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WON D2

 

[image]
1. 개요
2. 상세
3. 초기 불량
4. 흥행
5. 기타


1. 개요


2006년 중반 출시되어 2010년 중반이 넘어간 시점까지도 사랑받던 코원의 대표격인 MP3P. 가격은 약 20만원 중후반대로 책정되었던 프리미엄 MP3P였다.
MP3P 갤러리나 시코에선 두껍다고 까는 사람도 많았으나 무지막지한 스펙이 모든 단점을 커버하여 아주 잘 나갔던 기기이다.
일부에선 오덕후들이 D2를 많이 사용하고 또 D2로 애니를 많이 본다하여 덕투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2. 상세


기능만 놓고 보면 PMP에 가까운 전자기기지만 이용자들의 인식이나 코원이나 이 기기를 MP3P로 취급했다. 최대 음악 52시간, 동영상 10시간, DMB 9시간 연속 재생이라는 경이로운 배터리 스펙을 자랑한다. 출시 직전 발표되었던 스펙에서는 출력이 채널당 47mW(16옴)라는 호러급 수치와 함께 음악 재생 시간은 40시간 남짓이었다. 출력을 채널당 37mW(16옴)로 하향해서 현재의 스펙이 되었지만, 사실 37mW/Ch도 엄청 높은 거다. 저것보다 한참 출력이 낮은 플레이어도 최대 볼륨에서는 소리가 너무 커서 못 듣는다.
하단에 있는 슬롯을 통해 SDHC 카드 확장을 지원하여 용량을 32GB까지 확장할 수 있다. SDHC 규격대로 32GB까지 사용 가능하다고 하나 코원에서는 공식적으로 16GB까지 인식한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SDHC 32GB 카드를 넣어도 인식하기는 하나, 굉장히 느리게 인식하니 16GB까지 쓰는 게 안정적이다. 다만 8GB 이상의 SDHC는 D2 펌웨어에서는 지원이 안 되고 D2+로 펌웨어 개조를 했어야 했으나, 그 후 D2의 펌웨어 업데이트로 고용량 SDHC 카드도 문제 없이 지원하게 되었다. 처음 출고시에는 슬롯에 더미 카드가 꽂혀 있다.
또한 주변기기를 지원하여 A/V Out이나 외부기기에서 나오는 소리를 전용 젠더를 연결해 D2의 녹음기능에서 캡처하는 기능(AUX)도 지원했다.
MP3P임에도 전자사전(한영/영한/국어)를 지원했다는 점도 특징이다.
당시로는 생소한 (감압식) 풀 터치 방식의 mp3p였다. 또한 동영상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본격 미니 PMP로써, 번들 터치펜을 스트랩홀에 끼우면 거치대 기능까지 겸할 수 있었다. 더더욱 대단한 사실은 나온 지 한참 된 이 기기가 FLAC을 지원해 준다. 물론 FLAC으로 들으면 아무리 D2가 대단하더라도 배터리와 용량이 남아날 리가 없음을 감안하고 들어야 한다. 특이한 점은 감압식 터치임에도 터치값 보정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이유로 터치가 불량일 경우 사용자가 손을 볼 수 있는 방법은 없다.

3. 초기 불량


출시 초기엔 문제점이 있었는데 하나는 '기기 임신 현상', 다른 하나는 '금형 불량'이다.
기기 임신 현상이란, 내장 배터리가 부풀어 올라서 D2의 배면이 임신한 것처럼 불룩해지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한 때 상당한 이슈가 되었었다. 그러나 코원 본사에서 빠른 조치를 취해서 큰 이미지 타격으로 이어지진 않았다.(무상수리) 금형 불량의 경우, 스트랩홀 내측의 잘 안 보이는 부분에 구멍이 있었으나 역시 발빠른 리콜과 후속조치로 입막음(?)을 하는데 성공했다.

