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2CD

 

도이치 그라모폰의 2CD 시리즈.
취지는 당연히 폐반된 음반을 2CD로 저렴하게 재발매하여 다시 듣자는 취지에서 나왔으며, 간혹 디 오리지날과 곡이 중복되는 일이 있기는 하나, 거의 희박하다고 보면된다. '''DG 본사(독일)에서 2CD 시리즈를 처음 발매한 것이 1995년 경이었고, 그에 발맞춰 초기 발매분 전량이 라이센스로도 발매되었지만, 오랫동안 굳어진 '수입반과 라이센스반의 음질 및 품질 차이'로 인한 편견으로, 이후로 추가 라이센스 발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격은 수입반 1만9천, 라이센스반 1만5천 쯤 되는데.. 라이센스반은 '''이후 추가 발매를 중단하여''' 자취를 감 '''추었'''다. 매대에 깔린 물건들은 죄다 수입반. 카탈로그 선정은 비교적 폭넓어서 DDD와 ADD가 공존하는 몇 안되는 카탈로그다. 물론 OIBP가 적용 돼 있다.
2CD의 형태가 한국에서는 책장 넘기듯한 구조로 돼 있는데, 독일 수입반은 한국에서 넘기는 구조의 정 반대로 돼 있 다. '''이와 같은 구조의 케이스를 '브릴리언트 박스 케이스'라고 한다. 이유는 케이스 앞 뚜껑과 CD 트레이가 양쪽으로 '펼쳐지듯이(brilliant)' 열리는 구조로 돼 있어서이다. 이러한 구조의 설계가 특허로 등록돼 있어서, 다른 곳에서 무단으로 동일하게 제작하지 못하고 전량 수입해서 사용해야 한다. 그런 이유로 국내에 2CD 시리즈가 처음 출시됐을 때(1993년 프랑스 DG의 '더블DG' 시리즈의 라이센스가 최초 출시됨), 초도 물량의 케이스는 수입반과 동일한 것을 사용했고 이후로는 조악한 품질의 국산으로 대체되었다.'''
무조건 2CD로 돼있기 때문에 구매시에 망설여지기도 한다. 수입반 기준으로 가격도 좀 높은 편. 물론 이 연주를 판 두개로 나눠서 사는 것에 비하면 저렴한 편이지만 의외로 녹음을 잘 안하는 차이콥스키발레음악 풀버전을 여기서 접할 수 있다는 것은 가장 큰 장점이라 본다(...)
유사한 시리즈는 더블데카, 필립스 듀오, EMI 제미니가 있다.
이 시리즈는 DG DUO로 대체되었지만 DG 듀오로 음반이 많이 나오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