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K: Survival Evolved/아이템/유물
1. 유물
1.1. 아일랜드
1.2. 더 센터
1.2.1. 기만의 유물(Artifact of the Devious)
1.3. 불타오르는 지구
1.3.1. 바위의 유물(Artifact of the Crag)
1.3.2. 파괴자의 유물(Artifact of the Destroyer)
1.3.3. 문지기의 유물(Artifact of the Gatekeeper)
1.4. 에버레이션
1.4.1. 깊이의 유물(Artifact of the Depths)
1.4.2. 그림자의 유물(Artifact of the Shadows)
1.4.3. 추적자의 유물(Artifact of the Stalker)
1.5. 익스팅션
1.5.1. 혼돈의 유물(Artifact of Chaos)
1.5.2. 성장의 유물(Artifact of Growth))
1.5.3. 공허의 유물(Artifact of the Void)
1.6. 크리스탈 아일
1.6.1. 헤매임의 유물(Artifact of the Lost)
1.7. 미구현
1.7.1. 화염지기의 유물(Artifact of the Flamekeeper)
2. 공물
1. 유물
유물은 오벨리스크의 보스의 보스전을 위한 재료로 사용된다.
아일랜드의 유물을 획득할 수 있는 동굴의 위치는 항목 참고.
1.1. 아일랜드
기본 맵인 아일랜드에서 얻을 수 있는 유물들이다.
1.2. 더 센터
더 센터부터 추가된 유물이다.
1.2.1. 기만의 유물(Artifact of the Devious)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더 센터
- 입구1 : 35.9 / 34.4
- 입구2 : 40.3 / 31.1
- 입구3 : 36.4 / 35.0
- 유물 : 41.1 / 37.7
1.3. 불타오르는 지구
1.3.1. 바위의 유물(Artifact of the Crag)
스코치드 어스에 있는 동굴(Grave of the Tyrants)에서 얻을 수 있다.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동굴 : 28.5 / 29.3
- 유물 : 35.2 / 28.1
1.3.2. 파괴자의 유물(Artifact of the Destroyer)
스코치드 어스에 있는 폐허(Ruins of Nosti)에서 얻을 수 있다.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동굴 : 78.5 / 75.6
- 유물 : 79.8 / 81.3
1.3.3. 문지기의 유물(Artifact of the Gatekeeper)
스코치드 어스에 있는 동굴(Old Tunnels)에서 얻을 수 있다.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동굴 : 58.6 / 47.7
- 유물 : 58.2 / 43.4
- 협곡(동굴의 입구가 있는) : 62.8 / 44.1
1.4. 에버레이션
아크 서바이벌 에버레이션 DLC의 보스 로크웰을 소환하기 위해 필요한 3종의 유물과 장소 내역.
각각 그린, 블루, 레드존에 위치한 동굴안에 있다.
1.4.1. 깊이의 유물(Artifact of the Depths)
에버레이션의 그린존에 위치한 동굴(Old Railway Cave) 안에서 얻을 수 있다.
등장생물은 아래와 같다.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동굴 : 48.3 / 27.2
- 유물 : 51.2 / 23.8
1.4.2. 그림자의 유물(Artifact of the Shadows)
에버레이션의 블루존에 위치한 동굴(Hidden Grotto) 안에서 얻을 수 있다.
동굴의 입구는 물 속에 있고 수중구간이 있기에 스쿠버 탱크는 꼭 가져가야 한다.
동굴 내 생물은 변종 쇠똥구리, 변종 티타노보아, 변종 아트로플레우라, 변종 아카티나, 변종 펄모노스콜피어스, 빛벌레, 변종 전기뱀장어, 변종 앵글러피쉬, 변종 크다라니아, 변종 연어, 변종 디플러카울러스, 변종 삽엽충, 변종 디메트로돈, 카르키노스, 칠성장어, 씨커가 있다.
동굴의 난이도는 꽤 어렵다.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동굴 : 55.2 / 65.9
- 유물 : 50.5 / 65.9
1.4.3. 추적자의 유물(Artifact of the Stalker)
에버레이션의 레드존에 위치한 동굴(Elemental Vault) 안에서 얻을 수 있다.
