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국현
[image]
1. 소개
대한민국의 '''범죄자'''. 호는 고송(古松).
2. 생애
1943년 경상북도 칠곡군 태생으로 1970년에 입문하여 초기에는 인간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사진을 촬영했다. 1989년에 백두산 사진촬영을 하면서 산 사진에 뛰어들어 일 년의 절반을 산 속에 살면서 작업을 해왔다고 한다. 산 사진 촬영을 통하여 터득한 영감으로 15년 전부터는 높고 험준한 산에서 모습을 드러낸 바 없는 걸작 소나무를 찾아내어 사진에 담고 있다지만 이미 '''아래의 사건으로 인하여 그의 이미지가 크게 훼손되었다.'''
3. 문화재 훼손(200년산 금강송 무단 벌목) 논란
2011~2013년 사이에 경상북도 울진군에 소재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사진 촬영을 하던 도중에 사진 구도에 방해된다며 200년이 넘은 금강송과 그 외의 나무들을 무단을 벌목해서 논란을 샀다. 기사
3.1. 후폭풍
이 사건이 언론에 보도됨과 동시에 약식 기소되었으며 고작 5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아 사회적으로 지탄을 크게 받았고, 지금도 각계의 지탄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와 동시에 한국사진작가협회에서 '''영구제명'''을 당했다. 참고로 현재 한국사진작가협회에서는 이 작자의 언급 자체가 제한되어 있으며 혹시라도 사진작가협회 홈페이지에 이 작자를 언급하면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니 양심이 있으면 말을 삼가자.
이 사건으로 인하여 대다수의 환경단체와 사진작가단체에서 사진전 개최에 반대의사는 물론 보이콧까지 하고 있다.
그래서 예술의 전당에서 개최하려고 했던 그의 사진전을 미술과 비평에 취소되었다고 통보했으나......
3.2. 아직도 정신 못 차린 그의 행태
미술과 비평 측에서 예술의 전당을 상대로 '''"전시회 금지를 취소해달라"'''며 가처분 신청을 냈고 4월 6일에 서울중앙지법이 이를 받아들여 전시회를 열게 됐는데, 이 소식을 듣고 환경단체, 사진작가단체는 물론이고 SNS 이용자들이 분노했다. 그로 인하여 예술의 전당 디자인미술관 정문에서 현역 사진작가들이 릴레이 1인 시위를 계속했다.
예술의전당 쪽에서도 홈페이지에 전시 제목 이외에 그 어떤 전시 안내나 홍보 문구도 게시하지 않았고, 대관을 취소했지만 법원의 판결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전시라는 안내와, 위에서 설명한 처벌 사실만 공지했다.#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는 모든 공연과 전시, 특히 유료로 판매되는 공연/전시는 홈페이지를 통해 공연/전시 개요, 홍보 영상이나 그래픽 등을 게재해서 관람객이 이를 찾아보도록 홍보해 주고 있는데 이건 그럴 가치도 없다는 걸 보여준 셈. 동시기의 다른 사진전 안내와 비교해보자. # #
4. 수상경력
'''한국사진작가협회에서 퇴출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수상 기록과 위원 기록은 모두 말살되었다.'''
5. 위원경력
- 초대작가
- 심사위원 및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