4. 흥행


유사한 기능의 기기들과 경쟁하여 승승장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출시 후 1년 2개월 만에 30만대를 팔았다는 기사도 나올 정도였다.
아이리버 클릭스를 처음 만나 강력한 스펙과 메모리 확장기능으로 호각지세를 이뤘으며, B20 출시에는 무료 사전추가 펌웨어 업데이트로 대항하여 발라버렸다. B20 자체는 괜찮은 물건이었으나, 크기나 무게, 특유의 D클릭 인터페이스 때문에 밥통이 딸렸다. 어지간한 기기는 도태될 만한 시점에서도 충분히 먹힐 만한 스펙으로 인해 코원에게 엄청난 수익을 안겨 준 효자상품이 되었다. 또한 코원의 강력한 펌웨어 업데이트로 사람들의 관심을 지속시켰고, 거대해진 유저커뮤니티를 통한 정보공유 등에서 유리해져서 사람들은 계속해서 D2를 질렀다. 참고로 D2의 DMB 수신률은 불안정하였고(이어폰을 통한 수신방식이다.) 아이리버에서 B20을 출시할 때 자사의 제품이 DMB 수신률이 D2보다 더 높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밖에 해외에서도 나름대로 인기가 있는지, D2의 펌웨어를 개량하여 부트로더를 통해서 키면서 홀드를 걸면 실행되는 ROCKBOX라는 게 존재한다. 참고로 락박스 측에서는 D2를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기기에 넣지 않았다.[1] GBC 게임은 물론 플러그인(둠도 있다!)도 존재하며, 이퀄라이저가 다양한 게 매력이다. 참고로 락박스는 D2만 있는 게 아니라 아이팟나노 1세대급 유물에도 가능하다.
D2가 인기를 끈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출시 당시 3.7V 1600mAh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이는 D2 출시 후 5년이 지난 2011년 정도에 출시된 대부분의 스마트폰 배터리와 비교해도 동급이거나 오히려 그를 상회하는 굉장한 용량이다. 당시만 해도 재생시간이 50시간 넘어가는 mp3p중 음장이라든가 포맷형식을 완벽하게 소화하는 제대로 된 제품이 없었다.
2. 기기가 소형이다. D2 출시 시기에는 PMP는 대형이고 MP3는 소형인 것이 거의 도식화되어 있었다. 따라서, 동영상을 보고자 하는 사람은 크고 무거운 PMP 외에는 별 대안이 없었다. 이 때에 D2는 액정 및 기기가 소형화되어 휴대성이 강조된 PMP로서 좋은 선택이 되었다.
3. 저장매체가 플래시 메모리이다. D2의 출시 당시 PMP와 MP3를 막론하고 기가급 대용량 저장매체는 소형화된 하드 디스크였다. 하드 디스크의 특성 상 충격에 약하면서도 소요 전력이 크므로 휴대용 기기에 적절하지 못했다. D2는 이를 플래시 메모리로 대체하고, 별도로 SD/SDHC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확장슬롯을 제공하였다. 원래 본체에는 펌웨어 등을 위한 최소한도의 용량의 메모리만 넣고 SD카드로 때우는 컨셉으로 개발되었다고도 한다. 이에 따라서 하드 디스크에 비해 용량은 다소 적어지는 단점은 있지만 대신 소요전력을 대폭 줄임으로써 연속재생시간을 늘릴 수 있었다.
4.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간결하다. 터치스크린을 도입하여 외부의 기계적 버튼을 줄이고, 전면이 액정 디스플레이만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5.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는 UCI나 아이콘팩 테마를 카페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기기를 새로운 느낌으로 쓸 수 있게 하였다.
6. 풀버전이 아닌 간략화 버전이긴 하지만 국어/한영/영한 사전을 지원하였다. 전문적인 사전용으로는 부적합하나 가볍게 확인하는 정도로는 유용했다.
7. A/V Out, AUX 등 외부기기와의 연결(혹은 외부기기로의 연결)을 지원했다.
출시 당시에는 이러한 점들로 인해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지금은 저런 장점들을 구비한 다른 기기들의 출시로 인해 별 차별성이 없어진 상태이다.
오히려 D2는 해상도(320X240) 및 코덱의 제한 때문에, 동영상을 D2에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인코딩 프로그램으로 D2에 맞게 인코딩을 해야만 한다. 출시 당시에도 그랬지만, 320X240의 저해상도 동영상은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동영상의 인코딩 과정은 필수가 되었다. 근데 인코딩이라는 게 시간도 시간이지만 컴퓨터의 자원을 굉장히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무진장 귀찮은 작업이다. 하지만 당시 나온 소형 MP3P라면 모두 해당하는 문제였으니 어쩔 수 없긴 하다. 그에 따라 특정 기기에 맞게 인코딩해주는 클럽박스나 웹하드가 성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지금은 저작권법 강화와 더불어 인코딩이 필요한 소형 전자기기의 쇠퇴, D2 카페의 폐쇄로 인해서 구하기가 힘드니 굳이 D2에 동영상을 넣어서 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직접 인코딩하도록 하자.