레드존에 위치해있는 동굴이기에 방호복을 여러벌 챙겨가야 한다. 그걸 제외한다면 유물이 있는 곳까지 락 드레이크로 쭉 들어갈 수 있어 길만 알면 단 한번도 싸우지 않고 유물만 챙겨 유유히 나올 수 있다. 다만 문제는 레드존의 아주 깊숙한 곳(지도 남쪽 끝)인데다 길을 찾는 게 굉장히 까다롭다. 락 드레이크로 지형을 무시하고 날아다니다보면 사방이 비슷비슷한 레드존의 풍경에 방향을 잃고 헤메기 십상이니 길을 차근차근 눈에 익히면서 들어가는 게 좋다.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동굴 : 81.0 / 47.0
- 유물 : 91.7 / 51.3
1.5. 익스팅션
아크 서바이벌 익스팅션 DLC의 보스(타이탄)을 소환하는 유물과 장소 내역.
지역 환경에 따른 각기 다른 동굴과 동굴 안에 있는 유물과 소환 플랫폼, 그 동굴 환경에 맞는 생물들이 스폰되어 길을 막아서는 구조는 다른 맵의 유물 동굴과 거의 완벽하게 동일하지만 보스를 여러번 잡아야 하는 것[1] 때문인지 동굴의 길은 그리 복잡하지 않다.
하지만 아크 시즌1 스토리의 최종 컨텐츠인데다 입구부터가 굉장히 넓어 다른 맵의 동굴들과 달리 더욱 강력한 생물들을 데리고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동굴 내부에서 스폰되는 생물들도 하나같이 강력하다. 때문에 단순한 난이도는 상당한 편이다.
1.5.1. 혼돈의 유물(Artifact of Chaos)
데저트 타이탄을 소환할 때 필요한 유물. 사막 돔의 동굴에서 얻을 수 있다.
동굴 내부는 거의 일직선이고 밝은데다 탁 트여 있어 길을 잃을 염려는 적은 편이고 유물의 위치도 최심부의 소환 플랫폼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배치되어 있어 찾기 어렵지 않다. 등장하는 생물도 강한 생물이라곤 바위 정령 외에는 기껏해야 사마귀 정도라 아르트로플레우라의 부식액만 조심하면 뚫고 들어가기 쉽다. 미크로랍토르나 카프로수쿠스처럼 탑승한 플레이어를 저격하는 생물도 없어 바위 정령의 내구보정을 무시하는 벨로나사우루스를 탑승한 여럿이나 기가노토사우루스를 데려온다면 바위 정령까지 제거하면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무난한 난이도.[2]
난점이라면 유물이 스폰되지 않았을 경우인데, 좌표 위치를 수시로 확인하자.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동굴 : 87.4 / 70.4
- 유물 : 93.9 / 88.0
1.5.2. 성장의 유물(Artifact of Growth))
포레스트 타이탄을 소환할 때 필요한 유물. 지하의 동굴에서 얻을 수 있다.
동굴 내부 길은 넓지도, 좁지도 않지만 경로가 복잡한 편. 일직선에 가깝긴 하지만 어두침침한데다 동굴인 만큼 엄청난 수의 생물들이 밀집해 있어 싸우다보면 길을 잃을 수도 있다. 등장 생물도 아르트로플레우라를 포함한 소형 곤충류부터 '''렉스'''까지 폭넓게 스폰되는데다 카프로수쿠스, 미크로랍토르도 있어 까딱 잘못하면 강제하차되어 죽을 수 있다.
유물 자체는 다른 동굴과 같이 소환 플랫폼으로 가는 길목에 있다. 혹 들어오는 길에 찾지 못했다 해도 눈에 보이는 곳에 스폰되기 때문에 소환 플랫폼 위에 서서 주변을 둘러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동굴 : 11.8 / 39.3
- 유물 : 13.5 / 49.2
1.5.3. 공허의 유물(Artifact of the Void)
아이스 타이탄을 소환할 때 필요한 유물. 얼음 돔의 동굴에서 얻을 수 있다.
길도 다른 동굴들처럼 찾기 어렵지 않지만 지하 동굴과 비슷한 정도로 어둡고 동굴 내부가 굉장히 커 들어가야 하는 거리가 다른 두 동굴보다 더욱 길다.
