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1. 개요
2. 규정
2.1. 표기
3. 특징
4. 표기 예시
5. 기타
6. 문제점 및 비판
6.1. 인명 표기 수칙 문제
7. 관련 문서

  • 복사용: ǒ Ǒ ǔ Ǔ

1. 개요


기본적으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공식 로마자 표기법 규정은 '''이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북한이 UN에 공식적으로 제출한 자료이다.

2. 규정


  • 철자가 아닌 발음대로 쓰는 '표음주의'를 원칙으로 삼는다.
'''석남'''
Sŏngnam
'''왕십리'''
Wangsimni
'''굽는다'''
kumnŭnda
'''선로'''
sŏllo
'''인덕원'''
Indŏgwŏn

2.1. 표기


'''한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로마자'''
k/g
n
t/d
r/l
m
p/b
s
ng
j
ch
kh
th
ph
h
kk
tt
pp
ss
jj
'''한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로마자'''
a
ya
ǒ

o
yo
u
yu
ǔ
i
ae
yae
e
ye
oe
wi
ǔi
wa

wae
we
  • ㄱ, ㄷ, ㅂ이 유성음화될 경우 g, d, b로 표기한다.
'''교구동'''
Kyogu-dong
'''고비리'''
Kobi-ri
'''금교'''
Kǔmgyo
'''초도'''
Chodo
'''강동'''
Kangdong
'''칠보산'''
Chilbosan
  • 종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로만 표기한다.
'''곡산'''
Koksan
'''갑산'''
Kapsan
'''앞산'''
Apsan
'''삿갓봉'''
Satkatbong
  • ㄹ은 자음 앞 종성 및 어말에서 l로 표기한다.
'''울산'''
Ulsan
'''은률'''
Ǔnryul
  • 이중자음은 소리나는 것만 적으나, 모음 앞에서는 둘을 모두 표기한다.
'''닭섬'''
Taksǒm
'''물곬'''
Mulkol
'''붉은바위'''
Pulgǔnbawi
'''앉은바위'''
Anjǔnbawi
  • 종성 ㄱ, ㅂ, ㄷ는 비음의 앞에서 ng, m, n으로 표기한다.
'''백마산'''
Paengmasan
'''꽃마을'''
Kkonmaǔl
'''압록강'''
Amrokgang
  • -ㄹㄹ-로 발음되는 -ㄴㄹ-이나 -ㄴㄴ-은 이미 굳어진 표기에 한해 -ll-로 표기한다.
'''천리마'''
Chǒllima
'''꽃마을'''
Hallasan
'''전라도'''
Jǒlla-do
  • 합성명사에서 절음 현상이 일어나 뒷 명사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될 때에는 뒷 명사의 초성을 거듭 표기하며, ㄴ으로 발음될 때에는 n으로 표기한다.
'''기대산'''
Kittaesan
'''새별읍'''
Saeppyǒl-ǔp
'''뒤문'''
Twinmun
  • 음운상 혼란이 있을 경우 -를 사용할 수 있다.
'''앞언덕'''
Ap-ǒndǒk
'''부엌안골'''
Puǒk-angol
'''판교'''
Phan-gyo
'''방어동'''
Pang-ǒ-dong
  • 지리학적인 명칭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적는다.
'''평안남도 평성시'''
Phyǒngannam-do Phyǒngsǒng-si
  • 지리학적인 명칭은 -로 분리하고, 발음에 상관없이 유성음으로 적는다.
'''산'''
San
'''거리'''
gǒri
'''고개'''
gogae
'''대'''
dae
'''봉'''
bong
'''교'''
gyo
'''골'''
gol
'''각'''
gak
'''벌'''
bǒl
'''관'''
gwan
'''곶'''
got
'''강'''
gang
'''도'''
do
'''시'''
si
'''군'''
gun
'''면'''
myǒn
'''리'''
ri
'''동'''
dong
'''구'''
gu
'''구역'''
guyǒk
  • 지리학적인 명칭이 숫자를 포함할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로 적는다. 어떤 경우에는 발음대로 적거나 번역할 수 있다.
'''3.1동'''
3.1-dong / Samil-dong
'''9.18저수지'''
September 18 Res.
  • 인명은 성을 앞에 쓰고 이름을 뒤에 쓴다. 한자 유래 이름은 각 음절을 띄어 쓰고, 고유어 이름은 붙여 쓴다. 전체 성명에서 이름 부분의 첫 글자가 유성음으로 소리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무성음 글자로 적는다.
'''김꽃분이'''
Kim kkotpuni
'''박동구'''
Pak Tong Gu
'''안복철'''
An Pok Chǒl
  •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표기가 있을 경우 이를 인정한다.
'''평양'''
Pyongyang

3. 특징


  • ㅋ, ㅌ, ㅍ를 k', t', p'가 아닌 kh, th, ph로 표기하고, ㅉ을 tch가 아닌 jj로 표기한다.
  • ㅈ의 유/무성음 구분이 무시되었다.
    • ㅈ을 ch로 옮기는 매큔-라이샤워 표기에서 그대로 위 방식대로 h를 붙이면 chh라는 이질적인 표기가 나오기 때문에 ㅈ=j, ㅊ=ch로 옮긴 듯. 그래서 유독 이 부분만 남한식 로마자 표기법과 비슷해졌다.[1]
    • 다만 ㅈ, ㅊ을 j, ch로 적는 것은 대한민국 표준어를 비롯한 남한 방언의 구개음화된 ㅈ, ㅊ의 음가를 기준으로 한 것인데, 문화어 ㅈ, ㅊ의 음가는 표준어를 비롯한 남한 방언과는 달리 구개음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j나 ch를 사용하는 건 다소 이질감이 있다.[2]
  • -ㄹㄹ-과 -ㄹㅎ-은 각각 -lr-, -lh-로 적는다.
  • 자음동화가 발생한 발음에 근거하여 적으나, ㄹ의 비음화가 무시되었다.
  • 음절 구분에 '이 아닌 -을 사용한다.

4. 표기 예시



5. 기타



6. 문제점 및 비판



6.1. 인명 표기 수칙 문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동일한 비판이 있으니 문서 참조.

7. 관련 문서



[1] 다만 다른 언어에서는 그냥 c, ch로 쓰기도 한다.[2]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이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참고하면 dz·z, ts·tz 정도로 적는 것이 더 직관적이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