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인형

 

1. 개요
2. 그 외

[image]
가운데와 오른쪽 인형은 일명 시집살이 인형이라고 불린다.
[image]
왼쪽은 70년대 킹완구공업 수출제품, 오른쪽은 한국 내수용으로 다이아몬드완구에서 부품 일부가 남자 나머지 부분을 만들어 판매한 덤핑제품.
그래서 각 파트별 색깔이 제각각이다.

1. 개요


1970년대 못난이삼형제의 인기에 더불어 덩달아 잘 팔린 인형. 아마 70,80년대를 살으신 분이면 매우 익숙한 인형일 것이다.
보통 못난이삼형제와 함께 못난이류 인형에 속한다. 해학스러운 못난이삼형제와 달리 예쁘고 귀여운 이미지의 인형이 많으며, 그 종류도 매우 많다.
대부분 못난이삼형제를 만든 회사에서 같이 만들었는데 당시 업계에서는 고고돌, 뽀뽀짱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1]
1960년대 후반 스러쉬성형 기술을 일본에서 들여온 몇몇 회사가 국내 시장조사를 하기위해 일본제를 거의 그대로 복제해 시판했는데, [2]
못난이삼형제도 이 중 하나였다. 그러다 못난이삼형제가 인기를 얻자 비슷한 분위기의 하와이인형도 절찬리에 팔렸는데, 인기를 끌 당시 일본이든 한국이든 어마어마한 물량을 미국, 유럽 등지에 수출했다.우리나라의 경우 당시 기술적 한계도 있었지만 초기 시장조사 차원에서 일본 제품을 카피해 만들었던건데 그게 대박이 나 고유한 디자인을 할 시간과 필요가 없었다.[3]
일본 제품과 한국 제품의 모양이 같은 것이 대부분인데, 킹 완구나 다이아몬드완구와 같은 경우 일본업체와 접촉을 자주 하였기 때문에 복제에 큰
문제가 없었다. 무엇보다도 70년대에는 저작권이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일본제품을 복제한 것을 알아도 일본업체 측에서는 아무 대응도 없었고 복제해서 팔든 말든 별 상관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일본도 이전에 미국,유럽제품을 그대로 복제해 판매한 적이 있었으며, 한국에서 복제한다고 해서 이미 유행이 끝나가기 시작한 일본에 큰 영향을 줄 일은 없었기 때문이다.(일본에서는 한국보다 훨씬 더 다양한 제품이 많이 팔렸다.)
일본의 경우 캐릭터와 완구상품이 무수히 많이 나오기 때문에 70년대 후반에 생산이 대부분 멈추었고 한국의 경우 1980년대 중반 이후 거의 생산을 멈춘 상태다.[4]
못난이삼형제처럼 하와이인형 역시 국내 영세업체에서 카피품이 만들어졌지만 가발을 만들어 붙일 정도의 품질은 아니였으며 피부색상이 불규칙하고 페인팅이 조잡한 정도였다. 국내 영세업체 제품이 문제가 된 이유는 자체개발 상품이 없어 국내 완구업계 발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도 있지만 제품에 쓰이는 원료가 독성이 강하거나 품질이 떨어져서였다.
그 때문에 정부 차원의 불량 완구 적발과 지원이 이루어졌고 품질이 좀 더 좋아지긴 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최근 빈티지 소품이 인기를 끌자 재생산을 기대하는 경우도 많은데, 현재 사용 가능한 금형이나 원형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데다 무엇보다 타산이 맞지 않아[5] 국내에서의 재생산은 기대하기 어렵다.
70년대 당시 제작 및 수출을 한 베이비킹(킹완구공업)도 재생산을 하고 싶으나 소비가 불확실하고 타산이 맞지 않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6]

2. 그 외


1990년대 초반까지만해도 제작사였던 킹완구공업(90년대 당시 신화트레이딩)에 하와이인형 및 못난이삼형제 금형이 산더미처럼 있었으나 당시 그 금형들은 녹이 슬고 부식되기 시작해 대량생산에 사용할 수 없는 골칫거리였기 때문에 90년대 중 후반 공장설비를 줄일 때 금형들을 모두 고철상에 헐값으로 팔았다고 한다. 이때 버린 금형의 일부는 어느 수집가가 가져갔고,나머지는 고철로 폐기되었다. 이외에도 여유분으로 박스채 남은 몇몇 제품도 곰팡이가 피는 등 상태가 좋지 않아 폐기처분 되었다.
이것 이외에 덕인기업에는 자체적으로 만든 금형과 과거 킹완구에서 사용하다 넘어간 금형이 있었으나 2011년 덕인기업이 한 수집가한테 못난이삼형제 디자인권, 재고품과 함께 모두 팔았다. 이 금형 중 일부는 70년대 킹완구 소유였는데, 90년대 중반에 덕인기업이 킹완구(90년대 당시 신화트레이딩, 현 베이비킹)에서 남아돌던 제작시설과 함께 사간 것으로 보인다. 덕인기업이 이 금형을 사용해 샘플제품과 자체금형을 몇몇 만들기도 했으나 현재 금형이 많이 부식되고 양도받은 수집가가 생산을 염두해 두고 있지 않아 이 금형으로 제작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홍콩, 중국,일본에서도 몇몇 제품을 만들고 있는데, 옛날 제품과 구별이 잘 안 가고 생김새가 비슷하니 인형 수집을 원한다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1] 모델에 따라 이쁜이,깐순이,꽃돌이,또순이,코보, 같은 별명을 붙이기도 했다.[2] 일본의 경우 완구회사가 디자인 컨셉을 잡고 여러가지 사이즈나 포즈로 개발,제작하고 몇년 뒤 다시 새로운 컨셉으로 신제품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3] 몇몇 모델은 우리나라에서 자체적으로 디자인했다.[4] 80년대 후반까지 교문리일대의 공장에서 금형이 아까웠는지 조금씩 만들어 팔았고 판매는 전국에 있던 문방구의 재고 때문에 2000년대 중반까지 가능했다.[5]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작은 제품 하나 만드는데 300만원 정도는 기본으로 들어간다.[6] 90년대 중반까지 베이비킹에 샘플제품이 많았으나 한 수집가가 가져가서 현재 남아있지 않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