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불교도연맹

 

[image]
조선불교도연맹 조직도
북한의 불교관변단체.
1. 개요
2. 목적
3. 변천
4. 역할
5. 현황
6. 평가


1. 개요


1945년 12월 26일 평양에서 결성되어 겉으로는 불교의 현대화를 실현하기 위해 도제양성 포교 역경의 3대 사업을 적극 벌이는 불교도들의 단체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불교에 종사하는 인적·불적 자원을 탄압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선노동당의 관변 단체이다.

2. 목적


발고여락(拔苦與樂)[1]을 기본이념으로 삼고 현세에 지상정토(地上淨土)[2]를 실현함을 기본사명으로 하고 있다.

3. 변천


1945년 12월 26일 ‘북조선불교도연맹’으로 결성되어 1948년 ‘북조선불교총연맹’으로 개칭하였다. 1950년대 이후 잠적하였다, 1955년 ‘조선불교도연맹으로 개칭하였다. 그 후 1965년 잠시 활동을 멈추었다가 1972년 ‘조선불교도연맹 중앙위원회’가 출현하면서 재조직되었으며, 1987년 세계불교도우의회에 정식회원으로 가입하였다.

4. 역할


1980년대 들어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여 여러 국제회의에 참여하고, 북한의 불교문화재를 보존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1984년 묘향산 보현사에 팔만대장경보존고를 세우고, 1989년 팔만대장경해제본 전15권을 출간하였다. 이 해제본은 해인사 고려대장경을 풀이하여 간추린 것으로, 북한 당국이 지원하고 사회과학원 민족고전연구소에서 발간하였다.

5. 현황


설립 초기엔 상무위원 16명에 회원 27만여 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하나, 이후의 정확한 현황은 알려지지 않았다.

6. 평가


불교에 대한 북한의 탄압은 휴전 후 농업 집단화를 강행함과 함께, 사찰에 있던 승려까지 모조리 강제 노동에 내몰고 탄광 등에 강제수용 함으로써 불교의 씨를 없애버렸다. 이리하여 사찰에는 노동당에서 파견한 관리인이 들어앉게 되었으며, 사찰은 역사적인 고전 건물로 보존되고 있을 뿐이며, 휴양소와 정양소, 지질 탐사대와 임산의 숙사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출처]

[1]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없애 주고 즐거움을 주는 일[2] 현실세계에 있는 번뇌의 굴레를 벗어난 아주 깨끗한 세상[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불교도연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