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삭

 




'''팔삭
八朔 | Hassaku orange
'''
[image]
'''학명'''
''Citrus × hassaku''
'''분류'''
'''계'''
식물계 Plantae
'''분류군'''
속씨식물군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장미군 Rosids
'''목'''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과'''
운향과 Rutaceae
'''속'''
귤속 ''Citrus''
'''종'''
'''팔삭 ''C. × hassaku'' '''
1. 개요

'''나라별 이름'''
'''한국'''
팔삭
'''일본'''
ハッサク(八朔)
'''영어권'''
Hassaku orange

1. 개요


일본원산의 운향과 감귤류. 잡감 혹은 만감류로 분류된다.
1860년 무라카미 수군의 성터가 있는 일본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 인노시마 타쿠미초의 죠도지(浄土寺) 제 15대 주지승 小江恵徳上人의 생가 근처 한 잡감나무에서 유래했다. 인노시마에는 예부터 많은 잡감나무가 있었는데, 동남아시아까지 세력권을 뻗던 무라카미 수군이 전지훈련지에서 여러종류의 묘목과 과실을 가져와 안노시마에 심었고 이들이 서로 교배하여 팔삭을 비롯한 수많은 잡감 품종이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1886년 팔삭(八朔) 때부터 먹기 시작해서 팔삭이란 이름이 붙었는데, 실제 이 시기는 알이 작고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현재는 12~2월경에 수확해서 한두달 후숙시킨 후 출하하거나 3월경 귤나무에서 완숙시킨것을 따서 먹는다.
과실 무게는 300~350g으로 비교적 크며 흔히 생과로 이용되는데 나린긴,리모닌(쓴맛), 노밀린(신맛)을 함유하고 있어 신맛, 쓴맛, 단맛이 어우러진 독특한 풍미를 자랑한다. 맛은 흔히 자몽과 비교되는데, 자몽에 비해 맛이 순하고 약간 새콤한 편이다. 다만 열을 가할경우 쓴맛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공과정에서 이온교환 방식이 사용된다고. 팔삭 특유의 맛이 부담스러울 경우 과육을 감싼 속껍질을 벗겨먹으면 되는데 쓴맛이 한층 줄어들어 먹기 편해진다.
껍질은 진피(陳皮)로 한약재로 이용되며, 본래 온주밀감 대신 팔삭껍질을 썻을 만큼 그 효능이 좋다고 한다. 차로 끓이면 일반 귤껍질차와 달리 쌉쌀하고 구수한 맛이 특징적이다. 이외에도 청으로 담거나[1] 술, 음료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한국에선 제주도에서 주로 재배되며, 일제시대인 1910년대 초에 도입되어 제주도민들도 재래종이라고 착각할만큼 국내역사가 오래된 품종인데(본격적으로 재배한 시기는 50년대 이후) 현재는 당도가 높은 감귤류를 선호하는 추세에 밀려 점점 사라지고 있다.[2] 그러나 소비자들이 완전히 없는건 아닌지라, 여전히 판매처이 잘 찾아보면 속속들이 나온다.
보통 도내에서 소량 유통되는데 탱글탱글한 과육과 시원쌉싸름한 맛에 매료되어 의외로 숨은 매니아가 많다. 농장에 따라 육지로 배송하는 곳도 있는데 재배수량이 많지 않으니 미리 예약하지 않으면 일찍 동나버리기 일쑤다.
한국에선 왜인지 토종 자몽이라는 소개문구가 함께 따라붙는다(...) 시트러스과임을 제외하면 서로 다른 과일이긴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되어있듯이 단 + 쓴 + 신 3조합의 맛이 자몽과 유사해서 그런듯하다.
[1] 청으로 담을 경우 팔삭의 쓴맛이 단맛에 어느 정도 완화된다. 팔삭과 맛이 비슷한 자몽으로 만드는 자몽청도 이와 비슷하게 쓴맛을 줄인다.[2] 특히 달달한 과일에 익숙하고 이를 더 선호하는 젊은층의 경우 팔삭을 아예 모르거나 먹어봐도 맛을 별로 선호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