유물은 다른 동굴의 유물처럼 소환 플랫폼에 가까운 들어가는 길목 근처에서 스폰된다.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동굴 : 20.3 / 62.2
- 유물 : 13.5 / 84.0
1.6. 크리스탈 아일
대부분의 유물이 필드 드랍 되어있다. 그래서 동굴을 들어갈 필요가 거의 없다.
1.6.1. 헤매임의 유물(Artifact of the Lost)
원래는 에버레이션의 유물이 될 예정이었으나 추가되지 못하고 크리스탈 아일에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상세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 유물 : 22.5 / 43.9
1.7. 미구현
1.7.1. 화염지기의 유물(Artifact of the Flamekeeper)
처음부터 얻을 수 없는 유물이였고 253 버전 부터는 게임파일에서 삭제됐다.
2. 공물
특정 생물들과 알파 생물들을 사냥했을 때 드롭되는 트로피 아이템.
사냥한 생물의 신체 부위를 그대로 잘라놓은 것 같은 모습으로 대부분의 공물은 '''"뛰어난 사냥꾼임을 증명합니다."'''라고 쓰여 있으니 사냥 후 용도불명의 아이템이 생겼다면 툴팁을 보고 공물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
보스전을 위해 모아야 하는 것인 만큼 공물을 드롭하는 생물 중 가장 약한 축에 있는 생물들마저 기본적으로 플레이어를 선공하거나 단순 스펙이 낮다 하기 힘들다. 게다가 공물을 드롭하는 생물 중 개체수 자체가 적은 경우[3] 도 있고, 요구하는 공물의 양도 상당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플레이 초반부터 함부로 버리지 말고 꾸준히 모으는 것이 좋다. 또한 공물의 드랍은 해당 생물의 레벨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니, 길들일 가치가 적은 저레벨 개체를 사냥해서 얻는 것이 효율적이다.
2.1. 일반
- 알로사우루스의 뇌
- 아르젠타비스의 갈퀴발톱
- 유티라누스의 폐
- 바실리스크의 비늘
- 바실로사우루스의 지방
- 크리스탈 발톱
- 화염 발톱
화염 와이번과 익스팅션 맵에서 등장하는 '오염된 와이번(Corrupted Wyvern)'을 사냥하면 인벤토리에서 얻을 수 있다.
- 번개 발톱
- 맹독 발톱
- 기가노토사우루스의 심장
- 오염된 심장
익스팅션 맵의 황무지에서 원소에 오염된 생물들을 사냥하면 일정 확률로 떨어진다. 기본적으로 대형 생물일수록 오염된 심장의 드랍 확률이 높은 편.
- 메갈라니아 독소
- 메갈로돈 이빨
- 락 드레이크 깃털
- 사르코수쿠스의 가죽
- 용각류 척추
디플로도쿠스, 브론토사우루스, 티타노사우루스를 사냥하면 나온다.
- 스피노사우루스의 등지느러미
- 테리지노사우루스의 발톱
- 틸라콜레오의 갈고리손톱
- 티타노보아 독
- 티라노사우루스의 팔
- 투소테우티스의 촉수
2.2. 알파
- 알파 바실리스크의 송곳니
- 알파 카르노타우루스의 팔
- 알파 크리스탈 발톱
- 알파 카르키노스의 집게
- 알파 리드시크티스의 지방
- 알파 메갈로돈의 지느러미
- 알파 모사사우루스의 이빨
- 알파 랩터의 발톱
- 알파 리퍼 킹의 미늘
- 알파 투소테우티스의 눈
- 알파 티라노사우루스의 이빨
2.3. 소모품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다른 생물의 공물과는 달리 이 아이템들은 용도가 따로 있다.
- 네임리스 독소
- 락 드레이크 새끼의 먹이. 스택이 쌓이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부패하고 저장고에만 들어간다.
- 리퍼 페로몬
- 리퍼 새끼에게 공격당하지 않기 위한 냄새 페로몬. 스택이 쌓이고 부패하지 않는다.
- 가스백의 주머니
- 배달 상자라는 일회용 이동식 배달 상자 제작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