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이입

 

1. 개요
2. 과학적인 이야기
3. 수능 문제
4. 관련 문서


1. 개요


'''감정이입'''()이란, 타인이나 동물, 물건 등에 자신의 감정을 옮겨넣거나, 대상으로부터의 느낌을 받아들여 느끼는 일을 말한다. 예를 들어 비위가 약한 누군가가 자신의 팔에 거미가 기어가는 것을 보고 소리를 지르며 난리를 피우는 것을 볼 때, 마치 자신의 팔에 거미가 기어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면 당신은 감정이입을 하고 있는 것이다.

2. 과학적인 이야기


개념 자체는 매우 오래되었지만 철학적으로만 고찰되었다. 1990년대가 되어서야 MRI머신을 이용한 활발한 두뇌연구가 이루어진 결과 인간 자체의 뇌기능으로 확정되었는데, 자세한 설명은 TOM 문서를 참조하길 바란다.
사람 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회적 동물인 코끼리도 이 능력이 있다고 하며, 돌고래나 개들도 아직 연구중이나 있다고 보여진다. 이탈리아의 파르마 연구소에서 원숭이의 뇌에 MRI를 연결하여 호두를 주면서 깨어먹게 하며 그때 뇌의 어느 부분이 활성화 되는가를 기록하고있었는데, 어느 날 한 연구원이 원숭이가 보는 앞에서 호두를 깨먹자 그걸 가만히 보고만 있었을 뿐인 원숭이의 뇌는, 원숭이 자신이 호두를 깨먹을 때와 같은 부분이 활성화 되었다. 이것을 본 연구원들은 MRI머신이 고장 났다고 생각했지만 이후에 다른 원숭이들을 대상으로 시험해도 같은 결과가 나왔고, 이후에 인간들에게 시험해도 결과는 똑같았다. 이후에 이 효과는 Mirror Neuron(거울 신경세포)라고 이름지어졌다.
감정이입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 진화한 능력이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다. 하지만 가끔씩 다른 기능은 정상인데 이 기능만 매우 지체되었거나 아예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 나타나는데 보통 이들을 사이코패스라고 정의한다. 현재 연구로는 약 백 명 중 한 명이 문제가 있을 정도로 많다고 한다. 그러니 당장 당신이 오늘 길거리에 지나가다가 사이코패스 한 명쯤 마주쳤다고 해도 놀라운 일은 아니다.[1] 그리고 어쩌면 당신이 그 사이코패스일지도 모르는 일이다. 실제로 일부 사이코패스들은 자기가 사이코패스인지도 모르는채 살아가기도 한다.

3. 수능 문제


아마 중고등학생이라면 시험 문제로 객관적 상관물과 구분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어렵게 느껴지지만, 수능 문제 기준으로 생각하면 구분하기 쉽다. 수능에서 다루는 감정이입은 '표현 기법'이며, 객관적 상관물은 '시적 대상'을 이르는 말이다. 쉽게 말해서 감정이입이 소금을 뿌리는 행위라면 객관적 상관물은 소금을 포함한 향신료를 가미한 음식이 되는 것이다. 게다가 그것을 차치하더라도 감정이입 외에도 객관적 상관물을 만드는 방식은 여러가지이므로(단순히 감정의 계기가 되더라도, 심지어 대상과 정반대의 감정을 불러오더라도 객관적 상관물로 본다. 대표적으로 '황조가'를 보면, 꾀꼬리와 화자의 정서는 정반대이다.) 둘은 명확히 가르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헷갈리면 이것만 보자. 객관적 상관'물'이다. '물건 물'자 쓴다. 집단주의적 경향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국가나 집단, 사회에 개인을 동일시하여 보기도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감정이입이다. 한 예로, 한국과 관련된 무언가가 비판받으면 개별 한국인이 자존심에 상처를 입는 것을 들 수 있겠다.
창작물을 감상하는데 있어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소인데, 수용자가 이야기에 관여하는 정도는 그들이 캐릭터들에게 감정이입을 느끼는 정도에 달려있다.
때문에 모든 이야기는 수용자의 감정이입을 이끌어내는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이를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하며, 수용자의 무의식적인 감정이입을 끌어내지 못할 경우 대체로 못 만들어진 작품이라 평가받는다.

4. 관련 문서



[1] 무서워 보이는가? 소시오패스는 이보다 '''다섯배'''는 비율이 높다. 즉 당장 길거리에서 사람 100명을 만났다면 한 명은 사이코패스고 다섯명은 소시오패스일 가능성이 있다.

분류