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

 

1. 개요
2. 대간의(大簡儀)
3. 소간의(小簡儀)
4. 의의


1. 개요


천체의 운-행과 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기계

2. 대간의(大簡儀)


혼천의를 간소화하여 만든 관측기기. 1276년 원나라의 천문학자 곽수경이 만든 것을 세종대에 조선식 간의로 개량한 것이다. 극축(하늘 중앙, 북극성 주변)을 기준으로 하여 적도(赤道)의 위치를 찾은 후 정밀하게 그려진 기준자와 별을 비교해 보며 별의 움직임을 관측한 후 기록했다.
성인의 키보다 조금 컸으며 천체의 움직임, 태양의 고도변화, 별의 남중시각 등을 관측했다.

3. 소간의(小簡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대간의를 간소화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축소해 개발한 관측기기. 궁궐에서는 세종대에 2대를 만들어 경복궁과 서운관에 설치했고, 이후 성종대에 1대가 더 만들어졌다. 그 외에도 여러 곳에서 만들어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적도환, 백각환, 사유환으로 이루어져 있다. 높이는 약 70~100cm, 받침은 40X66cm, 각 환의 크기는 40cm였다.

4. 의의


고려시대까지 한민족은 당나라의 선명력을 계속 받아 쓰고 있었으나 기본적으로 시기가 오래된 역법일 뿐만 아니라 약간의 별의 움직임에도 차이가 커지는 일월식 계산의 사정상 한반도에서는 착오가 많이 생겼다. 조선이 들어서면서 이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 신기술이었던 명나라의 대통력을 사정 끝에 들여왔으나 여전히 위치 상의 오차가 생겼다.
세종 대에 처음으로 독자적인 간의들을 만들고 천문 계측을 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한민족 최조의 고유 역법인 칠정산을 만들면서 마침내 고대의 하늘을 우리 손으로 독자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