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깝고도 먼 길

 

[image]

1. 개요
2. 줄거리


1. 개요


임권택 감독의 반공 영화. 1978년작. 울지 않으리와 더불어 임권택의 엽기(?) 반공영화로 꼽힌다.
한국영상자료원 VOD서비스

2. 줄거리


초등학생 인철은 배를 타다가 난파되어 표류된다. 그런데 하필이면 그곳이 북한이고, 게다가 38선 근처이다(!) 거기서 주인공은 고철줍기를 하는 동만을 만난다. 동만은 신고하려고 하지만, 인철이 동정심에 호소하자 같이 다닌다. 이 영화는 로드무비로 주인공들이 삼팔선으로 가는 여정을 다룬 것이다. 그외의 장면은 대부분 회상이나 상상의 장면이다. 반공적인 요소가 많이 나온다(...) 특히 동만은 인철의 신발과 시계를 부러워하는데, 인철은 '''이런거는(신발) 남한에 가면 얼마든지 있어.'''라고 자랑한다.[1] 처음에는 서로의 사상적 갈등으로 자주 다투지만 뒤로 갈수록 서로 정이 들어 우정을 쌓는다.
결국 휴전선 근처에 다다르게 되는데, 북한주민들은 모두 탈북하고 싶다는 클리셰때문에 탈북하게 된다.[2] 여기서 북한군을 도발한다 → 북한관이 기관총을 쏴댄다. → 기관총알에 맞은 지뢰들이 폭발한다.
이렇게 해서 탈북하지만 동만은 도중에 떨어뜨린 신발을 주우러 가고, 인철은 동만을 구하러 가기위해 북한쪽으로 간다. 그 와중에 북한군의 총격을 받아 둘 다 '''사망'''한다. 한국군은 건너편에서 망원경으로 보며 안타까워한다. "아니,저런. 아니, 저런"(사실 어린이들이 탈북한다고 엄호사격을 하면 위험하기 때문이다.) 어린이들이 총에 맞아죽는다는 안타까운 결말때문에, 결말이 삭제되어 방영된 적도 있다.[3]
하지만 TV방영 전 이 영화는 대부분 초등학교(당시에는 국민학교)에서 대강당이나 큰교실에서 집단관람으로 상영되었고 결말은 전혀 삭제되지 않아 당시 다수의 초딩(국딩)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 주었다.
어린이가 북한에 표류하다가 휴전선까지 걸어가는게 주된 내용이고, 다른 장면들은 전부 어린이들의 회상이다.

[1] 북한이 빈민국 수준으로 추락한 2016년 현재의 시각으로 보면 당연해서 언급할 가치도 없는 대사 취급하기 십상이나, 이 영화가 촬영된 시점은 1978년. 북한 경제의 황금기(?)였으며 남북한간의 경제차 역시 비등비등한 시기였다. 이 영화가 프로파간다 영화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각인시켜주는 장면이자 현실이 선전을 뛰어넘어버렸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한 장면. 하지만 1978년이면 1인당 국민소득이 이미 북한을 2배차로 앞서기 시작했기 때문에 남한의 경제력이 급속도로 앞서가기 시작한 건 맞다. 이전 반공영화에서는 그런 경제력 비교는 거의 없었지만 남한의 경제력이 앞서면서 국가적으로도 남한이 북한보다 잘 산다는 걸 홍보하기 시작한다. 영화에서 처럼 북한 역시 남한이 눈부신 경제적 성장을 이룬 1980년대 까지도 일부 부자들만 잘 살고 대부분의 국민들은 다 거지같이 깡통만 찬다고 선전했다. 그래서 1989년 임수경이 방북했을 때 임수경의 모습과 행동을 보고 문화적 충격을 받았다.[2] 처음에 동만은 인철이를 탈출시키고 자신은 남아 있으려고 했지만 인철이 지뢰밭으로 가는 바람에 구하려고 철책을 넘게 되고 결국 다시 돌아가면 반동분자로 잡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인철과 같이 월남하기로 마음을 바꾼다.[3] TV방영 당시에는 북한 땅에서 있었던 일이 모두 인철의 꿈인 것처럼 편집하였다. 아무래도 이 마지막 장면과 끝에 두 어린이가 나체로 들판을 뛰어다니는 장면 때문에 국교생관람불가가 된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