5. 기타


여담이지만 몇 번 떨어뜨리다 보면 전원 스위치가 나간다. 하지만 전원 스위치를 다시 끼워 쓸 수도 있다. 스위치 부품이 튀어나온 곳과 빠져나온 부품 사이를 잘 맞춰서 끼우면 원래대로 쓰는데 전혀 지장 없다. 다만 문제라면 빠진 경우는 또 빠지니...[2] 통째로. 또한 홀드 버튼을 겸하기 때문에 구조가 그리 간단치도 않다. 주위에 D2 오래 쓴 사람 보면 가끔 샤프나 볼펜 등으로 전원을 켜고 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재수없게 스위치에서 끼우는 부분이 고장났거나 혹은 끼우는 방법을 생각 안하는 사람일 것이다. 돈이 아까우면 머리를 써야 한다[3] 떨어뜨렸을 때 액정이 고장날 확률보다 다른 부분이 고장날 확률이 더 높은 기기이다. 어떤 경우는 떨어뜨리면 D2의 전면 케이스 부분이 벌어져서 빠지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생긴다. 떨어뜨려도 지장없을 정도로 요즘에는 정말 가격도 낮아서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돈이 아까우면 떨어뜨리지 말자. '''제발'''.
2009년 2월 24일 코원은 COWON D2+라는 제품을 내놓았다. +와 오리지널의 차이점은 BBE의 차이(만 있지는 않다.) +는 BBE+로 업그레이드가 되었다. D2+가 출시되면서 펌웨어를 따로 쓰는데 문제는... D2에서도 D2+펌웨어 사용이 가능하다 일종의 개조펌웨어인데 약간 버벅임은 존재하지만 사용에 지장은 없다. 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BBE+[4], DMB 수신율 향상[5], 인터페이스의 변화[6]가 있고 D2+펌웨어를 올리는 과정이 어려운 것은 아니므로 해보고 싶다면 말리지는 않겠다.
하지만 코원은 "펌웨어를 이용한 개조를 하다가 고장날 시 무상수리 기간이더라도 유상으로 해 준다" 식으로 공지를 띄웠다. 즉 만약 고장났다면 수리하기 전에 가능하다면 무조건 펌웨어를 D2로 복구해야 한다.만약 켜지지도 않거나 부팅하다 죽거나 하면... 망했어요. 수리 비용도 꽤 비싸니 D2 이용자들은 주의. 다른 회사의 전자제품의 판매 후 서비스 정책에서도 무상기간 중 사용자 과실로 인한 파손이나 공인된 서비스 기사가 아닌 사람이 임의로 수리하거나 사용자가 멋대로 개조를 가하면 유상수리 혹은 수리불가 판정을 받는다.
D2와 비슷한 컨셉에서 사양이 업그레이드된 S9가 출시되었을 때 코원에서 "S9는 D2의 후속작이 아니다"란 말을 했다. 그리고 2011년 1월, D2의 정식 후속모델인 COWON D3가 출시되었다. D3는 D2와는 달리 안드로이드 기반. 하지만 발매 초기 이런저런 문제를 겪으면서 흑역사 취급...이었는데 코원의 몇 번의 펌업 이후로는 많이 나아졌다...라곤 하지만 RAM을 보면 나아지기도 뭣하다 사실상 후계자라기보다는 별개의 시리즈로 보고 있다. 이쪽에 대해서는 COWON D3 문서를 참조하도록 하자.
D3는 D2와는 여러모로 다른 컨셉의 제품이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D2 후계자 자리는 2011년 발매된 C2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D2보다 얇고 심플한 디자인이 되었으나, 가격 문제 때문인지 전자사전 기능이 삭제됐다. 후속기종답게 동영상 재생 능력은 사실상 무인코딩으로 거의 모든 포맷의 동영상을 돌릴 수 있게 되었고, 레코드판처럼 빙글빙글 돌아가는 턴테이블 앨범 아트가 꽤나 인상적인 제품이다.
그리고 2014년 M2로 외관 디자인을 또 울궈먹었다. 내부 UI는 C2를 울궈 먹었고. 감압식 터치는 덤이다.

[1] 따라서 이 소리는 D2에서 불안정하다는 소리.[2] 하지만 D2는 2.5인치 액정이 달린 제품이다. 어떤 전자제품이나 마찬가지지만, 이건 액정을 먼저 걱정할 일이지..[3] 이게 좀 불편하긴 하지만 수리 비용이 꽤 된다. 그리고 귀찮기도 하고...[4] 물론 실제로 음장이 좋아질...까는 잘 모르겠다. 실제 사용자들 입장에서도 D2의 기본 음장인 BBE랑 별로 차이가 없다는 의견과 BBE보다 D2+펌웨어를 깐 D2의 BBE+가 좀 더 깨끗하다는 의견도 있다. 음장에는 개인 취향이 많이 작용하는 것도 있다.[5] 코원 측에서는 그딴 거 근거없는 헛소리라는 주장을 하지만, 이건 실제로 올라간다(!!!), DMB 사용자에게는 희소식. 솔직히 D2의 수신률이 구리기도 하지만, 코원 입장에서는 D2랑 D2+랑 다르게 하여 팔아먹으려는 나쁜 속셈이 있다.[6] D2+의 인터페이스가 D2보다 좀 더 깔끔한 이미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