 은평구, 어린 남매 사망, 엄마는 의식 불명 #
  • 6월7일 강원도 원주, 일가족 3명 숨진 채 발견 #
  • 6월 22일 인천, 일가족 3명 숨진 채 발견 #
  • 8월 5일 대구, 일가족 3명 숨진 채 발견 #
  • 11월 2일 서울 마포구, 모녀 숨진 채 발견 #
  • 11월 6일 전북 익산, 일가족 3명 숨진 채 발견, 아버지는 건강회복 후 구속기소 #
  • 12월 19일 서울 용산 모녀 자살 #

3. 기타


가족동반자살은 1995년 16건, 1996년 18건에서 1997년 외환 위기가 일어난 당시 28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1998년 25건, 1999년 17건, 2000년 14건으로 경제안정과 함께 줄어들었으나 이후 경찰측의 통계작성 미비로 2017년까지의 자료는 없으며 2018년 20건에 이어 2019년 27건으로 외환위기 수준으로 대폭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출처출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