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품새)

 


태권도의 품새중 태백에 대한 문서
1. 의미
2. 처음 나오는 동작
3. 시범 영상
4. 수련시 주의사항


1. 의미


3품/단 이 수련하는 품새. 품새선은 '장인 공'자(工)이다.
그 의미는 태백산이 아닌 밝은산, 제사를 드리던 신성한 산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태권도장에서 교양 수준의 원생들이 수련하는 사실상 최고 단계의 품새다. 2단 금강까지는 그래도 어느 정도 볼 수 있지만 3단까지 가는 경우는 상당히 적고, 4단 품새 평원부턴 극히 보기 힘들다.[1] 때문에 이 품새를 익히게 되는 소수의 3단 원생들은 같이 수련하는 꼬마 원생들의 선망의 눈길(...)을 한몸에 받기 마련이다.

2. 처음 나오는 동작


준비자세는 기본 준비서기
  • 공격
    • 등주먹 얼굴 바깥치기
  • 막기
    • 손날 아래 해쳐막기
    • 손날 엎어잡기
    • 잡힌 손목 빼기
    • 금강 몸통막기[2]

3. 시범 영상




4. 수련시 주의사항


  • 해보면 알겠지만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일반적으로 수련할때는 자신의 리듬에 맞춰서 하면 되겠지만 선수들의 속도를 보면 후다닥 지나가서 무슨 동작을 제대로 했는지도 모를정도로 빠르게 한다.
  • 금강 몸통막기-당겨 턱치기-몸통 반대지르기 후 돌쩌귀 학다리서기는 하나의 동작이다.
  • 반대로 거들어 편손끝 찌르기 - 잡힌손목빼기 후 돌아 등주먹 얼굴 바깥치기는 한동작이므로 빠르게 해줘야 한다.[3]
  • 최초로 길이 방향을 포함하여 중복되는 부분이 나온다. 工자의 아래 교점을 시작지점이라고 한다면 아랫쪽 가로선이 중복되는 부분이다.
[1] 나이가 차 교양 수준의 태권도를 그만둘 날이 다가오는 3품 수련생들(보통 초등학교 6학년 2학기)에게 맛보기로 평원을 가르쳐주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2] 작은 돌쩌귀에서 윗손은 안팔목 몸통막기, 아랫손은 반대편 허리로 이동했다가 얼굴막기를 동시에 한다 [3] 균형잡기가 까다롭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