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계기환
'닭을 빌려서 타고 돌아간다'는 뜻으로, 손님 대접을 박하게 함을 비꼬는 말이다.
이 말은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이라는 유머집에 실린 말이다. 여기서는 차계기환의 유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는 가로쓰기로 썼지만 실제 원문은 세로쓰기로 적혀 있으며 일본어처럼 온점(.)과 반점(,) 대신 고리점(。)과 모점(、)을 사용하고 있다.[2]
이를 현대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저 닭을 빌려 타고 돌아 가겠네." 는 벗의 인색함을 돌려 말한 것이다.
이 말은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현대어로 번역된 이야기가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도 실린 적이 있다.
이 말은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이라는 유머집에 실린 말이다. 여기서는 차계기환의 유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는 가로쓰기로 썼지만 실제 원문은 세로쓰기로 적혀 있으며 일본어처럼 온점(.)과 반점(,) 대신 고리점(。)과 모점(、)을 사용하고 있다.[2]
이를 현대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저 닭을 빌려 타고 돌아 가겠네." 는 벗의 인색함을 돌려 말한 것이다.
이 말은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현대어로 번역된 이야기가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도 실린 적이 있다.
[1] 여기서 '돌'은 stone이 아니라 '돌다'의 '돌'이다. 이건 '돌 회'(回)의 '돌'도 마찬가지. 還은 주로 '돌아오다'는 뜻으로 쓰인다.[2] 과거 한국어에서도 세로쓰기를 할 때는 고리점(。)과 모점(、), 낫표(「」)와 겹낫표(『』)를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었다. 2015년부터는 옛날 이야기.[3] 담소는 그 자체로 흔히 쓰이는 국어 표현에서 '웃으며 이야기를 나눈다'는 의미가 있지만, 능력을 의미하는 표현과 같이 쓰였다면 '남을 웃기는 이야기'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