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개요



가벼운리을. 또는 반혀가벼운소리라고도 한다. 반설음인 보다 가볍게 소리 내라는 뜻이나, 실제로는 유성음 사이의 초성 ㄹ과 같다. 그러니까 현대에 살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글자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합자해(合字解)에 나와 있는 설명을 바탕으로 소개만 된 글자이다. 정작 훈민정음 본문에는 이 글자가 등장하지 않았다. 훈민정음에 쓰여 있는 설명은 다음과 같다.

半舌有輕重二音。然韻書字母唯一,且國語雖不分輕重,皆得成音。若欲備用,則依脣輕例,ㅇ連書ㄹ下,爲半舌輕音,舌乍附上腭。

반설음에는 무거운 소리와 가벼운 소리의 두 종류가 있다. 그러나 운서에서 자모가 하나뿐이고, 국어에서도 경중을 분별하지는 않으나 둘 다 소리를 이룰 수 있다[1]

. 만약 갖추어 쓰고 싶다면 순경음의 사례를 따라, ㅇ를 ㄹ 아래 이어쓰면 반설경음이 되니, 혀가 윗잇몸에 잠깐 붙는다.

훈민정음 외에서도 이 글자는 실제로 쓰인 사례가 없다. 훈민정음에서도 설명되어 있지만 굳이 쓸 필요가 없기 때문. 중국의 경우, 유음(liquid) 성모는 來母(/l/) 하나뿐이며, 이 성모는 [l]로만 실현된다. 또 당시의 중세국어도 (훈민정음의 설명을 따른다면), 만약 /ㄹ/이 두 가지 변이음으로 실현될지언정 음소 차원에서 분간이 되지 않는다면 굳이 둘을 분별해서 쓸 필요가 없다.
이 음의 음가에 대해서는, 'ㄹ'이 [l](설측 접근음)이었던 것에 대해 [ɾ](치경 탄음)으로 여기고 있다. 정반대로 쓰인 것이 아니다. 어째선지 인터넷에 나돌아다니는 모든 글에서 ㄹ을 r로, ᄛ을 l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국어학계에서는 정반대로 보고 있다.[2][3]
발음법 : 유성음 사이에서 발음되는 ㄹ이다. '사람', 아래' 할때 ㄹ 발음. 허나 오ퟝ, 가ퟝ 등으로 종성에 이 글자를 집어넣을 경우 ᄛ이 ퟝ으로 바뀐다.

[1] 즉 실현될 수 있다[2] 혀가 윗잇몸에 '잠깐' 붙는다는 건데, 잠깐 붙는 것은 탄음이다.[3] 김민정, 2014, 15세기 국어의 ‘유음’에 대한 연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